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d라이브러리
"
원리
"(으)로 총 5,201건 검색되었습니다.
[화보] 건축, 수학으로 예술 작품이 되다!
수학동아
l
2014년 03호
더욱 극대화 됐다. 알고리즘을 품은 건축건축물의 외관 말고, 그 안에는 수학적
원리
가 없을까? 건물이 지어지는 과정에서 수학이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 한 예로 수학적 알고리즘과 모델링 기법으로 태양과 바람을 피하는 색다른 형태의 건물들이 탄생했다 ... ...
개인정보 보호, 새로운 암호체계가 답이다!
수학동아
l
2014년 03호
그 값은 25다.그런데 이 값은 원래 메시지인 10과 15를 더한 값과 같다. 따라서 이런
원리
를 이용하면 암호가 걸린 상태에서도 통계적인 분석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실제 완전동형암호에서는 암호화된 메시지에 일부러 오류를 넣어서 안정성을 높인다. 전통적으로 암호는 수학 텃밭사실 암호는 ... ...
PART2.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상대적으로 단순한 색깔이 많았다. 오늘날 청둥오리 수컷이나 꿩이 화려한 것과 비슷한
원리
다.짝짓기 기간에는 수컷들이 깃털을 흔들며 춤을 췄다. 우선 높고 짧은 소리로 암컷의 시선을 끌었다. 암컷이 주목하면 머리와 꼬리를 좌우로 열심히 흔들거나 용수철처럼 튀어오르며 사랑을 고백했다. ... ...
÷가 상형문자의
원리
로 만들어졌다고?
수학동아
l
2014년 03호
유럽에서는 빼기로 쓰이던 ÷오늘날 쓰고 있는 나누기 기호÷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이전에 쓰여진 나누기 기호는 또 있다. 바로 ‘:(콜론)’이다. 독일의 수학자 라이프니츠는 1684년 독일의 첫 번째 과학 저널 에서 비율과 나누기를 나타낼 때 이 기호를 사용했다. 하지만 이 기호는 나누 ... ...
호킹은 왜 블랙홀이 없다고 하는가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수정해야 한다는 피할 수 없는 결론에 다다르고, 이는 이론물리학자들에게는 양자
원리
가 옳지 않다는 말만큼이나 수긍하기 어려운 것이다. 호킹과 ‘퍼즈볼 가설’지난해 8월 UC 산타바바라에서는 ‘블랙홀 우주’라는 주제로 관련 학자들의 모임이 열려 이에 대한 여러 견해가 발표됐다고 한다. ... ...
신은 주사위를 던진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된다. 지금도 신은 주사위를 던지고 있다는 말이다. 그것도 아주 자주! 하지만 불확정성
원리
에는 하이젠베르크도 생각지 못한 미묘한 부분이 있었으니, 다음 호를 기대하시라 ... ...
총에 맞아도 15초면 지혈 끝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안에 이 알갱이들을 넣으면 피를 흡수하면서 부푼다. 시중에서 파는 요술행주와 비슷한
원리
다. 엑스타트는 흡수력이 월등해 단 3알만으로 거즈 5롤을 대체할 수 있다. 게다가 부피가 커지면서 상처를 압박하는 효과도 있어 주입 후 15초 정도면 지혈이 된다. 스테인바흐는 “전쟁에서 가장 주된 ... ...
보글보글 거품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2호
용액과 황산알루미늄 용액이 섞여 거품이 생기지요. 포말소화기로 불을 끄는
원리
는 불에 거품을 뿜어 공기를 차단시키는 것이랍니다.게가 게거품을 물지 않는다면? 더 이상 물 밖에서 살 수가 없어요. 게는 죽은 물고기 같은 먹이를 먹기 위해 물 밖으로 나와요. 아가미로는 물속에서만 숨쉴 수 ... ...
상속자들 공평한 분배법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4년 02호
‘양’에만 초점을 둔 분배 때문에 죽게 되었고, 여우는 수학적인 ‘공평한 분배’의
원리
를 적용한 분배를 한 덕에 살아남은 것은 아닐까.2. 솔로몬의 지혜로운 재판한 아이를 두고 서로 자기 아들이라고 주장하며 다투는 두 여인이 있었다. 사람들은 두 여인에게 지혜의 왕 솔로몬을 찾아가 보라고 ... ...
Part 1. 다른 듯 닮은 그녀들의 허벅지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낮아 힘을 내기 어렵지만, 운동을 하면 긴장도가 커지면서 큰 힘을 낼 수 있는 것과 같은
원리
다. 오재근 한국체대 운동건강관리학과 교수는 “울퉁불퉁한 근육질인 보디빌더보다 마른 역도선수가 더 큰 힘을 내는 것은 훈련을 통해 힘의 긴장도를 높였기 때문”이라며 “무릎을 굽혔다가 갑자기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