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융복합 파트너@DIGST] 곤충처럼 기고 사람처럼 땀 흘리는 자연모사 로봇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실제로 처음 손에 땀이 날 땐 표면장력이 발생해 마찰력이 커지지만, 수분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오히려 유체 점성력(viscous force)이 약해지며 마찰력이 다시 줄어든다.윤 교수는 “로봇손에서 분사하는 최적의 수분량을 계산해야 물건을 더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윤 교수팀은 ... ...
- [방구석 과학] 끓일수록 깊은 맛이? 가마솥 감바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찾을 수 있었습니다. 가마솥은 무쇠, 즉 주철로 만들어집니다. 주철은 탄소를 1.7% 이상 함유한 철의 합금이죠. 반면, 이번 실험에서 사용한 프라이팬은 알루미늄으로 이뤄진 제품이었습니다. 19.85도(절대온도 293K)에서 알루미늄의 열전도도는 238W/mK, 철은 78W/mK입니다. 철 합금은 탄소 함유량이 ... ...
- [이달의 책] 틀림의 두려움 떨쳐낸 과학적 상상력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추려낸 첫 번째 책 ‘위험한 과학책’은 2014년 발간 이후 전 세계 27개국에서 100만 권 이상 판매됐다. 세계 최대 온라인 쇼핑 사이트인 아마존 30주 연속 베스트셀러, 아마존이 선정한 올해의 과학책, 타임이 선정한 최고의 논픽션, 뉴스위크가 선정한 최고의 책. 심지어 그의 이름을 딴 소행성(494 ... ...
- [수학뉴스] 대구 코로나19 종식 개학했으면 3개월 미뤄졌을 수도…수학동아 l2020년 05호
- 그런데 대구 지역의 경우 현장 수업을 시작했다면 코로나19 사태가 종식되기까지 3개월 이상 더 걸렸을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습니다. 4월 2일 국가수리과학연구소 감염병연구팀은 대구 지역의 확산 데이터를 이용해 코로나19 전파 모형을 만들어 개학 여부에 따른 감염자 수를 예측한 결과를 ... ...
- [동상이문] 5화 사랑에 빠지는 순간 ‘허니와 클로버’수학동아 l2020년 05호
- 작아. 그래서 개나리가 벚꽃보다 먼저 피는 거야! 누적량이기는 하지만 날씨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따뜻해져야 꽃이 피는 거지. 어휴, 다들 영화 촬영하느라 힘들었겠어 ... ...
- [한페이지 뉴스] 인공감미료와 설탕의 차이, 장기도 안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없었다. 그러나 24시간 뒤부터 설탕 선호도가 뚜렷해졌고, 48시간 뒤에는 쥐들이 더 이상 인공감미료를 찾지 않았다. 연구팀은 쥐들의 뇌 활성도를 분석했다. 쥐의 뇌에 광섬유를 심고 뇌 신경세포의 칼슘 활성도에 따른 빛 변화를 측정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쥐의 장에 포도당을 주입했을 때 뇌간에 ... ...
- 인공 눈, 인공 팔, 인공 몸... 인체 개조 드라마 '루갈'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전극 칩이 미국, 독일 등에서 제품으로 출시됐다”고 말했다. 김 교수팀도 이들 제품 이상의 성능을 내는 망막용 신경 전극 칩의 특허를 출원한 상태다. 현재 고려대 의대, 충북대 생리학교실 등과 함께 이를 상용화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이다. 기범에게 장착한 양자컴퓨팅 칩 역시 먼 미래의 ... ...
- 지상망원경 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얻을 수 있는 파장의 정보도 한정적이다. 지상망원경은 가시광선(390~750nm)과 전파(1mm 이상), 일부 적외선 등의 빛을 이용한다. 감마선, 적외선 등은 대기 중에 흡수되거나 수증기 입자에 막혀 관측에 제약이 있다. 가령 마이크로파(1mm~1m)를 포착하는 서브밀리미터 망원경(SMT)은 건조하고 서늘하며 기후 ... ...
- [미국유학일기] 모두가 악동이 되는 날, 디치 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전통이 이어지고 있었다. 당시 나는 파인만이 묘사한 것처럼 캘리포니아공대에 정말 이상한(?) 학생들이 많이 다니는지 궁금했다. 몇 년 뒤, 캘리포니아공대에 입학한 나는 실감할 수 있었다.누군가 캘리포니아공대의 가장 중요한 전통이 뭐냐고 묻는다면, 단언컨대 재학생들은 모두 ‘디치 데이 ... ...
- [화장실의 변신 ②] 물을 적게 쓰는 변기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변기는 내부가 S자 모양이에요. 물을 내릴 때마다 S자 배관에 새로 물을 채워 넣다보니 10L 이상의 물이 사용되지요. 이에 2014년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한무영 교수와 변기 제조업체 여명테크는 ‘가변 트랩’을 사용해 물은 적게 쓰지만 성능은 똑같은 변기를 개발했어요. 가변 트랩은 모양이 ... ...
이전1711721731741751761771781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