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개요
요약
적요
개괄
귀결
추정
d라이브러리
"
결론
"(으)로 총 2,137건 검색되었습니다.
남해안 철새도래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삼성고현조선소 등과 해상교통량이 많아진 것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현장에서
결론
내렸다.■ 주남·동판 저수지24일 오후 늦게 부곡에 도착한 탐사대는 휴식을 취하면서 내일의 탐사에 대비했다. 저녁시간에 그동안 새만 좇아다녔던 윤무부 교수의 경험을 간접적으로 전해들으면서 탐사방법에 ... ...
${10}^{-29}$㎝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비롯됐다. 소금에서 나오는 발광은 원자핵에서 방출되는 입자에 의해서 일어나는 것으로
결론
내려졌다. 초기에 약력에 대해서는 정확히 이해되지 못했으나 1967년 살람(Salam)과 와인버그(Weinberg)가 약력과 전자기력을 통일하는 이론을 제안함으로써 폭넓게 이해되기 시작했다. 이 이론이 낮은 ... ...
(2) 전자기학을 확립해온 사람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실험을 통해 확인됐다.이런 성질을 바탕으로 이룩된 상대론 역학은 또 한가지 놀라운
결론
을 내린다. 물체의 질량이 빨리 움직일수록 무거워진다는 것이다. 또한 질량은 에너지와 같다는 것을 밝혀 질량과 에너지는 우주의 두 얼굴이 아니라 한 얼굴의 두 모습일 뿐임을 증명했다. 질량 곱하기 광속 ... ...
교통사고 원인분석 이것만은 알아두자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무의미한 것이다. 국내의 사고해석 사례를 보면, 과학적 지식의 결여때문에 잘못된
결론
에 이른 경우보다 사실과 주장을 구분하지 못하는데서 일을 그르치는 경우가 더 많다.요컨대 사고해석의 모태는 수집된 자료다. 따라서 사고해석의 신뢰도를 높이려면 무엇보다 현장조사를 철저히 해야 한다 ... ...
만약 은하와 은하가 맞부딪친다면…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것이라는 생각은 그 이후 10여년간 널리 인정됐으나 1960년대에 이르러 잘못된 것으로
결론
지어졌다. 그후로 70년대 후반까지 은하들의 상호충돌 가능성은 대다수의 천문학자들에 의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그러나 최근들어 급속도로 발전되고 있는 천문관측기술 덕택으로 우주공간에서 서로 ... ...
발명가가 되는 길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의 차이는 그야말로 종이 한장의 차이라는 얘기다. 그렇다면
결론
은 간단하다. 독특한 창조력이 있는 발명가가 되려면 우선 '나는 창조력이 있는 사람'이라는 생각부터 하면 된다.창조력이란 결코 베토벤이나 에디슨, 셰익스피어같은 사람들만의 것은 아니다. 창조력은 ... ...
레이저에서 광컴퓨터로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빛의 요동이 작아 실험기구를 혼란시키지 않는다면 이러한 변형들을 측정할 수 있다.
결론
적으로 양자광학은 정보과학에 주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적외선 펄스는 통신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고 결맞는 빛은 결상 및 광신호처리에 한 몫을 한다. 최근에 비선형광학은 광스위치, 기억소자, 광학컴퓨터 ... ...
질소산화물 대폭 줄여주는 메탄올 자동차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메탄올이 연료공급계의 신뢰성 제고 및 배기가스저감에 특별한 성과가 없는 것으로
결론
을 내렸다. 그래서 이제는 고농도 메탄올 이용기술에 관한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메탄올이 막 연구되기 시작할 때에는 그 연구목적이 단순히 대체에너지중 하나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1985년부터는 ... ...
영상문화의 대변혁 예고하는 미래의 TV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품평회를 가진 결과, 세로 가로 비율을 3대 5로 하는 것이 가장 현장감을 살릴 수 있다고
결론
을 내렸다(그후 9대16으로 변경).고선명 TV화면은 브라운관 세로 크기의 두세배 정도 거리에서 떨어져 보면 선명함과 현장감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 그러나 기존TV(화면비율 3대4)는 세로 크기의 6, 7배는 뒤로 ... ...
일본 과학의 독창성 논쟁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기각된 측에 대해서도, 왜 그렇게 됐다는 설명을 붙이지 않는다. 결국 코울만 박사의
결론
은 일본의 과학이 현상적으로 기초과학이 떨어지고, 일부에게나마 독창성이 결여됐다는 느낌을 갖게 하는 것은 '국민성'이 아니라 '사회제도' 때문이라는 것이다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