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
당
파
편의
편익
떡
떡밥
d라이브러리
"
편
"(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기계에도 근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현재 상용화된 기술 중 가장 각광받는 방법은 역시 유압식입니다. 하지만 제어하기
편
하고, 가격도 상대적으로 싼 전기모터 방식도 포기하기 어렵습니다. 아마도 가까운 미래에 로봇이 상용화 된다면 가정용은 전기모터 방식이, 군사용 로봇은 유압식으로 통일되지 않을까요. 인공근육 방식은 그 ... ...
나로호 3차 발사 2012년으로 연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한국 최초 우주로켓 ‘나로호’의 세 번째 발사가 2012년 진행된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나로호 2차 발사 실패의 원인규명을 위해 1월 중 ... 올해 말로 임기가 끝나기 때문에 사실상 3차 발사가 내년으로 넘어간 지금 물러나는
편
이 낫다고 판단한 것 같다”고 밝혔다 ... ...
스마트 라이프 만드는 차세대 이동통신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기본으로 들어 있어 교통량에 따라 신호등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데도 쓸 수도 있다.
편
리한 데서 그치지 않고 생활의 효율을 높이는 사회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는 것이다.4세대가 아직 상용화되지도 않은 지금 벌써 스마트 라이프를 추구하는 5세대 이동통신 기술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 ...
뱀눈 뜨고 악취 풍기는 생존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많은 나비가 전 세계 어디에나 살고 있다. 잡아먹을 힘이 있는 포식자라고 해서 항상
편
안하게 살 수 있다거나 생존이 보장돼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연약한 애벌레가 위험천만한 세상을 항해하는 삶을 보면 그들이 왜 이런 생존 방법을 쓸 수밖에 없는지 이해하게 된다. 생존에 대충은 없다. ... ...
연구활동은 꿈을 이루는 과정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작아져 있는 현상을 관찰했습니다. 이 문제를 발견한 뒤 하루동안 TV가 있는 방의 한쪽
편
에서 시간대별로 가족들에 의해 TV 소리 크기가 어떻게 바뀌는지 알아봅니다. 그렇게 관찰하고 시간대별로 꾸준히 기록하며 조사했습니다. 낮에는 TV 소리가 커지고 밤이 되면 TV 소리가 작아지는 규칙성을 ... ...
Part 1. 날개 접었다 폈다, 출퇴근용 변신 비행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때까지 아무것도 할 수 없다. 조용히 앉아서 기다리기만 하면 된다. 잠시 후, 날개를 다
편
자동차는 작은 개인용 비행기로 변신해 하늘로 날아올랐다.인천 공항 톨게이트에 도착하는 데 걸린 시간은 40분 가량. 조용히 도로(활주로) 위로 내려서자 다시 차량에서 안내 음성이 들린다. “무사히 ... ...
관심도 지나치면 병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성향의 사람들은 자신이 붙임성이 있고 개방적이며 사교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한
편
으론 인간관계에서 강한 결속을 요구하고 자기에게 항상 관심을 기울여 주기를 바란다. 다른 사람들의 일에 지나친 책임감을 느껴 문제가 생기면 자신이 다 해결해줘야 한다고 생각하기도 한다.나는 확실히 이 ... ...
노래처럼 '좋은 날' 보내고 있어요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공부는 꽤 열심히 했죠.^^ 국어를 좋아했고요. 솔직히 말씀드리면 수학은 싫어하는
편
이었어요. 다른 이유는 없고, 수학을 잘 못했거든요. 수학공부는 어렵고 힘들었던 것 같아요.”수학은 자신이 없다며 조금은 부끄러운 듯 머뭇거리는 모습은 여느 여고생과 다를바가 없었다. 그렇지만 학생일 때 ... ...
Part 2. 기막힌 운이 승리를 가져다준 쌍륙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왼쪽 6자리에서 출발하며, 각자리에는 2개의 말을 놓는다. 주사위 숫자에 따라 말을 건너
편
(아래 또는 오른쪽)으로 모두 옮긴 다음, 주사위를 던져 나온 수에 따라 원래 자리로 모두 돌려보내면 이긴다. 자세한 놀이 방법은 별도로 제공되는 브로마이드를 참고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오일러가 사랑한 수 e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위한 문자로 e를 열 번 이상이나 사용했다. 또 오일러는 1731년에 골드바흐에게 보낸
편
지에서 ‘그 수의 *쌍곡선에 로그를 취하면 1이 되는 수’에 문자 e를 사용했다. 그러다가 1736년에 출판된 그의책 ‘역학(Mechania)’에 문자 e가 최초로 인쇄됐다. *자연로그자연로그는 오일러의 수 e를 밑으로 하는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