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험
이력
관록
경력
체득
증험
생애
d라이브러리
"
경험
"(으)로 총 4,423건 검색되었습니다.
북한의 수학교육이 궁금하다!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학생들이 배우는 수학공부는 남한의 학생들과 어떻게 다를까? 북한에서 수학을 가르친
경험
이 있는 새터민 선생님을 통해 북한의 학생들이수학을 공부하는 모습에 대해 알아보았다.1. 북한 학생들도 수학공부를 위해 학원을 다니거나, 참고서를 활용하나요?북한에는 사교육기관이 없습니다. 그 대신 ... ...
다면체를 이용한 입체 분할퍼즐 만들기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퍼즐을 만들어 볼까?”‘분할’로 만든 퍼즐 모여라!누구나 한 번쯤은 가지고 놀아 본
경험
이 있는 퍼즐. 그 종류도 무수히 많아 셀 수 없을 정도다. 여러 가지 종류의 퍼즐 중에서도 ‘분할’을 이용한 퍼즐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동양의 대표적인 퍼즐에는 칠교가 있다. 큰 정사각형을 직각 ... ...
GIST 수시 전형 합격생 인터뷰 - 8개월에 걸친 탐구 열정이 비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일상의
경험
을 그냥 지나치지 않고 깊이 생각하는 과정에서 찾을 수 있다. 명현 군도 그랬다. 중학교 1학년 때 우연찮게 대체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한 강의를 들었다. 사실 대체 에너지가 뭔지도 잘 모르던 때였다. 그런데 그 중 한 내용이 그에게 충격적으로 다가왔다. 바로 지구에 들어오는 태양 ... ...
100년의 기다림, 금성일식 현상!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경복여고 ‘지구과학 탐구반’이 금성일식 관측을 위해, 천체 관측회를 열었다. 26명의 학생들과 6명의 동아리 도우미 학생들과 함께 진행했다. 금성일식 현상은 지난 6 ... 날 망원경의 재원 설명과 태양 관측법 설명을 학생들 앞에서 했다는 점은 정말 큰
경험
이고 자랑거리가 될 것 같다 ... ...
[7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대한 전반적인 개념을 소개하고 직접 인터뷰한 국과수 연구원의 생생한 현장
경험
을 문답식으로 알기 쉽게 풀이했다. 당연하겠지만 이 기사는 미세증거물이라는 주제에 가장 근접해 있는 국과수 연구원을 직접 취재해 살아 있는 현장의 이야기가 됐다. 짧은 시간에도 불구하고 연구원이 전해준 ... ...
Part 2. 감기약 먹었는데 왜 변비가 올까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기간, 피로를 풀기 위해 에너지드링크를 마셨는데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여러 병 마셔본
경험
이 있을 것이다. 당연한 결과다. 에너지 드링크의 주성분은 타우린과 카페인이다. 타우린은 아미노산으로 피로 회복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여기서 ‘피로 회복’이라는 말의 뜻을 잘 생각해 봐야 ... ...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맞췄다. 사람이나 동물은 환경이 변하거나 자극을 받으면 본능적으로 반응한다. 때론
경험
에 맞춰 행동한다. 과학자들은 이처럼 간단한 생물학적 원리를 이용해 동물을 조종하고자 했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지난 2006년 미국 국방과학연구소는 곤충에 전자 칩을 이식해 정찰용이나 ... ...
잡생각 많은 당신, 걱정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자기투영 활동이다. 버크너 교수는 “잡념은 디폴트 네트워크가 우리가 직접적으로
경험
하는 외부 세계와 별도로 세상을 시뮬레이션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한편 자기투영을 이루는 기억(과거)과 조망(미래), 마음의 이론(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하기)은 서로 별개의 과정인 것 같지만 역시 ... ...
몸속 구석구석 3D로 본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게 아니에요. 사회의 트렌드를 내다보고 사회에 도움이 되는 일을 해서 성공했다, 이런
경험
이 학생들에게 중요한 거죠.”신 교수는 자신의 연구실이 사회에 도움되는 사업을 할 기회가 많다고 자랑했다. 사람이 사는 이상 건강은 반드시 필요하고 중요한 조건이기 때문이다. 연구실의 다른 ... ...
융합이 나의 연구경쟁력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바탕인 것이다. 또한 전혀 다른 배경을 갖고 있는 의사들과의 협력 연구와 의사소통
경험
은 문과와 이과의 융합이 필요한 현대에 매우 중요하다. 필자가 조교수로 재직 중인 가톨릭대 디지털미디어학부에서는 물론이고, 사회에서 만나는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협력하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다.작은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