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부인"(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날아오는 소행성 막기, 참 쉽죠!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지구에 소행성이 날아오면 인간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17년 전 영화 ‘아마겟돈’에서는 주인공이 목숨을 바쳐 소행성을 폭파시켜야했지만 2020년에는 훨씬 더 간단한(?) 방법이 있다.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지난 3월 25일 소행성궤도수정임무(ARM)의 상세 계획을 발표했다. 연구팀은 우주선을 소행성 ... ...
- [Knowledge] 불완전한 자연미인 다이아몬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미모와 젊음은 시들어도 다이아몬드는 영원히 빛을 발하네. 내 친구는 다이아몬드뿐~. 티파니! 까르띠에!”파리 환락가의 한 여가수와 젊은 극작가의 사랑을 그린 영화 ‘물랑루즈’에서 주인공 샤틴(니콜키드먼 분)이 부르는 노래다. 가사가 이미 말하고 있듯, 다이아몬드는 수많은 여성들의 영 ... ...
- [Knowledge] 1300년 전 석탑, 그 원형을 찾아과학동아 l2015년 05호
- 18년 전이던 1997년 겨울, 전북 익산 미륵사지. 저는 야트막한 산 아래 벌판에서 외로운 탑 둘을 보며 몸을 떨고 있었습니다. 추위 때문만은 아니었습니다. 1300년을 버텨온 석탑이 백전노장 같은 자태로 서 있었습니다. 세월이 도무지 가늠이 되지 않았습니다.미륵사지는 7세기 초반에 지어진 백제시대 ... ...
- [Life & Tech] 왕좌의 게임 속 끝나지 않는 겨울의 비밀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왕좌의 게임에 나오는 가상의 대륙 ‘웨스테로스’의 겨울은 매섭다. 바람은 두꺼운 옷을 집요하게 파고들고, 눈은 그칠 줄 모르며, 어둠은 땅을 집어 삼킨다. 괴물이 나온다는 무시무시한 소문이 돌기까지 한다. 하지만 웨스테로스 사람들이 겨울을 무서워하는 것은 이것 때문이 아니다.겨울이 무 ... ...
- [수학뉴스] 눈맞춤 기술로 자연스러운 셀카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셀카를 찍을 때면, 시선을 카메라에 둘지 화면에 둘지 늘 고민입니다. 사실 어딜 보아도, 카메라의 위치 때문에 사진 속 ‘나의 눈’은 정면이 아닌 다른 곳을 향하고 있습니다.그런데 최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하 ETRI)에서 눈맞춤이 가능한 영상 기술을 개발해 화제입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셀 ... ...
- [과학뉴스] 양자도 1부 1처?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과학자들이 거시적인 규모에서 양자 얽힘을 관측하는 데 최초로 성공했다. 이 과정에서 양자가 소수의 ‘얽힘 배우자’를 갖고 있을 때만 강하게 얽힌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양자 얽힘은 미시세계에서만 관측할 수 있는 현상으로 두 개의 양자 상태가 거리와 상관없이 서로 긴밀히 연결된 것을 뜻 ... ...
- Part 2.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지난해 겨울 강원도 인제군은 유독 조용했다. 소양강 상류의 넒은 얼음 벌판을 망치로 깨는 가족들이 있을 자리에, 무심한 바람만 불었다. 소양강에서 가족들을 내쫓은 것은 유례없는 가뭄이었다. 빙어축제를 개최하려면 인제대교 인근 소양강댐 수위가 180m 이상이어야 하는데, 턱없이 부족했다. 재 ... ...
- Part1. 거짓말 잘하는 비결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거짓말이 없다면 인류는 절망과 지루함으로 죽어버릴 것이다.” -아나톨 프랑스, ‘꽃피는 삶’“지나친 정직은 인간사회를 붕괴시킬 수 있다.” -데이비드 리빙스톤, ‘우리는 왜 거짓말을 하는가’‘거짓말의 발명(2009)’이란 영화가 있다. 모두가 거짓말을 못하는 사회에서 유일하게 거짓말을 ... ...
- [과학뉴스] 중생대 최대의 도마뱀, 고향은 한반도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공룡의 시대’라고 부르는 중생대. 하지만 이 시기에는 공룡 이외의 파충류도 육상을 누비고 있었다. 그 가운데 거대한 도마뱀도 있었는데, 최근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거대한 중생대 도마뱀의 정체가 국내 연구자에 의해 새롭게 밝혀졌다.박진영 대중을 위한 고생물학 자문단(PCP) 독립연구원과 ... ...
- [Hot Issue] 280만 년 전 최초 인류, 세상의 빛을 보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최초의 호모 속 조상’은 이렇게 생겼다 | 280만 년 전 첫 호모 속의 턱뼈를 자세히 뜯어보자. 어떤 특성이 있을까. 이 화석은 원시적인 종인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특성과, 진화한 종인 호모 속의 특성을 모두 갖고 있다.]이번 연구는 지금까지 밝혀진 가장 오래 된 호모 속 초기 인류를 밝혀냈 ... ...
이전1711721731741751761771781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