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화뉴스] 나노 플라스틱, 식물 성장도 방해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식물이 뿌리로 물을 흡수할 때 같이 흡수돼 식물의 성장을 방해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나노 플라스틱이 식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100nm(나노미터)보다 작은 나노 플라스틱을 토양에 섞었어요. 그리고 일반 토양과 나노 플라스틱 토양에 각각 애기장대를 심고 7주간 ... ...
- [시사과학] 페트병, 투명 옷으로 변신 중!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자원재활용법(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의 개정안을 시행한다고 발표했어요. 하지만 이미 시장에 나와 판매되고 있던 상품은 용기를 바꾸는 데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정부는 기업들에 올해 9월 24일까지 9개월의 계도 기간을 줬어요. 7월인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유색 페트병이 ... ...
- [한 장의 과학] 우리가 엑스선을 볼 수 있다면 우주의 모습은 어땠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월 17일, 지금까지 인류가 엑스선으로 관찰한 우주 중 가장 자세한 지도가 발표됐어요. 지구와 태양 사이에 있는 우주망원경 이로시타(eROSITA)가 모든 방향을 바라보고 엑스선으로 사진을 찍어 한 장으로 합친 사진이지요. ‘엑스선’이란 빛의 한 종류로, 우리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보다 에너지가 ... ...
- [기획] 자연의 소리가 바뀌고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시기와 거의 일치한 거죠. 이 소리를 직접 녹음한 버니 크라우스 박사는 “2019년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실제로 1970년 이후 미국 북부 지역에서 조류 30억 마리가 사라졌다”면서 “노래하는 새들의 수가 줄어들며 소리도 함께 사라지고 있다”고 말했답니다 ...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교수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지난해 TGO가 화성 상공 80~120km에서 녹색 빛을 관측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이 녹색 빛이 태양에서 온 강한 에너지 입자가 산소 원자와 반응해 발생한 ‘대기광’이라고 설명했어요. 이 산소는 화성 대기의 95%를 차지하는 이산화탄소에서 떨어져 나온 거지요.이번에 ... ...
- 디지털 세상, 안심하고 즐기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수 있게 돕는 사이버 보안관이야!어린이과학동아가 지난 6월 10일, 굿커뮤니티 규칙을 발표했다고 들었어.누구나 즐겁게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을 만들기 위한 노력이라며?나는 정보를 빼앗으려는 해커의 공격도 막고, 나쁜 댓글도 막고, 온라인 사기를 치려는 범죄자도 막는 일을 하고 ... ...
- [만화뉴스] 앗, 실수로 발견! 실크 단백질로 유통기한 늘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넣어 액체 상태로 만든 실크 단백질*로 유통기한을 늘릴 수 있는 포장재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실크 단백질이 음식의 부패를 늦출 수 있다는 사실은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베네데토 마렐리 연구원이 이 단백질에 딸기를 빠뜨린 실수 덕분에 알려졌어요. 실크 단백질이 묻으면 음식 표면의 ... ...
- [과학뉴스] 50원 동전만 한 바퀴벌레 로봇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바퀴벌레의 특징에서 영감을 얻어 지난 6월 3일, 로봇 ‘해머 주니어’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해머 주니어는 이전에 만든 해머 로봇을 절반 크기로 줄여 만든 것으로 50원짜리 동전 크기만 한 초소형 로봇이에요. 무게도 전작에 비해 10분의 1이나 줄어들었지요.이 로봇은 압전효과*를 이용해요. ... ...
- [탐험대학] 자율주행, 공룡, 게임…?! 어떤 탐험을 좋아할지 몰라 다 준비했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또래 친구들과 좋은 경험을 쌓고 탐구 정신을 발전시킬 것”이라며 탐험가 선언문을 발표했지요. 청소년들의 탐험가 선언을 듣고 멘토들은 어쩐지 긴장한 모습이었어요. 박재필 대표는 “오늘 학생들의 적극적인 질문을 들으니 좀 긴장된다”며 “앞으로 많이 공부해 청소년들에게 우주에 더 ... ...
- [통합과학 교과서] 웅녀, 사기꾼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넣어 실험에 성공했지요.그동안 베토벤 생쥐의 청력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연구는 여럿 발표됐지만, 염기 편집 기술을 이용한 건 이번이 처음이에요. 다만 한계는 이번 실험에서 유전자가 성공적으로 교정된 세포는 전체의 25%에 불과했다는 점에 있어요. 실험에 참여한 보스턴어린이병원의 제프리 ... ...
이전1711721731741751761771781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