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10만 명 게놈 분석 아시아 첫 유전자 지도 공개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생각한다. 그날이 올 때까지 게놈아시아 100K의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게놈 데이터에서 발견된 유전 변이의 빈도를 집단별로 공개해 민족마다 유전적 특성을 예측할 수 있도록 이바지할 계획이다. 예를 들어, 게놈아시아 100K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한국, 일본, 중국인은 와파린 부작용을 일으키는 ... ...
- 4000년 역사 ‘근의 공식’ 이제는 외울 필요 없다?! 2차 방정식 푸는 쉽고 새로운 방법 찾았다!수학동아 l2020년 02호
- 그동안 증명을 마주했을 수십 억 명의 사람들을 생각할 때 이 방법이 오늘날까지 인간의 발견을 피할 수 있었다는 것이 믿기지 않는다”며, “그럼에도 이 방법이 알려지거나 가르쳐지지 않았던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고 말했습니다. 브렌트 요기 미국 헨드릭스칼리지 수학 및 컴퓨터과학과 ... ...
- [이달의 책] 지동설은 맞고, 천동설은 틀리다? 외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사실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해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학문이 아니다. 현재 시점에서 발견된 증거에 비춰봤을 때 좀 더 설명하기 좋은 이론을 옳다고 판단하고 받아들일 뿐이다. 과학자에게 100% 완벽한 이론은 없다. 더 좋은 이론과 덜 좋은 이론이 있을 뿐이다.옳고 그름만으로 생각하기보다는 ... ...
- [이달의 과학사] 최초의 전자레인지 발명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시험하던 물리학자 퍼시 스펜서는 자기 주머니에 들어있던 초콜릿이 녹아있는 걸 발견했어요. 그는 마그네트론에서 만들어진 전자기파가 초콜릿을 녹였을 거로 추측하고, 몇 가지 식재료를 더 가지고 와서 실험했지요. 옥수수에 전자기파를 쬐어주자, 옥수수는 눈앞에서 팝콘으로 변했어요! ... ...
- [한페이지 뉴스] ‘별의 요람’ 위치는 우리은하 나선팔과학동아 l2020년 02호
- 3차원 지도를 만드는 과정에서 지구에서 약 500광년 떨어진 초대형 가스 구조물을 발견했다.초대형 가스 구조물은 고밀도의 성간 물질이 파도 모양으로 연결된 형태였다. 실처럼 길쭉하게 보이는 성간 물질이 은하 원반부를 오르내리는 것처럼 관측됐다. 가스 구조물은 길이가 9000광년, 너비가 40 ... ...
- 암흑물질의 비밀 밝힐 액시온의 기적과학동아 l2020년 02호
- 7년에 처음 알려진 액시온 입자도 머지않았다. 앞으로 10여 년 동안의 연구가 액시온 입자 발견이라는 결실로 이어지지 않을까 조심스레 예측해본다. 윤성우 기초과학연구원(IBS) 액시온 및극한상호작용연구단 연구위원이다. 미국 노스웨스턴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미국 ... ...
- 발굴 현장에서 지도를 그려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이번 발굴에서는 가야 유적 중에 최초로 별자리가 새겨진 돌 ‘천문개석’이 발견됐습니다. 또한 고분의 한쪽 벽에서 붉은 칠을 한 ‘채색고분’의 흔적도 최초로 찾아냈죠. 조 과장은 “이번 발굴로 그간 몰랐던 아라가야의 매장 풍습과 천문사상을 알게 된 것”이라며, “앞으로 가야사 연구가 ... ...
- [스타쌤 수학공부 꿀팁] 수학으로 소통하고 수학으로 관계 맺기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수학은 혼자 고민해 문제를 푸는 시간이 많은 학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죠. 하지만 실제 수학자는 매우 활발하게 교류하며 ‘함께’ 수학을 연구하는 경우 ... 혼자 고민하지 말고 친구들과 함께 머리를 맞대거나 선생님께 고민을 나눠보세요. 한층 성장한 자신을 발견하게 될 거예요 ... ...
- [한장의 과학] 껌으로 복원한 5700년 전 소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알아낸 전체 유전 정보가 당시 유럽 본토에서 사냥하던 사껌으로 복원한 롤란섬에서 발견한 자작나무 껌. 껌에서 추출한 DNA를 분석해 그린 소녀의 상상도. 람들의 DNA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거든요. 교수팀은 또한 소녀가 치주 질환이나 폐렴을 겪었고, 청둥오리와 헤이즐넛을 먹었을 것으로 ... ...
- 제주에서 바닷바람을 느끼다...과학동아 에너지 원정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생태계를 조사하고 있고, 현재까지는 남방큰돌고래가 관측되는 등 생태계 이상 징후는 발견되지 않고 있다. 블랭킷은 오히려 어류의 서식지 역할을 했다. 결과적으로 해양 생태계가 더 풍부해진 것으로 조사됐다. 우 대표는 “해상풍력과 함께 관광 효과까지 경험한 두모리 주민들은 ... ...
이전1711721731741751761771781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