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역사"(으)로 총 4,67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와 식, 겁내지 말고 쪼개 봐!수학동아 l2012년 02호
- 역사책 속에서도 자주 등장합니다. 임진왜란이나 병인양요, 임오군란, 갑신정변과 같은 역사적 사건들은 사건이 일어난 해를 기록에 남기기 위해 이 주기를 사건 이름으로 많이 사용했어요. 바로 이 속에 최소공배수가 숨어 있습니다.10개의 간과 12개의 지로 만들 수 있는 간지는 총 60개로, 60은 10과 ... ...
- 원시인은 식인종?과학동아 l2012년 02호
- 포레 족이나 프랑스, 스페인, 그리고 고인디언 유적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인류 역사에 식인 행위는 분명히 있었습니다. 심지어 현대 사회에서도 식인이 용납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안데스 산맥에서 비행기 추락 사고를 겪고 살아남은 사람들이 그 예지요. 그런데 이들을 식인종이라고 부를 수 ... ...
- 빅뱅 대 빅뱅과학동아 l2012년 02호
- 과목의 강의를 맡았다. 내 평소의 관심을 반영하듯 그 과목은 우주에 대한 인간의 탐구 역사, 특히 현재 가장 각광을 받고 있는 우주론인 빅뱅이론을 주로 다루었다.앞으로 가르칠 내용에 스스로 가슴벅차하며 학생들에게 물었다. “여러분. 빅뱅에 대해서 들어본 적 있나요?” 질문을 마치자마자 ... ...
- 아리랑2호의 세계 일주과학동아 l2012년 02호
- 희망봉이 가까이 있다. 유럽과 아시아인들에게 각각 다른 의미로 다가오기는 하지만 역사적으로는 대항해시대를 연 기념비 같은 곳이다.인간은 도시에서 편안함을 느낀다. 정글을 헤치는 것도 신나지만 낯선 이국의 거리를 걸으며 커피 한 잔의 사치를 누리고 싶다. 더구나 오래된 도시에는 조상의 ... ...
- Part 2. 시간 1000명에서 70억으로과학동아 l2012년 01호
- 곳이 스페인이었기에 붙은 이름일 뿐 발생지가 아니다)’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인류 역사상 최악의 병 사태’라고 규정할 정도로 위력적이었다. 2002년 호주 건강관리안전위원회의 발표에 따르면 최소 5000만 명에서 최대 1억 명이 이 병 하나로 사망했다. 당시 인구가 약 20억 명이었으므로 지구 ... ...
- Part3. 2150 지구로 보내는 편지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착륙한 장소나 마지막으로 작동을 마친 곳에 그대로 보존해 뒀어. 우리 같은 학생들이 역사를 공부할 수 있도록 말이야.내일 찾아갈 곳은, 아… 계산이 헷갈리는데…, 어, 지구의 2012년 8월에 화성에 착륙한 탐사선 ‘큐리오시티’가 있는 곳이야. 그때까지 왔던 탐사선 중에서 가장 컸다고 해. 바퀴가 ... ...
- 6000년 전 배달국의 천문대장을 만나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10월 말 음력 개천절에 역사 소설 ‘개천기(과학동아북스)’를 출간했다. 천문학자가 왜 역사소설을 썼을까.오성취루의 진실박 위원은 한국 상고사에 대한 책 ‘환단고기’의 ‘단군세기’에 나온 “무진 오십년 오성취루(戊辰 五十年 五星聚婁)”라는 기록에 주목했다. 이는 무진 50년(기원전 1733년) ... ...
- 오로라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다르다. 하얀 눈 대신 온 천지가 물과 바위다. 육지에서 흙을 보기 힘들 정도다. 바위들은 역사도 유구해서 46억 살 지구에서 가장 오래된 40억 살짜리 암석이 바로 이곳에 있다. 금빛으로 빛나는 바위들 옆에는 금광이 있고, 근처에는 다이아몬드와 구리 광산이 있다. 흰 색의 설원이 수묵으로 그린 ... ...
- 며느리도 모르는 장맛의 비밀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이 술은 1900년대 초반 일본에서 인기있는 술이었는데요. 전쟁 중에 공장이 망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어요. 그런데 1996년 도쿄대 과학자들이 잠들어 있는 우사기의 영혼을 흔들어 깨웠습니다! 이 술을 만들 때 사용했던 곰팡이인 흑국균(Aspergillus niger)으로 우사기를 복원한 거예요.”와~, 곰팡이 ... ...
- 1973년 허버트 보이어 교수의 제한효소를 이용한 재조합DNA 실험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생명공학(BT) 기술이 본격적으로 상업화 된 지 30주년이 되는 셈이다.휴물린 개발의 역사는 10여 년을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 기간 동안 줄곧 관여해 온 과학자가 바로 미국 UC샌프란시스코의 허버트 보이어 교수다. 1973년 그의 연구팀과 미국 스탠퍼드대의 스탠리 코언 교수팀이 함께 개발한 재조합 DNA ... ...
이전1711721731741751761771781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