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의학"(으)로 총 2,249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픈 자, 죽는 자, 멀쩡한 자2020.02.04
- 쓴다. 병원체는 감염병의 충분조건이 아니라 필요조건이라는 니콜의 발견은 오랫동안 의학계에서 무시됐다. 19세기 미생물학의 등장과 함께 전염병의 병원체 이론(germ theory)이 수천 년을 이어오던 체액 이론인 사람의 몸 상태가 원인이라는 주장을 몰아내면서 ‘병원체가 질병의 특성을 ... ...
- 신종 코로나 '무증상 감염' '잠복기 감염' 어떻게 다를까동아사이언스 l2020.02.04
- 정부 및 시민의 대응 방향' 포럼에서도 이종구 전 질병관리본부장(서울대 가정의학과 교수)은 "전문가들이 예측했던 것과 달리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초기에 적은 양의 바이러스만으로도 전염이 일어날 수 있다고 보인다"고 밝혔다. 그러나 일부에선 여전히 '무증상 감염(inapparent infection)'과 ... ...
- 의사들도 헷갈리는 신종코로나의 5가지 궁금증연합뉴스 l2020.02.04
- 조장하는 얘기들이 많아서 시민들은 물론이고 의사들조차 헷갈린다고 하는데요. 가정의학과와 안과, 피부과 등 14명의 전문의에게 의사들도 헷갈리는 코로나바이러스의 5가지 궁금증을 알아봤습니다. 첫 번째 궁금증은 밀접 접촉과 일상 접촉의 기준은 무엇인가 하는 점입니다. 메르스 사태 ... ...
- "WHO, 신종 코로나 발생 초기 중국 현지 조사 안한 건 실수 "동아사이언스 l2020.02.04
- 생략돼 충분한 평가가 진행되지 않았습니다” 감염병 전문가인 이종구 서울대 가정의학과 교수는 3일 오후 5시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긴급전망과 정부 및 시민의 대응 방향’ 포럼에서 “WHO의 실수라고 생각한다”며 “주권 침해와 같은 ... ...
- 前 질병관리본부장 "신종 코로나, 무증상 감염 가능성 충분하다" 동아사이언스 l2020.02.03
- 적은 바이러스 양으로도 전염이 일어날 수 있다고 판단합니다” 이종구 서울대 가정의학과 교수는 3일 오후5시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긴급전망과 정부 및 시민의 대응 방향’ 포럼에서 “처음에 세계보건기구(WHO)도 그 가능성을 믿지 않았지만 ... ...
- 전문가들 "신종 코로나, 中 검사속도 못따라가…아프리카 무방비" 팬데믹 가능성 경고동아사이언스 l2020.02.03
- 진단할 능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WHO 자문역으로 활동하는 다니엘 바우쉬 미국 열대의학 및 위생학회 과학 프로그램 수석은 “(아프리카에)바이러스를 감지할 진단 체계가 있는지 확신할 수 없다”고 말했다. 바우쉬 수석은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세네갈은 이를 진단할 수 있다”면서도 ... ...
- "신종 코로나, 고의적으로 만들었나" 의사SNS 달군 印논문 …전문가들 "가능성 희박" 2020.02.03
- 갖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아리 알레인 포이어 미국 미시간대 의대 계산의학및생물정보학 박사과정연구원은 본인의 블로그를 통해 "인도 연구팀의 이 논문은 과학적으로 근거가 부족하므로 그다지 큰 의미가 없다"는 내용의 반박글을 실었다. 포이어 연구원은 "인도 연구팀이 HIV와 ... ...
- WHO "무증상 전염, 확률 낮지만 가능해" 다시 언급동아사이언스 l2020.02.03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기존 감염병과 다른 전파유형이 나타난다”며 “과학적, 의학적으로 제기되는 수준을 넘어 선제적이고 과감한 방역대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WHO는 무증상 감염은 드문 사례라고 강조했다. WHO는 “무증상 감염은 드물 것으로 보인다”며 “메르스 ... ...
- 미, 신종코로나도 무섭지만..올 겨울 독감으로 8천200명 사망연합뉴스 l2020.02.01
- 독감은 미국인들이 달고 사는 일종의 '상수'가 됐다. 템플대 의대에서 가정 및 공동체 의학 수석을 맡고 있는 마곳 사보이 박사는 바로 이러한 친숙성 때문에 사람들이 독감을 과소평가하는 탓에 결과적으로 더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겨울철에 우리는 모든 바이러스 질환을 뭉뚱그려 심한 ... ...
- [인류와 질병] 공생 혹은 공멸···감염균의 진화2020.02.01
- 지원과 보호 대책, 그리고 무한한 응원이 필요하다. ※필자소개 박한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신경인류학자.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진화와 인간 사회에 대해 강의하며, 정신의 진화과정을 연구하고 있다. 《행복의 역습》, 《여성의 진화》, 《진화와 인간행동》를 옮겼고, 《재난과 ... ...
이전1711721731741751761771781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