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으)로 총 3,731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가 만든 사이다의 맛과학동아 l2011년 01호
-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입니다.딱과와 함께 한 과학 수업은 생기 넘치는 체험의 장이 됐습니다. 박지은 선생님은 “아이들이 실험수업 시간을 기다린다”고 말했습니다 ... ...
- 블랙홀 박사님이 들려주시는 송유근 뛰어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여러분도 과학을 즐기며 자신만의 꿈을 키워 보세요"박석재 (한국천문연구원 원장)사람들이 절 천재소년이라고 부르지만, 전 좋아하는 것을 열심히 하는 것뿐이에요. 여러분도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찾아 보세요.송유근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석·박사 통합과정생 ... ...
- Part 1. 수학천재 H군, 올림피아드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1년 01호
- 되자, 아버지는 고교 수학을 담은 ‘수학의 정석’을 사오셨다. 책상에 앉혀놓고 한 장씩 가르친 건 아니다. H군이 밖에서 놀다가 들어올 때마다 지나가듯이 수학 개념을 하나씩 알려주셨다. H군 역시 흘려듣지 않고 머릿속에 하나둘 쌓아놓았다. 초등학교 2학년 때에는 고등학생도 어려워하는 미분 ... ...
- Part2. 우주 항해하는 '종이 돛단배'과학동아 l2011년 01호
- 로봇도 탄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주공간이나 심해처럼 사람이 가지 못하는 장소에서도 기계의 모양을 마음대로 바꿀 수 있는 미래가 점점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어린 시절에 본 애니메이션처럼 자유자재로 비행기나 배, 자동차로 변신하는 로봇을 만날 날이 그리 멀지 않았는지도 모른다 ... ...
- 뜨거운 대지에서 순박한 아픔을 만나다과학동아 l2011년 01호
- 큰 피해를 입고 있다.느지막이 산업화가 시작되면서 곳곳에 쓰레기 산이 쌓였다. 지금 당장은 먹고 사는 것, 편해지는 생활이 중요해 아무도 심각성이나 대책을 생각하지 않는다. 쓰레기 산이 높아지는 만큼 도시에는 빈민이 늘어나고, 부족들의 터전은 줄어든다. 우리를 향해 순박한 미소를 보내던 ... ...
- 2050 미리 가 보는 미래의 크리스마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24호
- 수 있고, 최대 1000∼1200시간 동안 불을 밝힐 수 있지요. 형광등이나 LED 같은 다른 조명 장치에 비해 효율이 낮아서 점점 설자리를 잃고 있어요. 우리나라도 2013년까지만 전구를 사용할 예정이랍니다.LEDLED는 1962년, 미국 일리노이대학교의 닉 호로니악 박사가 개발했어요. 상황에 따라 전기가 흐르기도 ... ...
- 밀착취재 반갑다 철새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23호
- 그럼 지금부터 특별히 초대한 ‘어린이과학동아’ 명예기자들과 함께 철새의 축제 현장으로 가 볼까요? 철새가 궁금하다!가창오리 기자입니다. 입동이 지나고 나니 어느덧 날씨가 제법 쌀쌀해졌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추운 우리나라의 겨울을 좋아하는 철새들이 여기 있다고 합니다. 차가운 ... ...
- 우주가 들썩 들썩~, 지구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21호
- 중이에요. 그동안 착륙선에 사용돼 왔던 부품들은 대부분은 영하 100℃ 이하에 서 금방 고장나 버려요. 그래서 추위에도 버틸 수 있는 새로운 부품 재료를 찾고 있어요. 동시에 낮에 충전해 밤에 쓸 수 있는 재충전이 가능한 연료전지도 개발하고 있답니다.지구방위대 요원들, 모두 수고했다. 자네들의 ... ...
- 발명탐정 테스트를 통과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21호
- 등재된 수원화성이에요. 찌릿찌릿 예리 질문무거운 물체를 적은 힘으로 들게 해 주는 장치에는 무엇이 있을까? 발명 ➊ 무거운 카메라를 자유자재로! 집 카메라(Jib camera). ... ...
- 풍선으로 지구를 찍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21호
- GPS를 달아 하늘로 띄웠어요. 이 풍선은 고도 30㎞ 상공의 대기권 밖으로까지 날아가 총 888장의 사진을 찍었는데, 다양한 기상현상은 물론 둥근 지구의 아름다운 모습도 담아냈답니다. 돈도 35만 원밖에 들지 않았다고 해요.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도전, 정말 멋지죠 ... ...
이전1711721731741751761771781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