d라이브러리
"데이터"(으)로 총 3,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태초의 꽃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4년 04호
- 검증 결과 붕어마름이 가장 원시적 식물일 가능성은 매우 낮게 나왔다. 초기 연구라 데이터 양이 적어서 오류가 있었던 것이다.1999년 미국 플로리다대 솔티스 부부(Douglas E. Soltis 와 Pamela S. Soltis)가 주도하는 연구팀은 엽록체 유전체의 두 유전자(rbcL, atpB)와 핵 유전체의 18S rDNA의 염기서열로 식물 ...
- Part 3. 잡음없이 깨끗한 중력파를 발견하라!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이용하는 극정밀 탐지기 512개를 동원해서 2010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측정한 데이터를 분석했다. 탐지기가 작동하는 온도가 0.25K일정도로 예민하기 때문에 이들이 남극까지 간 것이다. 남극은 온도와 습도가 낮고 대기가 가장 안정적이라서 주변 잡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하버드-스미스소니언 ... ...
- 사물인터넷 사이보그 세상 연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사람에게 전달해 주는 일종의 데이터 택배원이다. 불의의 사고로 저장 용량을 초과하는 데이터를 받아들인 주인공은 과부하로 죽지 않기 위해 세계 최고의 천재 해커를 찾아간다. 우여곡절 끝에 해커를 만난 주인공은 경악을 금치 못했다. 눈앞에 나타난 건 사람이 아니라 수조 속의 돌고래였기 ... ...
- 수학자 출신 억만장자 제임스 사이먼스수학동아 l2014년 04호
- 모델로 나타낸 뒤 프로그램화 하고, 이를 근거로 컴퓨터가 직접 투자를 하게 해요. 즉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수학적인 분석만을 토대로 의사결정을 하는 거죠.”사이먼스가 만든 이런 기업 문화는 수학자들의 문화와 꼭 닮았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학자들이 모여 토론하는 것은 수학계의 오래된 ... ...
- [생활] 생생한 화질 경쟁, 수학으로 앞서 간다!수학동아 l2014년 04호
- 처리는 텔레비전 화질 문제처럼 없는 화면을 새롭게 만들어낸다거나, 의료 영상처럼 데이터를 계산해서 영상으로 보여 주는 분야라고 할 수 있어요. 그리고 영상 분할은 콩잎에서 진드기를 떼어내는 것이나, 포토샵 프로그램을 이용해 사진을 조작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습니다.이처럼 ... ...
- 개인정보 보호, 새로운 암호체계가 답이다!수학동아 l2014년 03호
- 통계적인 분석을 할 수 있을까? 그 이유는 암호 상태에서 연산한 값을 통해 원본 데이터에서 연산한 값을 알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완전동형암호는 메시지를 특정한 두 개의 수로 나눠 나온 나머지 두 개를 상대방에게 보내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메시지 10은 4와 7로 각각 나눠 나온 나머지 2와 3으로 ... ...
- 후궁이 700명인데…, 사람이 ‘1부1처’라고?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논문이 발표된 뒤 한 달이 지난 2013년 9월, PNAS에 기고문을 보내 “오피 교수팀의 연구는 데이터 해석에 무리가 있다”며 “1부1처의 원인으로는 암컷의 분포가 설득력이 있다”고 주장했다. 전중환 교수는 “부성애 논리는 이미 원인이 아닌 것으로 결론이 난 상태”라며 “남은 두 원인이 ... ...
- [뉴스포커스] 2014년은 ‘한국 수학의 해’ 수학, 산업을 이끈다!수학동아 l2014년 02호
- 있는 전세계 20개국에 대해 전략적 의사 결정을 위해 기업의 성장을 위한 수학적 데이터를 수집했습니다.”포럼의 주제 강연을 맡은 김화선 스카이레이크 인베스트먼트 사장은 수학이 단순한 응용을 넘어 산업계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산업수학’으로 발돋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산업수학은 ... ...
- [독자탐방] 금 나와라 뚝딱! 3D 프린팅의 세계수학동아 l2014년 02호
- 3차원 프린터로 인쇄하기 위해서는 3차원인 제품을 2차원으로 잘게 쪼개야 하는데, 데이터가 삼각형으로 표현되면 2차원으로 만들기 쉽기 때문이다.3 프린트 하기프린터 하라는 명령을 내리면 3D 프린터는 예열을 시작한다. 3D 디지털 설계 연구실에서 사용하고 있는 3D 프린터는 플라스틱을 녹여서 ... ...
- [과학뉴스] 비행기야, 화산재 걱정하지마과학동아 l2014년 02호
- 떨어진 열구에서 용암과 화산재가 쏟아져 나왔다.연구팀은 두 번의 폭발에서 센서의 데이터를 확인해 상관관계를 찾았다. 센서의 이동 속도는 지하 마그마의 압력을 알려주고, 압력이 높을수록 화산재 기둥이 높이 솟아오른다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화산 폭발을 더 민감하게 감지해 화산재로 인한 ...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