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축소
감퇴
감량
저하
하락
수축
점감
d라이브러리
"
감소
"(으)로 총 2,261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후와 이산화탄소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온실효과는 식물이 더 자라는 것으로는 상쇄되지 않으며, 아마도 앞으로 식량 생산은
감소
될 것이라고 한다.버지니아대학 스미스와 슈가트가 행한 이전의 연구를 통해 볼때, 증가되는 비율의 이산화탄소를 식물이 더이상 감당하지 못함이 밝혀졌다.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숲은 사라지고, 따라서 ... ...
헬리콥터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많은 공격 헬기들은 레이더 및 레이저 경보장치를 탑재해 대공 시스템에 대한 위험성을
감소
시키고 있으며, AH-64와 RAH-66 등은 전자석 재머도 탑재한다.또한 스텔스도 공격헬기에서 중요하게 됐다. 한가지 뚜렷한 경향은 넓은 각도에 걸쳐 태양빛을 반사하던 조종실의 이중 유리가 조그만 평탄형 ... ...
PART. 1 소프트웨어 불법복제 부쩍
감소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불법 복제 소프트웨어에 대한 강력한 단속의 효과로 컴퓨터사용자들의 정품사용이 크게 늘어났다.필요한 물건을 쓰려면 그에 상응하는 대금을 지불해야 하는 것이 당연한 일. 하지만 현실이 그렇지 못했던 국내 소프트웨어계에 올들어 새로운 변화가 일어났다. 컴퓨터 사용자들이 소프트웨어를 돈 ... ...
화학 - 산성비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있다. 그것은 석회석을 분해시키는데 연료의 열에너지의 일부를 빼앗기므로 열효율이
감소
하며 이산화황이 산화칼슘과 반응할 때 생기는 막대한 양의 고체 폐기물을 처리해야 하는 문제가 남는다. 예를 들어 화력발전소에서 약 15만명이 사용하는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16만t의 고체폐기물이 ... ...
안개 왜 생기고 건강에 어떤 영향 미치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많은 항구도시에서도 나타난다. 스모그에 대한 연구와 대책 긴요수평시정을 1㎞ 이하로
감소
시키는 안개는 교통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나 순수한 안개 자체가 인간생활, 특히 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는 기관지염 외에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안개와 연기의 혼합물인 스모그는 인간의 건강에 ... ...
(1) 초기 우주때 태어난 1세대별 사라지고 5세대별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없다. 그래서 헬륨연소 이후에는 핵에너지가 생성되지 않으므로 중심부의 온도와 압력이
감소
하면서 급격한 수축이 일어난다. 이런 과정에서 질량이 태양의 1.4배 이상 되는 별에서는 표면층의 물질이 밖으로 방출되어 고리모양으로 많이 관측된다. 이를 행성상 성운이라 한다(사진7).일생에서 ... ...
바이오스피어Ⅱ대원 귀환 보고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완전한 자급자족이 가능하도록 설계됐지만 연료는 언제나 부족했고 산소도 꾸준히
감소
해 2회에 걸쳐 외부로부터 산소공급을 받아야 했다.실버스톤은 이러한 환경적 장애로 인해 동료들간의 말다툼이 자주 일어났으나 폭력은 없었다고 증언하고 있다. 그녀는 이 일을 통해 분명한 목표를 가진 ... ...
'93 노벨상 수상 영광의 얼굴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그 쌍성계가 중력파에 의해 공전에너지를 잃는다고 가정하고 계산한 공전주기
감소
치와 정확히 일치한다. 이 중성자별 쌍성계는 항성풍(stellar wind) 등의 결과로 공전주기가 변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 헐스와 테일러의 발견은 중력파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입증한 셈이 되었다.여기서 ... ...
화학- 기름·물 모두 친한 알칼리대명사 비누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산소원자가 제거되므로 오존의 생성속도는 느려지고, 이로 인해 오존의 농도는
감소
한다(그림3).비록 CFCs는 우리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것이지만 오존층 파괴는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것이므로 그 사용을 규제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에어로졸의 사용을 규제하였는데 CFCs의 사용이 줄어들지 않고 ... ...
(3) 1초에 30번 회전, 서울시만한 크기에 태양과 같은 무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바로 별이다. 그런데 에너지 함몰현상이 벌어지면 별의 내부에서 열복사압력이 급격히
감소
한다. 철을 태우는 핵반응이 일어나는 순간 별의 내부에서는 별을 이루는 물질 간에 급격한 중력적 함몰현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간단히 말해서 마치 고층아파트의 2-3층이 갑자기 없어지는 현상을 상상하면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