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과제
d라이브러리
"
연구주제
"(으)로 총 1,87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환경을 지키는 녹색바람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에코 브라질은 환경오염으로 신음하고 있는 54억 지구가족에게 「깨끗한 푸른 별」을 약속하는 하나의 희망으로 오래 기억될 것이다.병든 지구환경을 살리려는 역사적인 유엔환경개발회의의 부대행사인 브라질 환경기술박람회가 지난 6월6일부터 11일까지 6일간 상파울루 아넴비 공원 전시장에서 ... ...
(2) 다양한 방법론간 경쟁시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물론 철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고대 사상까지 연결될 수 있겠지만, 20세기초 수학의
연구주제
에서부터 본격적인 연구의 시작을 찾을 수 있다.20세기에 접어들면서 러셀을 비롯하여 많은 수학자들은 수학의 기초(원리)가 되는 일련의 체계를 찾고자 했다. 수학은 세계에 대한 논리적인 모델이고, ... ...
「무공해 녹색낙원」가꾸는 독일의 환경 교육·환경산업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모든 길은 환경문제 해결로 통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독일에서의 모든 생활은 환경문제와 직간접의 연관을 맺고 있다. 쓰레기를 버리는 일에서부터 중요한 정책결정에 이르기까지 환경문제를 고려하지 않고서는 행동할 수 없는 독일은 환경보호에 관한한 모범국가임을 자부한다.올해 유행할 ... ...
한국신경과학학회 초대회장 박찬웅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현대과학의 마지막 과제 뇌연구. 최근 국내에서도 이 분야 연구자들이 신경과학학회를 만들어 앞으로의 활동이 주목된다.현대과학이 남겨놓은 최후의 미개척지는 어디일까. 혹자는 '이제 과학자에게 남겨진 과제는 우주의 비밀을 밝히는 것과 인간 뇌 기능을 이해하는 것' 뿐이라고 단언한다. 이 ... ...
'건강 신발'로 불황탈출 묘책 내놓은 원인호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발명가라면 실현성이 아니라 가능성에 도전해야 합니다."올해로 발명인생 30년을 맞는 원인호씨(57)는 지난 6월 한달을 그 어느해 보다도 바쁘게 보냈다. 7년세월을 투자한 발명품 '건강신발'을 6월 중순 서울에서 열린 국제신발 및 기자재전을 통해 세상사람들에게 소개하느라 동분서주 초여름답지 ... ...
(3) 케텔 유료화 이후 급증추세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현재 운용중인 사설BBS는 전국에 5백여군데나 된다. 특히 케텔 유료화 이후 사설BBS로 통신인구가 몰려 기존 BBS들은 회원증가로 인한 시스템부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최근 1,2년 사이에 개인용 컴퓨터(PC)의 보급이 놀라울 정도로 확대되었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40메가바이트(MB) 하드디스크를 추가 ... ...
로봇 3형제의 묘기대행진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대전EXPO에서는 꿈돌이 안내 로봇과 기념촬영도 하고 로봇이 새겨준 얼굴조각도 받고 사물놀이로봇이 연주하는 우리의 전통가락도 감상할 수 있다.많은 사람들에게 첨단과학을 상징하는 물체를 하나 예로 들라면 아마 십중팔구는 로봇이라고 말할 것이다. 로봇의 개념이 처음 등장한 것은 1910년 체 ... ...
(1) 생명의 신비 추적, 구조식 그린다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현재 2천개 정도의 유전자에 대한 염색체지도가 작성돼 유전병 극복에 기여하고 있다.생명과학의 발달은 인류를 풍요롭고 쾌적한 여건에서 살 수 있도록 해 왔다. 이제 21세기 문턱에 선 생명 과학은 인간 자신을 주제로 하는 대규모 '인체게놈연구사업'(human genome project)을 범세계적으로 추진하고 있 ... ...
대덕연구학원도시 구상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명당자리 대덕에 연구단지를 건설하기로 하고 연구단지를 건설하기로 하고 부지를 닦고 있는데 박대통령으로부터 "그곳으로 수도를 이전하겠으니 공사를 중단하시오"하는 연락이 왔다.70년대 과학기술계를 회고해 볼 때 대덕 연구학원도시 건설은 큰 의미를 갖고 있다. 이 계획을 구상하기 시작 한 ... ...
오진, 불가항력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비록 의학적인 오진이라 할지라도 치료방법이 결과적으로 효과적이었거나 무해했다면 고의성이 없는 한 법률적인 오진으로 보지 않는다.과거 의술이 인술로 일컬어지던 때에는 의료는 환자의 권리가 아니라 시혜(施惠)란 개념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의료보장제도가 실시되면서 의료는 베품을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