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스페셜
"
줄
"(으)로 총 1,781건 검색되었습니다.
창조경제의 전초기지 대덕연구개발특구 화합 한마당
동아사이언스
l
2013.04.29
D 허브로서 우수한 연구인력 등 인프라를 바탕으로 창조경제 실현의 전초기지 역할을 해
줄
것을 당부드리며, 정부에서도 대덕연구개발특구가 희망의 새 시대를 열어가는 주역이 되도록 최선의 정책적 지원을 하겠다”라고 격려했다 ... ...
노트북에 코를 갖다 댄 사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6
빛(광자)을 내보냄으로써 시각 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음파를 내보냄으로써 청각 정보를
줄
수 있다. 반면 후각과 미각은 해당 감각을 주는 분자가 직접 감각기관인 코와 혀에 도달해 자극을 줘야 하는 화학적 감각이므로 컴퓨터가 이런 정보를 준다는 건 애당초 불가능한 얘기다. 이번 해프닝을 ... ...
‘오메가3’ 먹어야 하는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즉 단순히 영양 밸런스가 맞는 메뉴가 아니라 대사질환과 관련된 신호전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식단을 디자인할 수 있다는 것. 앞으로도 생명과학의 발견이 영양학의 패러다임을 바꾸는데 어떤 역할을 할지 지켜볼 일이다.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있는데, 충돌하는 물체가 어떤 물질로 이뤄졌느냐에 따라 운석을 남기느냐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이번 러시아 유성체의 경우 주로 철로 이뤄진 단단한 물질이기 때문에 폭발에도 완전히 타버리지 않고 약 5% 정도가 수많은 운석으로 쪼개져 지구에 쏟아져 내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저자는 ... ...
곡물 게놈 해독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사람들에게 심각한 알레르기를 유발한다. 하지만 분명한 건 밀은 쌀이나 다른 곡물은
줄
수 없는 독특한 식감과 풍미를 갖는 음식을 만드는 식재료라는 사실이다. 밀이 그토록 복잡한 식물이라는 게 왠지 더 어울린다는 생각도 든다. 눈 오는 날 베이커리 카페 창가에 앉아 오븐에서 갓 나온 ... ...
건강하게 오래 살려면 1日1食해야 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NIA)는 1987년부터 시작한 붉은털원숭이를 대상으로 한 칼로리 제한 실험(30%
줄
임)의 결과를 발표했는데 수명연장 효과가 없었다고 밝혔다. 같은 종을 대상으로 비슷한 기간 동안 실험을 진행한 위스콘신국립영장류연구소의 결과와 모순되는 내용이다. 최고의 시설에서 76마리(WNPRC)와 86마리(NIA)나 ... ...
쓰임새를 바꿔라 :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된 농기계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4.23
이것 또한 불편한 것이 많았다. 목활자는 조금만 사용해도 표면이 닳아서 없어지거나
줄
이 뭉그러져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내구성 문제가 있었다. 이때 그는 엄청난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나무 대신 금속으로 활자를 만들기로 한 것이다. 귀금속 세공의 경험이 있는 구텐베르크로서는 금속활자를 ... ...
제3세대 기업가정신과 소셜벤처 육성 전략
KOITA
l
2013.04.23
가야 한다. (중략) 넷째, 제3세대 기업가정신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이를 뒷받침해
줄
생태계 조성을 필요로 한다. 제1세대/제2세대를 통해 축적된 생태계를 계속 발전시키면서, 제3세대에서 새로 추가된 소셜벤처를 위한 추가적인 생태계 조성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기업가정신은 새로운 ... ...
주민등록증 이젠 몸 속에 넣고 다닌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2
수도 있을 것이다. 정부나 국가도 마찬가지다. 베리칩이 우리 생활을 편리하게 만들어
줄
것도 사실이고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할 가능성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어떤 명분이든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 수집과 일상적인 감시는 인간의 존엄성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일임을 잊지 말아야 할 ... ...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4.01
체코 프라하의 동물원에 프르제발스키 말 수십 마리가 있었는데, 1950년대에는 12마리까지
줄
어들기도 했다. 다행히 1977년 네덜란드 로테르담에서 ‘프르제발스키 말 보존?보호재단’이 설립됐고, 1992년 16마리를 몽골의 초원으로 되돌려 보내는 걸 시작으로 야생 복원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현재는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