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하
저승
나락
지옥
d라이브러리
"
땅속
"(으)로 총 2,427건 검색되었습니다.
전통민속놀이로 배우는 과학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설날 즈음 가족들이 모여 윷놀이며 연날리기,팽이치기를 즐기는 모습이 흔하다.그런데 우리의 전통 놀이 속에 흥미진진한 과학이 숨어있다.원리를 알고 놀이에 빠져들면 즐거움이 한층 더할 것이다.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다양한 놀이문화를 통해 힘든 일에서 벗어나 즐거운 여가시간을 보냈다. 온 ... ...
지구는 얼마나 클까?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고대 그리스인은 속이 텅 빈 거대한 공에 태양과 별이 붙어있고 그 가운데 떠 있는 편평한 원반모양의 세계에 사람이 살고 있다고 생각했다. 지금까지도 적지 않은 사람들이 감각적으로는 이러한 생각을 갖고 있으며 그들 중 상당수는 ‘지구는 둥근가’라는 질문에 쉽게 답을 내놓지 못한다.지구 ... ...
만약 마찰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손을 비비면 손바닥 사이의 마찰로 열이 생긴다.자동차가 급정거할 때 길바닥에 흉하게 만들어지는 바퀴 자국도 마찰에 의한 것이다.마찰의 본질은 무엇일까.그리고 마찰이 없어진다면 어떤 세상이 될까.'마찰'이라는 말에 대한 느낌은 그리 긍정적이지 못하다. “마찰 때문에 에너지를 잃어버린다 ... ...
공룡은 멸종하지 않았다. 지금도 하늘을 날고 있을뿐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새의 조상으로 알려진 시조새는 공룡과 어떤 관계일까.최근의 연구결과는 두발로 걷는 공룡으로부터 시조새가 진화했다는 점을 강력하게 시사하고 있다.두발 보행에서 마침내 날갯짓을 하는 방향으로 진화해온 조류 탄생의 드라마를 살펴보자.척추동물의 진화사에서 가장 극적인 드라마의 하나는 ... ...
조선 사람의 생로병사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싯달타가 아직 왕자이던 시절 왕궁을 빠져나와 바깥세상에서 본 것은 사람들이 누구나 태어나서, 병들어 아프고, 늙다가 죽어간다는 평범한 진리였다. 조선사람들도 그랬고 현재의 우리도 그러하다. 이것은 인간이 생로병사를 피할 수 없다는 점에서 과거나 현재가 다르지 않다는 말이다. 그러나 ... ...
Ⅲ. 민속학/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한민족의 전통적인 종교 상징물인 솟대,장승,서낭당 등이 북아시아의 여러 지역에서 비슷한 형태로 발견된다.이들이 제작된 시기를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다.다만 고대에 한반도와 북아시아에서 동일한 무속 문화가 널리 퍼져 있었으리라 짐작한다.사람은 누구나 자기가 살아온 세계에 익숙해져 ... ...
동물들의 기발한 속임수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아무 생각 없는 듯 단순해 보이기만 하는 동물들이 실제로는 수많은 속임수를 펼치며 살아가고 있다.낚시꾼처럼 그럴듯한 미끼를 던져 먹이를 낚아채기도 하고,자식을 속여 따돌린 후 혼자 배를 채우는 비정한 일도 있다.약육강식의 혹독한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해 동물들이 개발해온 다양한 속임 ... ...
스피드와 마찰의 조화, 스키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흰 설원을 가르며 계곡을 누비는 상쾌함으로 일상의 스트레스를 날려버리자.레저로 즐겼던 스키를 과학의 눈으로 살펴보는 것은 어떨까.스피드와 마찰의 조화로 벌어지는 슬로프 위의 매직을 지상에서 만나보자. 겨울 스포츠의 꽃으로 불리는 ‘스키’의 계절이다. 흰 설원을 가르며 만끽하는 ... ...
Ⅳ. 신화/석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하늘이 나라의 지도자를 내려준다고 믿으며 하늘을 소중하게 섬긴 사람들이 신화에 등장하는 우리의 겨례 조상이다.유형의 증거가 없기에 이들이 어느 시대에 살았는지 알 수 없다.다만 우주를 향해 열려있는 영혼을 소유했다는 점에서 오늘의 우리와 다르다.‘잘돼도 조상탓, 못 돼도 조상탓’ ... ...
진화가 대칭성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생물학지구상에 살고있는 생물체들과 그들에 의해 만들어진 구조물(인간을 포함해서)들은 거의 모두 대칭을 이루고 있다. 우리는 대칭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균형 잡힌 대칭구조에 대해 아름다움을 느끼는지 모른다. 이러한 생물의 대칭성은 틀림없는 진화의 산물이다. 그들이 처하고 있는 환경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