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3.35m 점프하는 메뚜기 로봇 개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특수한 잠금 장치에 다리가 잠시 고정되도록 설계했다. 이런 상태에서 모터를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와이어가 풀리면서 힘이 발생한다. 이 힘을 관절과 연결된 스프링에 전달해 튀어 오르는 것이다. 자이트세이브 교수는 “이 로봇을 수색구조, 정찰, 환경 모니터링 등 다양한 임무에 활용할 수 ... ...
- [지식]왜 내게 이런 일이!- 스마트폰 잔혹사-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수 있다.계산 결과, 이렇게 회전하면서 떨어지는 스마트폰은 한 바퀴 이상을 돌아 뒷면 방향으로 떨어지기가 어렵다. 사람이 스마트폰을 들고 있는 높이는 사람 키의 절반 정도로 그리 높지 않고, 회전하는 속도가 충분히 빠르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화면이 바닥에 부딪히며 떨어질 ... ...
- [News & Issue]남자가 길 잘 찾는 이유는 ‘해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가게가 나오면 우회전’하는 방식으로 길을 찾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해마는 기본방향 인지와 관련된 뇌부위다. 핀츠카 연구원은 “과거 남자들이 주로 사냥을 하고 여자들은 채집을 했던 것이 뇌에 다른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행동학적뇌연구’ 201 ... ...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기술을 도입하기도 했다. 우선 광케이블을 단 쥐를 조그만 공 위에 고정시키고, 움직이는 방향에 맞춰 눈앞의 화면이 바뀌는 방식이다. 쥐는 공 위에 선 채로 미로를 찾을 수 있지만 새로운 실험을 위해 매번 프로그램을 다시 짜야했다.최근에는 아예 광케이블을 없앤 ‘무선마우스’가 등장했다. ... ...
- [Knowledge]전투면역 세포 백혈구의 재발견, 뉴트로필 리턴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이렇게 숫자가 많다보니 저희들이 어떻게 신호를 만들어내느냐에 따라 면역의 방향이 결정되는 셈이지요. 사회자 역시 머릿수로 밀어붙이는 전형적인 세포이기주의입니다! 뉴트로필 저희는 T 세포가 현장에 찾아올 수 있는 길라잡이 역할도 합니다. 이름하여 ‘헨젤과 그레텔 전략’입니다. ... ...
- [Career] 공간에 이야기를 입히는 학문, 건축학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인공적인 환경을 조성해 삶의 질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또 그것이 공대가 추구하는 방향이라고 생각하는데요. 이런 관점에서 건축학과가 공대에 속해있다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조항만 그렇습니다. 저는 건축을 미학과 공학이 결합된 학문이라고 봐요. 건축물은 그 시대의 최고 첨단 ... ...
- [Knowledge] 마치 누군가 설계한 듯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복잡한 적응을 만든다. 달리 말하면, 자연 선택은 개체의 번식 성공도(=적합도)를 늘리는 방향으로 작동한다.’ 왜 이 결론을 다음 달까지 기억해야 하냐면, 이 명제는 사회적 행동의 진화에 대해서는 완전히 틀린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아니, 뭐라고? 전중환_evopsy@gmail.com서울대 생물학과에서 ... ...
-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그 자체가 특이한 존재다. 중성미자는 스핀(질량, 전하량처럼 입자가 가진 고유한 특성) 방향이 늘 한쪽으로만 향하는 이상한 성질을 지니고 있다. 표준모형은 그 현상을 설명할 뿐 왜 그래야만 하는지 이유는 모른다. 심지어 중성미자가 입자와 반입자로 구분이 되는 것인지(디랙 중성미자), 아니면 ... ...
- [Tech & Fun]소녀탐정 ㅊ씨의 S(cience)-File ➊명탐정 코난의 제트 코스터 살인사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부산대 물리교육과 교수는 “이 트릭을 성공하기 위해선 범인이 롤러코스터의 가속도 방향을 초 단위로 일일이 확인해 계산해야 한다”며 “목표물에 정확히 줄을 던지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고 말했습니다.그렇다면 진짜 범인은 누구일까요? 탄성 있는 줄과 갈고리, 그리고 ... ...
- 그땐 그랬지! 1988 VS 2016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센서와 가속도계, 나침반이 게임기를 착용한 사람의 위치를 정밀하게 파악해 움직이는 방향이나 시선에 따라 렌즈에 보이는 화면을 맞춰 보여 준답니다.어때? 28년이라는 시간 동안 이렇게 큰 변화가 있었다니 참 신기하지? 이번에 본 기사 내용을 엄마, 아빠와 함께 이야기 나눠 보자. 엄마 아빠가 ... ...
이전1711721731741751761771781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