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큰길
한길
대도
가로수 길
d라이브러리
"
대로
"(으)로 총 2,23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신경과학학회 초대회장 박찬웅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필요하다고 봅니다."- 신경과학의 발달은 사실 컴퓨터 분야에서 인공지능 등 인간 뇌를 그
대로
흉내내려고 한 연구자들에 의해서도 추진됐다고 알고 있습니다. 신경과학발달이 타 학문이나 사회전반에 미칠 영향은 무엇이라고 보시는지요."대개 관심이 응용에 모아지는데 사실 신경과학을 크게 ... ...
시공을 뛰어넘는 원격체험 TE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설계된 가상공간에 사람이 들어가 현실감을 맛보는 것이라고 한다면 TE는 앞서 말한
대로
멀리 있는 현실 또는 혈관이나 집적회로의 내부와 같은 특수한 현실 속에서 사람이 원격적인 체험을 하는 상황을 일컫는다. 이때 TE의 성패를 가름하는 것은 사람이 느끼는 현장감의 수준일 것이다. 이것은 ... ...
핵사찰로 주목받는 우라늄과 플루토늄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제
대로
처분되지 못할 경우에는 인류에게 큰 위험이 될 수도 있다.우리가 우라늄을 제
대로
사용할 경우 우리는 생육하고 번성할 것이고 그렇지 못할 경우 우리는 어느날 베드로 후서 3장 12절에 기록된 다음과 같은 운명을 당할 것이다."그 날에 하늘이 불에 타서 풀어지고 체질이 뜨거운 불에 ... ...
'극초미니' 탐침현미경 STM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원자이동기술이 반도체의 메가바이트(megabyte)시대를 마감하고 기가바이트(gigabyte)시
대로
가는 견인차 역할을 할지도 모른다. 이렇게 인위적으로 원자배열을 한 소재를 반도체 칩제조에 사용할 경우, 현재보다 5백배나 더 미세한 수준으로 조립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예측도 나와 있다.또 ... ...
경제개발·환경보존 두 토끼 동시에 잡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인간은 그의 환경의 창조자인 동시에 피조물'이라는 스톡홈름 선언의 전문이 의미하는
대로
지구환경문제는 생태계의 일부분일 뿐인 인류가, 자기중심 개발로 망쳐온 지구를 돌이킬 수 없는 파국에 직면하기 전에 되살려 보자는 마지막 시도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된다. 책임을 서로에게 미루고 ... ...
겨울잠의 신비 밝혀 인간질병 고친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봄에 겨울잠에서 깨어났을 때 수백 파운드나 나가는 거구를 지탱해야 하는 골격을 그
대로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지방층을 효율적으로 이용몇년전, 넬슨박사와 함께 연구하고 있는 정형외과의인 티모시 플로이드박사는 잡아온 세마리 곰에서 동면중인 여러 시기에 걸쳐 뼈 조직 검사를 ... ...
1. 0.001초 차이 가려내는 컴퓨터 판정의 순간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지시하고 선수들은 다시 출발선에 정렬한다.두번째에는 부정출발이 없다. 시속 50km
대로
질주하는 인간탄환들은 눈깜박할 사이에 결승점을 통과한다. 4번 레인 선수가 두손을 번쩍 드는 순간 관중들은 그 선수가 우승한 것을 확인한다. 그러나 골인 장면을 자세히 본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다. ... ...
(2) 벙어리 컴퓨터가 달변가로 변신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저렴해져야 한다는 점이다. 현재 국내에서 발표된 멀티미디어 PC는 가격이 2,3백만원
대로
아직 일반 대중이 구입하기에는 고가인 단점이 있다.하지만 이러한 문제들은 3, 4년후에는 해결되어 바야흐로 꿈의 멀티미디어 시대에 접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 ...
밥상에 그릇과 수저만 있다고 배부른가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현실과는 거리가 멀고, 십분 활용키가 힘든 기준이 많더군요.우리 학교의 경우 기준
대로
모두 갖추기 위해서는 총 1억 5천만원이 필요하며 부족분만을 구입하는데도 1억2천만원이 필요하더군요. 과학과 1년 예산이 8백만원 정도인 점을 고려하면 교구만 사는데도 15년이 걸리니 이 얼마나 현실과 ... ...
3 날틀에서 점보기까지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노성에 사는 윤달규선생도 비차를 만들어 날렸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때가 바로 그 연
대로
보아 새를 모방한 날개치기 비행기를 꿈꾸던 시대인데, 우리나라 항공의 역사자료로 아주 자랑할만한 것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보다 자세한 내용의 기록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이 안타까울 뿐이다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