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교과서] 해님 달님, 늑대의 위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전자는 금세 튀어나왔지요. 왜 진동수에 따라 결과가 달라졌을까요?수수께끼를 푼 건 독일 태생의 미국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었어요. 1905년 아인슈타인은 빛이 파동의 성질도 지니지만, 동시에 입자이기도 하다는 ‘광양자설’을 발표했어요. 빛의 입자인 ‘광자’ 하나가 빠르게 달려와 ... ...
- [지구사랑탐사대] 이 조그만 벌레가 생물계의 슈퍼스타? 선충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선충의 계보도를 그려보고 싶어요! Q 잘 보이지도 않는데 어떻게 전국의 선충을 찾는 건가요?선충이 썩은 과일을 좋아하니, 주로 전국의 과수원이나 공원의 감나무를 찾아다녀요. 우리 연구실에서는 명절 때마다 고향에 가는 연구원들에게 썩은 과일을 주워오라고 부탁해요. 그러면 전국의 선충을 ... ...
- 자율주행차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달리던 방향에는 5명이 일하고 있고, 옆 선로에는 1명이 일하고 있지요. 선로를 바꿀 건가요? 대답하기 참 곤란하지요? 이 질문은 1967년 영국의 철학자 필리파 루스 풋 박사가 고안한 사고 실험이에요. ‘트롤리 문제*’로 잘 알려졌죠. 이 문제는 자율주행차를 처음 개발하면서부터 논의되고 있는 ... ...
- 지렁이를 사랑한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시민 과학자들의 도움을 받기로 했답니다. Q 왜 하필 ‘지렁이’인가요?지렁이는 건강한 토양을 위해 꼭 필요한 존재예요. 지렁이가 헤집고 다닌 흙 사이로 물과 공기가 들어가면서 식물이 더 잘 자라요. 그런데 사람들은 지렁이보단 조류나 포유류에 관심이 더 많죠. 저는 사람들의 관심을 돌리고 ... ...
- 우주의학 연구에 여성을 빼먹지 마!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지난해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와 브룩헤이븐국립연구소 공동연구팀은 우주방사선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암컷과 수컷 쥐를 모두 연구해 성차를 밝혔어요. 우주방사선은 초신성 폭발과 태양 활동 등으로 우주에서 쏟아지는 높은 에너지를 지닌 입자와 파동을 말해요. 이전 연구들은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냄새가 전기 반응이 일어날 때 나는 냄새일 거라 생각했답니다. 냄새의 정체가 밝혀진 건 그로부터 54년 뒤인 1839년이에요. 독일의 화학자인 크리스티안 쇤바인도 전기로 불꽃을 일으킬 때 이상한 냄새가 난다는 것을 포착했는데, 이때의 기체를 포집해 분석한 거예요. 그 결과 냄새의 원인 물질이 ... ...
- 빛으로 뇌를 조종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빛을 쏘면 채널로돕신 단백질이 빛과 반응해 전기 신호를 일으켰지요.연구팀이 조작한 건 노래를 듣고 학습하는 뇌 신경 회로예요. 노래를 학습하는 뇌 영역(HVC)과 이와 연결된 입력 신경(NIf)에 채널로돕신을 넣고 빛을 쏘았지요. 그 결과, 연구팀은 아기 금화조가 배우지 않은 노래의 음절을 스스로 ... ...
- [통합과학교과서] 범인은 바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한산하고 그늘진 병동. 꿀록 탐정이 한 병실의 차가운 문손잡이를 잡았어요.“여기가 토끼가 알려준 방이야. 동화 나라에서 문제를 일으킨 범인이 이 안에 있어.”개코 조 ... 모습을 보니 살짝 애잔한 기분까지 들었지요. “그런데 늑대 아저씨, 어디가 아프신 거예요?”“그건 말이지… ... ...
- [지구사랑탐사대] 국립생태원에서 연구자의 비밀노트를 작성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하이라이트는 단연 갯벌 탐사예요. 7년간 다양한 탐사가 있었지만, 갯벌 생태계를 탐험한 건 처음이거든요. 대원들은 설레는 마음을 안고 송림 갯벌로 이동해 진흙 속을 샅샅이 살펴보았어요. 그러자 갯벌 속에서 방게, 칠게, 동죽, 모시조개, 좁쌀무늬고둥 등 다양한 생물들이 고개를 빼꼼히 ... ...
- [노벨물리학상] 외계행성 발견의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처음 찾아내며 외계행성학 분야에 문을 열었지요. 당시 외계행성을 직접 관측하는 건 불가능했어요. 스스로 빛을 내는 별과 달리 외계행성은 그렇지 않거든요. 그래서 천문학자들은 중심별을 관찰해 외계행성의 흔적을 발견하려고 했어요. 외계행성이 중심별 주위를 공전하면 둘 사이의 인력 ...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