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우량
우월
탁월
상위
유망
유명
저명
d라이브러리
"
우수
"(으)로 총 2,253건 검색되었습니다.
PC통신 확산의 밑거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추가됐음을 알 수 있다. 마우스와 귀여운 아이콘(icon)의 지원이 이런 범주에 속한다.
우수
한 통신소프트웨어의 발표와 지속적인 버전업(version-up)을 통해 많은 컴퓨터사용자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하늘소팀의 노력에 찬사를 보낸다 ... ...
(1) 거세지는 외풍, 뒷걸음질치는 정책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위한 기초과학진흥방안은 당시 전국 대학의 너나없는 환영을 받았지만 한국과학재단의
우수
연구센터사업외에는 이렇다할 정책수단을 탄생시키지 못했다. 기초과학에 대한 강조는 급격히 불어나는 무역적자에서 비롯된 경제난국론에 밀려나고 과학기술정책은 산업기술정책으로 편향되고 말아 ... ...
특집2 기억력 갖거나 수소 먹고 사는 특수기능 지닌 마법의 금속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텔레비전 냉장고를 비롯한 모든 케이스가 고분자의 일종. 요즘은 고분자의 성능이 워낙
우수
해 각종 산업용제품은 물론 자동차 항공기의 영역에까지 널리 응용되고 있어 현대를 고분자 시대라 부르기도 한다.고분자는 분자량이 5만 이상인 것을 말한다. 분자량이 적은 기체나 액체상태의 단량체를 ... ...
(3) 과학동아 편집실이 뽑은 '6공'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잇따라 발표됐다. 현재 성공적으로 시행되는 사업은 90년부터 과학재단이 주도하는 SRC(
우수
과학연구센터)와 ERC(공학연구센터)의 선발 및 운영이다. 선발과정에서 약간의 잡음이 없지 않았지만 10억원 가량의 거액지원이 이뤄진 것은 유사이래 처음이어서 계획대로 잘만 운영된다면 소기의 성과를 ... ...
소련 과학자들 해외취업 붐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소련의 대변혁 이후 소련학자들의 해외취업이 날로 늘고 있다. 소련 국내의 경제사정이 어려워져 과학자들에 대한 대우가 형편없이 떨어졌기 ... 있지만 '격동의 세월'이 수습되면 해외진출을 적극 억제할지도 모른다. 따라서 소련의
우수
과학자를 유치하자면 바로 지금이 기회인 셈이다 ... ...
91년 국내 화제의 발명품 총집합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무상지원되고 있다. 또 발명장려관에 1년동안 무료전시해 준다. 아울러 매년 열리는 전국
우수
발명품전시회 출품전시도 가능하다. 미국 독일 스위스(제네바)에서 열리는 국제발명전에 출품할 경우에는 출품비가 지원되고 수상하면 포상금도 준다.무엇보다 큰 혜택은 개인 및 중소기업 특허에 대한 ... ...
현대의 컴퓨터 언어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있었다. 유럽사람들의 프롤로그에 대한 애착은 상당했다. 프롤로그가 리스프보다
우수
하다는 논문이 유럽을 중심으로 마구 쏟아져 나왔다.게다가 일본이 제5세대 컴퓨터의 전체 시스템 언어로서 프롤로그를 선택함에 따라 인공지능학계의 판도가 다소 바뀌게 됐다. 그 여파로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 ...
대덕시대 개막으로 재웅비 꿈꾸는 스무살 KAIST 고뇌와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마련했다.머리와 꼬리가 물리는 문제이긴 하지만 기업의 투자를 유발하기 위해서는
우수
한 학생과 교수진으로 타 대학과의 경쟁에서 우위에 서야한다는 것이 자명한 사실이다. 이를 위해 원측은 타 이공계대학과는 다른 KAIST만의 독자성을 확보하려는 계획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그 핵심은 ... ...
학부과정은 폭넓은 기초지식 쌓는 장(場)이 돼야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과별 정원은 묶어두는 반면 학과수를 늘리는 쪽으로 진행됐다. 이들 신설학과들은 대개
우수
한 학생을 끌어들이기 위해 첨단 학문에 걸맞는 명칭을 붙였지만 교과내용을 들여다보면 기존 학과들과 별차이가 없어 오히려 학문의 폭만 좁힌 꼴이 됐다.대학마다 비슷한 학과들이 즐비한 원인으로 ... ...
전자센서보다
우수
한 광학섬유센서 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전자샌서의 최대 고민거리인 전자파장해 번개 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최근 국내외를 막론하고 건물의 붕괴사고가 빈번하다. 특히 우리는 뭔가에 쫓기듯 아파트 신축을 서두르고 있어 건물의 피로도, 즉 스트레스에 관해서는 별 관심이 없다. 심지어는 콘크리트의 양생기간도 지켜지지 않고 염도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