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능성"(으)로 총 5,94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MERS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주목하고 있다. 메르스 바이러스 역시 낙타는 중간숙주일 뿐이고, 자연숙주는 박쥐일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낙타와 연관성을 찾기 어려운 메르스 감염자가 있었으며, 사우디아라비아보다 낙타를 훨씬 많이 키우는 소말리아나 케냐에는 메르스 감염이 거의 없다. 다만 아직 어떤 종이 숙주인지는 ... ...
- 작은 세계와 큰 세계를 잇는 다리, 볼츠만 상수 KB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변화만 관찰된다. 엔로피 증가의 법칙이라고도 불리는 열역학 제2 법칙은 결국 “일어날 가능성이 큰 일은 일어나기 마련이다”로 바꿔 부를 수 있다. 어찌보면 당연해 보이는 이 평범한 문장이 볼츠만이 우리에게 남긴 가장 놀라운 선물이다.볼츠만의 엔트로피는 1900년대 초 엄청난 논란을 ... ...
- [지식] 무엇이든 붙여 드립니다~!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진짜 아끼던 컵 손잡이가 깨졌을 때, 지갑이 찢어졌을 때, 우린 모두 ‘이것’을 찾는다. ‘이것’만 있으면 감쪽같이 원래대로 물건의 상태를 돌려놓을 수 있 ... 넘어 범죄 수사와 의료 분야에도 도움이 되고 있다. 이런 활약이 가능할 수 있었던 건 분자의 무한한 가능성 덕분이 아닐까 ... ...
- [생활] 대구 대명중 김동우 선생님 친구와 함께 걷는 수학수학동아 l2015년 06호
-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나온다. 그럼 도대체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 걸까? 여기 하나의 가능성을 보여 주는 수업이 있다. ‘한 명도 포기하지 않는 수업’, ‘좋아서 하는 수학’ 속으로 함께 들어가 보자.‘우리들의 수학쌤’ 김동우 선생님을 만나러 대구 대명중학교를 찾았다. 대명중학교는 교육부가 ... ...
-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SMR파(12∼15.9Hz)와 Mid-베타파가 증가했다. 실재감을 좀 더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 것이다.처음으로 돌아가서, 기자가 체험한 크레센트 베이의 실재감을 수치로 바꾸면 얼마가 나올까. 실재감 설문결과나 뇌 활성화 정도를 찾아봤으나 아쉽게도 아직 발표된 논문이 없었다. 혹시 ... ...
- PART2. 지진과 빅데이터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움직이면 지진일 가능성이 없지만 수천 대의 휴대전화가 동시에 움직이면 지진 일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 방법을 컴퓨 터 모델링을 이용해 과거 지진 사례에 적용해봤더니 실제와도 맞아 떨어졌다. 지진 발생 지역 사람들이 구 글의 넥서스 5 모델을 사용한다고 가정하고(이 모델 은 ... ...
- 10억 분의 4의 가능성, 뮤온 붕괴 현장 포착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물리학자들은 그동안 B중간자가 뮤온이라는 물질로 붕괴할 것으로 예측해왔지만, 그 가능성이 10억 분의 4 정도로 매우 낮아 지금까지 실험으로 증명하기는 어려웠다. 연구팀은 이 붕괴 반응을 6시그마(99.9999998%)의 정확도로 확인했다. 이는 2013년 힉스의 존재를 확인한 5시그마보다 더 명료한 결과다. ... ...
- [Life & Tech] 산(酸), ‘풍요의 시대’ 연 식품계의 일등 공신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잘 관리되고 통제된 상황에서 산을 이용해 대량 생산된 식품을 섭취했을 때 문제를 겪을 가능성은 낮다. 2010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일반식품 섭취에 의한 3-MCPD 인체 유해성은 낮은 편에 속한다. 검출량도 적다. 2007년 이후 식품의약품안전청 등이 여러 차례에 걸쳐 간장과 ... ...
- 전염병 예측하는 소프트웨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베르누이의 모델을 좀 더 정교하게 다듬어 ‘SIR 모델’을 만들었다. 대중을 감염 가능성이 있는 사람(Suspectible), 감염된 사람(Infectious), 회복된 사람(Removed)으로 나눠 초기 조건에 따라 홍역이 얼마나 퍼질지 예측하는 모델이었다. 오늘날에는 여기에 잠복기(Exposed)를 더한 ‘SEIR 모델’을 많이 쓰고 ... ...
- [지식] 여섯 번째 요리 문제는 선택이야! 이항정리와 커리수학동아 l2015년 06호
- 그래서 확률이 필요합니다. 확률이 앞날을 100% 맞히지는 않지만, 최소한 어떤 ‘가능성’이 있는지 말해 줍니다. 만약 어떤 길이 무너질 확률이 70%라면, 그 길을 피해서 가는 편이 좋습니다. 험난한 미래를 확률로 내다보기 위해선, 먼저 어떤 길이 있는지부터 모두 파악해야 합니다.경우를 알아야지 ...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