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d라이브러리
"
잘못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국이 목판인쇄 고집한 이유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하나는 글을 일일이 손으로 베껴쓰는 방법이다. 이는 매우 지루한 작업인데다 실수로
잘못
베끼는 일이 허다했다. 다른 방법은 페이지 전체를 나무판 표면에 새긴 후 잉크를 묻혀 종이에 찍어내는 목판 인쇄술이었다. 이는 한 번에 많은 수의 복사본을 만들 수 있었지만 모든 페이지를 일일이 힘들게 ... ...
1. 공룡시대의 주역들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군림하기에 충분하다. 흔히 티라노사우루스를 쥐라기 공룡으로 알고 있는데 이는
잘못
이다.만약 티라노사우루스가 우리를 쫓아온다면 어떻게 될까. 티라노사우루스의 최대 속력은 32km/시다. 버스보다 큰 몸집으로 쿵쿵거리며 1백m를 11.25초로 달려오는 셈이다. 물론 티라노사우루스의 최대속력에 ... ...
초광폭 타이어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타이어를 장착하는 알로이휠의 지름을 인치 단위로 표시한 것이다. 초광폭 타이어
잘못
달면 손해요즘 유행하는 초광폭 저시리즈 타이어의 유행을 그대로 따르는 것은 비용 이외에도 적지않은 문제점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최고급 승용차를 타는 K씨는 이른바 초광폭 50시리즈 타이어를 ... ...
'뚱뚱한 미국' 불가피한 선택 비만 치료제 정식 인정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날씬하거나 가냘픈 체형이 비만의 반대 개념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건
잘못
된 생각이다. 영어에서 비만(obesity)의 반대어는 운동으로 단련된 건강한 신체라는 뜻의 피트니스(fitness, 건강함, 적당함)이다. 건강하고 아름다운 몸은 무작정 굶거나 약을 먹고, 다이어트 식품으로 만드는 것이 ... ...
인터넷 딜레마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고전이 된 영화 '워 게임'(War game)은 한 고등학교 학생이 비디오 게임을 훔치려다가
잘못
해서 미국 방위사령부의 컴퓨터에 들어가게 되어, 하마터면 핵 전쟁이 일어날 뻔한 위기 상황을 그린 영화다. 이 영화가 크게 성공하자, 해커로 자처하는 청소년들이 통신망을 뚫고 불법으로 다른 컴퓨터에 ... ...
하이텔 단말기 먼지 쌓인 채 천덕꾸러기로 전락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아닌지"를 묻는 질문이 쏟아지기도 했다.결국 한국통신측도 단말기 보급사업이 뭔가
잘못
됐다는 것을 뒤늦게서야 깨달은 듯 지난 95년 6월 애초의 계획을 조정, 보급대수를 3백만대에서 50만대로 낮춰잡고 보급 사업도 내년 말까지만 벌이기로 결정했다. 그리고 더 이상 추가 제작을 하지 않는 대신 ... ...
1. 전기를 고압으로 송전하는 까닭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돼 있는 전기기구를 사용할 때는 더 조심할 필요가 있다. 만일 접지되지 않은 쪽 전선이
잘못
돼 몸체와 연결된다면 땅과 몸체 사이에 전압차가 생긴다. 이 때 몸체에 손을 대면 전류가 흘러 충격을 받을 수 있다.이러한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2백20V용 도선은 세가닥으로 사용한다. 2백20V용 ... ...
두 얼굴의 장마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다시 꼬불꼬불하게 만드는 일을 진지하게 검토하고 있다.잘만 이용하면 도움을 주지만
잘못
하면 막대한 피해를 주는 장마. 그래서 장마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문제는 비단 우리나라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장마에 대한 선진국의 연구도 이제 시작 단계에 불과하다 ... ...
2. 몸 곳곳을 누비는 통증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오면 해당 부위 감각신경은 수초 내에 정보를 중추신경계로 보낸다. 이 정보는 무언가
잘못
되고 있다는 경고를 전달하는 동시에 주변 신경세포들을 서서히 흥분시킨다. 그래서 문제가 되는 심장과는 거리가 먼 팔과 손에 통증이 발생한다. 불안하면 통증이 심해진다화상을 입거나 살갗이 벗겨지면 ... ...
1. 참을 수 없는 고통의 메커니즘 : 병은 나아도 고통은 남는다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이상철 교수는 "병원에서 다른 과는 필요 없고 통증치료실만 있으면 된다는 생각은
잘못
" 이라고 단언한다.또 하태영 박사는 "고통에 시달리는 환자들이 처음에는 기대를 너무 많이 갖고 찾아오지만, 실제로 병은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에 아픔의 근원을 완전히 없애지 못한다" 고 지적한다. 예를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