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날
오늘
현세
요즈음
최신
최근
d라이브러리
"
지금
"(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과학자들, 자연의 소리를 엿듣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3호
인간들은 자신들의 소음으로 지구를 덮어 자연의 소리를 지워버리고 있지요. 자연은
지금
도 소리를 통해 우리에게 환경 파괴의 심각성을 끊임없이 전달하고 있어요. 주변의 세상에 좀 더 관심을 가져 보세요. 자연의 소리를 통해 다른 어떤 곳에서 얻을 수 없는 기쁨을 느낄 수 있을 거예요 ... ...
[쇼킹사이언스] 트럭만 한 공룡이 돌을 삼킨 이유는? 보레알로펠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3호
공룡이 식사로 무엇을 먹었는지 알기란 거의 불가능에 가까워요. 공룡의 식생활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를 발견하기가 힘들거든요. 그런데 아주 가끔은 뱃 ... 바다에 가라앉았어요. 유해가 분해되기 전에 부드러운 퇴적물 속에 금방 파묻혀
지금
처럼 생생한 화석으로 보존될 수 있었답니다 ... ...
[가상인터뷰] 화성 ‘두더지’, 땅속으로 들어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3호
걸쳐 로봇 팔 끝에 달린 까만 주걱으로 두더지 장비를 꾹꾹 밀어 넣은 결과지. 하지만
지금
부터 시작이야. 이제부터는 두더지가 하기에 달려 있거든. 앞으로 두더지 장비가 스스로 땅속으로 계속해서 파고 들어가 5m 깊이까지 갈 수 있는지는 지켜봐야 해. 화성에 겨울이 다가오고 있어서 먼지 폭풍이 ... ...
[탐험대학] 자율주행, 공룡, 게임…?! 어떤 탐험을 좋아할지 몰라 다 준비했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3호
될 수 없단 사실을 알곤, 사라진 공룡을 연구하는 척추고생물학자가 되기로 결심했어요.
지금
전 여러 척추고생물 중에서도 몽골의 고비사막에 살았던 갑옷공룡을 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공룡 뼈를 연구하려면 생물의 분류를 잘 알아야 해요. 저와 함께 공룡을 탐험할 친구들은 앞으로 생물의 ... ...
질문하면 답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3호
기록은 없어요. 그래서 그가 실제로 146살이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요.
지금
까지 공식 기록으로 인정받는 가장 오래 산 사람은 프랑스의 할머니 ‘잔 칼망’이에요. 1875년 2월 21일 프랑스 아를에서 태어나 1997년 8월 4일 세상을 떠날 때까지 122년하고도 164일을 사셨죠. 얼마나 긴 ... ...
[특집] 해커의 침입을 막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3호
실험에 성공했어요. 양자암호를 통해 광자의 정보를 알아챌 수 있는 최대 길이는
지금
까지 144km였어요. 이번 실험으로 8배 이상의 먼 거리에서도 양자암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된 거예요. 양자암호를 연구하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연구망센터 이원혁 박사는 “모든 것이 연결되는 ... ...
[기초과학의 힘] 고품질 그래핀 4층으로 쌓았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방법도 개선해나갈 계획이다. 다층 그래핀을 반도체나 회로 등 다양한 소자에 적용하면
지금
까지 생각하지 못했던 물리적인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필자를 포함한 IBS 나노구조물리 연구단은 이렇게 다층 그래핀에서 특이적인 현상을 관찰하는 연구 또한 앞으로 계속 해나갈 계획이다 ... ...
2020년 과학동아가 만난 독자들 1200+α명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문제점도 들어 볼 수 있었다. 올해 3월 야심차게 시작한 ‘사이언스 보드’에서는
지금
도 각 분야 최고 과학자들과 미래 과학자인 독자들의 만남이 이뤄지고 있다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드디어 발사 성공! 새로운 시작을 열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수 있는 로켓을 개발하고 싶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로켓의 연비가
지금
보다 향상돼야 한다. 누리호에 들어가는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로켓의 단을 추가하면 절대 불가능한 일이 아니라고 본다.물론 성공하기까지 많은 난관이 있겠지만, 포기하면 할 수 있는 것은 아무 것도 ... ...
[이달의 책] 양자 물질? 그깟 거 내가 설명해 주지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여러 분야 중에서도 가장 많은 사람이 연구하고 있다는 응집물질물리학 관련 대중서도
지금
까지 없었다. 국내는 물론이고 과학 선진국이라고 하는 국가를 통틀어도 그런 책을 찾기가 매우 어렵다.이 가운데,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저자가 위상물질 등을 다루는 응집물질물리학을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