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수학교육학회장 박만구 교수 "수학교육의 목표는 깊고 넓게 세상을 이해하게 하는 것"
수학동아
l
2020년 04호
암스트롱이 인류 역사상 최초로 달에 착륙했어요. 말 그대로 한 번도 해보지 않은 일을
가능
하게 만든 거예요. 어떻게 할 수 있었죠? ‘그냥 일단 날아가 봐~’ 할 순 없잖아요. 모두 과학자와 수학자가 계산을 해서 만든 결과였어요. 그게 수학이에요. 해보지 않은 것을 상상력만으로 해내도록 ... ...
[퍼즐라이프] 불
가능
에 도전하는 15 퍼즐의 변형
수학동아
l
2020년 04호
불
가능
해 보이지만, 실제로
가능
하다는 점이 퍼즐의 재미 요소 중 하나거든요. 불
가능
을
가능
하게 만들기 위해 퍼즐러들은 15 퍼즐을 살짝 변형해서 조각 2개의 위치만 바꿔도 풀 수 있는 퍼즐을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대표적으로 ‘카드 슈트 스위트’나 ‘잃어버린 모퉁이’를 만든 우크라이나의 ... ...
[과학뉴스] 세포 로봇의 등장! ‘제노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3호
본가드 교수는 “제노봇은 전통적인 기계 로봇과는 완전히 다르다”며, “프로그래밍이
가능
한 살아있는 유기체를 만들어냈다”고 자신들의 연구를 평가했어요. 하지만, 연구팀은 이 로봇의 성질이 생명체와 기계의 경계에 있기 때문에 윤리적인 논란도 남아있어 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답니다 ... ...
[질문하면 답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윤성철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우주는 계속 팽창하고 있기 때문에 관측
가능
한 우주는 시간이 갈수록 커진다”며, “과학자들은 관측할 수 있는 우주 밖에 또 다른 우주가 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어요. Q 액체 괴물은 액체인가요, 고체인가요? / 정유민 (yoominjung2010 ... ...
[한페이지 뉴스] 지구에 날아온 운석으로 알아낸 화성 나이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분석해서 그동안(화성의 형성 시기가) 잘못 알려진 것 같다”며 “화성 샘플 채취가
가능
해지면 화성의 진화에 대해 더욱 정확히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126/sciadv.aay233 ... ...
바이러스 확진부터 역학조사까지...질병관리본부 르포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있다”고 밝혔다. 다만 유전자 검출 검사는 몸속에 바이러스가 남아있는 동안에만
가능
하다. 만약 코로나19의 최대잠복기인 14일이 지나 바이러스가 배출된 뒤에는 바이러스 유전자가 체내에 남지 않아 유전자 검출 검사로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현재 질병관리본부는 잠복기가 지난 뒤에도 ... ...
코로나19 결말 영화 ‘컨테이젼’ 시나리오 따라가나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치료제를 써서 효과를 봤다는 일부 임상 결과가 나오고 있어 일단 중증 환자에게 쓰일
가능
성은 있다. 글로벌 팬데믹 될까? 영화 속 바이러스는 치사율이 25%로 불과 며칠 사이에 세계로 퍼져 한 달 만에 2600만 명의 사망자를 냈다. 반면 치사율이 2% 수준인 코로나19는 약 두 달 동안 30개국 2130명의 ... ...
[딥러닝마트]
수학동아
l
2020년 03호
학습을 통해 가장 좋은 전락을 내놓은 것이 아니라 왜 그런 전략을 내놓았는지까지 설명
가능
한 딥러닝 기술을 만들어 뛰어난 성과를 얻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 ...
[별헤는수학] 시민의 힘으로 만든 은하 동물원, 갤럭시 주
수학동아
l
2020년 03호
작업이 이뤄졌습니다. 하나의 은하당 최소 38번의 분류 작업이 이뤄진 만큼 잘못 분류될
가능
성이 낮아졌죠.예상보다 빠른 시간 내에 충분한 분류 작업이 끝나자 샤빈스키와 동료들은 갤럭시 주 시즌2를 시작했습니다. 이번에는 전자동 망원경이 촬영한 은하 사진 중에서 밝기가 밝은 25만 개만 ... ...
[진로체험] 반려견에 푹 빠진 수학 영재, 구원회 더식스데이 대표
수학동아
l
2020년 03호
증명한다는 건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거죠.데이터를 분석하는 것도 비슷합니다.
가능
한 많은 데이터를 수집해 그것들을 논리적으로 연결해 정리하면 하나의 결론에 도달하니까요. 또 수많은 숫자 데이터를 보고 이 수들이 무엇을 얘기하는지 현실과 연결해 읽어내는 능력도 업무에 큰 도움이 됩니다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