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치
지위
장소
좌석
처지
신분
공간
d라이브러리
"
자리
"(으)로 총 4,194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리온
자리
의 '말머리성운'
과학동아
l
200804
김일순(37) 씨가 영예의 대상을 차지했다. 김 씨는 지난해 말 강원도 횡성군에서 오리온
자리
의 암흑성운인 ‘말머리성운’을 찍은 사진을 출품했다. 심사위원장인 이용삼(천문우주학) 충북대 교수는 “대상작은 빨강(R)·초록(G)·파랑(B) 필터 외에 특수필터(Hα 필터)를 사용해 말머리처럼 우뚝 ... ...
part 1 미리 보는 이소연 씨의 ISS 10일
과학동아
l
200804
5차례 텔레비전 생중계소유즈 우주선이 지구를 30바퀴 돌았을 때 쯤 다시 우주복을 입고
자리
에 앉아 도킹 준비를 한다. 창밖으로 ISS가 보인다. ISS에 가까워지자 서로 속도가 같아져서 움직이지 않는 것 같다. 초속 20cm의 느린 속도로 ISS에 접근하다가 ‘퉁’ 소리를 내며 도킹에 성공.우리나라 ... ...
소설 경지에 오른 논문조작
과학동아
l
200804
데 논문 내 졸업하기 쉬운 실험실’을 찾아다닌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실제 일
자리
를 잡을 때에도 박사 과정 또는 박사후 과정 때 어디에 논문을 냈느냐가 결정적인 요인인 게 현실이다. 또 교수나 연구책임자가 된 뒤에도 연구비를 따내기 위한 연구계획서를 제출할 때 유명저널에 낸 ... ...
part 4 암기에서 해방시켜주는 인공해마
과학동아
l
200804
칩에 옮겼다. 연구팀은 다른 쥐의 해마를 파괴해 기억을 못 하도록 만든 뒤 해마가 있던
자리
에 칩을 심었다.물이 가득 든 수조 한가운데 투명한 섬을 만었다. 수조에 빠진 쥐는 빠져나오려고 발버둥치다가 우연히 섬을 찾아 살아난다. 10분 이내에 같은 실험을 반복하면 정상적인 쥐는 투명한 섬이라 ... ...
밤하늘에서 한국 최초 우주인과 마주보다
과학동아
l
200804
뒤 천정 근처에서 약 -4등급 까지 밝아진다. 그리고 2분 뒤 사자
자리
를 거쳐 동쪽 하늘 컵
자리
에서 -2등급 밝기에서 사라진다. 이소연 씨가 ISS에 머무는 동안 맨눈으로 ISS를 볼 수 있는 시각과 밝기를 아래 표와 성도에 정리했다 ... ...
지상을 박차고 우주로 비상하라
과학동아
l
200804
로켓연구회의 동아리방은 활주로를 따라 걷다보면 보이는 커다란 비행기 격납고 옆에
자리
잡고 있었다.“초등학생 때 만들던 물로켓을 떠올리면 섭섭하죠. 엔진은 철을 가공해 직접 만듭니다. 자동으로 고도를 측정하는 센서와 카메라를 로켓에 부착해 로켓이 몇 m까지 올라갔는지, 상공의 풍경이 ... ...
천년이 지나도 변치않는 마야블루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04
물 분자가 수증기로 날아가 홈이 비게 된다. 이
자리
에 인디고 분자가 들어간다.일단
자리
를 잡으면 팔리고스카이트 결정과 인디고 분자는 서로 단단히 결합해 웬만한 외부자극에도 꿈쩍하지 않는다. 한편 팔리고스카이트 결정의 영향으로 인디고 분자의 전자 분포가 바뀌면서 짙은 청색에서 ... ...
색소폰과 클라리넷 부는 공학자
과학동아
l
200804
사람이 악기 하나쯤은 익혀야 한다고.”지난 2월 말에는 연구실 출신들이 함께 모인
자리
에서 성 교수는 4년간의 연구활동을 발표한 뒤 대학원생들과 함께 콘서트를 열었다. 그는 가끔 제자의 가족들을 초청해 연주회도 갖는다. 한 번은 학교 내 엔지니어하우스 대강당을 빌려 콘서트를 열었고, 다른 ... ...
일본 최초 우주실험실 '키보'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04
포개고 하강하는 새의 모양이다독수리
자리
의 1등성 알타이르의 바로 동쪽에 있는 별
자리
천구상(天球上)의 위치는 적경 20h 10m~21h 05m, 적위 +2°~+21°에 연한다3개의 4등성과 1개의 5등성이 작은 마름모 꼴을 하고 있고 여름철 끝무렵 초저녁에 남쪽 하늘 높이에서 볼 수 있다9월 하순 저녁 8시경에 ... ...
3. 나를 키운 건 8할이 그분
과학동아
l
200803
‘나의 꿈 나의 미래’라는 주제로 발표한 의정부여고 3학년 최은주 양. 그
자리
에 있던 신라대 생물과학과 고현숙 교수는 은주 양에게 첫눈에 반했고 주저 없이 ‘러브콜’을 보냈다. 당시 은주 양은 WISE 경기센터 소속이었고 고 교수는 WISE 부산·경남지역센터에 속한 여성 과학자였다. 그러나 게와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