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의
요구
클레임
청구
진술
옹호론
역설
스페셜
"
주장
"(으)로 총 1,901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는가?
IBS
l
2015.03.26
스승의 이원론을 비판하며 실체와 별개로 존재하는 공간이 무의미하다고
주장
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지각가능한 실체만이 스스로 존재가능하며 모든 사유의 출발점이라며 실체와 분리된 공간을 부정했다. 대신 그는 실체끼리의 관계를 통해 공간 개념이 나타날 수는 있다고 보았다. 원래부터 ... ...
운동호르몬 ‘이리신’, 과학인가 신화인가?
2015.03.23
이뤄진 조각이다! 이에 대해 스피겔먼 교수팀은 제조사가 카탈로그를 잘못 만들었다고
주장
하고 있다. 이리신이 워낙 핫토픽이다보니 지금까지 이리신과 관련된 논문이 80여 편이나 나왔다. 그런데 다들 결과가 들쭉날쭉해 혈액에서 이리신 농도가 0.01~2000ng(나노그램)/㎖까지 엄청난 편차로 펼쳐져 ... ...
식품첨가물 유화제 알고보니…
2015.03.09
있게 안전한 식품첨가물로 허가가 난 건 수십 년 전 시험법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주장
했다. 즉 당시는 급성독성과 발암성 여부에만 신경을 썼기 때문에 염증이나 비만 같은 애매한 증상은 고려의 대상이 아니었다는 것. 이는 또 다른 식품첨가물인 인공감미료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앞으로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그 배후에 있는 심리학적 메커니즘을 이해해야 이에 대해 제대로 대처할 수 있다”고
주장
했다. ●동료 물리학자 아내 가로채 최근 대법원은 62년 동안 유지돼 온 간통법을 폐지한다고 밝혔다. 이제 배우자가 간통을 저질러도 이혼소송을 할 수 있을 뿐이라는 말이다(다만 위자료는 크게 뛸 ... ...
귀신의 과학
KISTI
l
2015.02.24
1. 실험 과정의 개요도. - 스위스 로잔 공과대학(EPFL) 제공 우선 평소에 유령을 본다고
주장
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실험에 들어갔다. 이들의 두 눈은 완전히 가린 상태였기 때문에, 주변 상황에 대해서는 전혀 인지할 수 없는 상태였다. 이어서 연구진은 손과 등, 그리고 허리 부위를 자극하는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것. 세 번째 서신은 논문이 적용한 줄기세포 분열 횟수 데이터도 믿을 만한 게 못 된다는
주장
이고 그 다음 서신은 암 예방 노력은 여전히 매우 중요하며 줄기세포 분열과 오류 횟수가 단순히 시간과 우연의 곱은 아니라고 언급했다. 1월 2일자 논문의 저자인 토마세티와 보겔스타인은 한쪽 반 ... ...
[생활 속의 기술]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KOITA
l
2015.02.16
고위대표인 안젤라 케인이 “킬러로봇의 개발을 법적으로 금지해야 한다”고 강경하게
주장
했다. ● 로봇은 아직 장난감 총과 진짜를 구분 못한다 논란의 핵심은 로봇이 사람에게 총을 쏘는 걸 판단할 만큼 충분히 똑똑하거나 윤리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킬러로봇이 아이와 어른 ... ...
[만화] 9시 등교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KISTI
l
2015.02.02
높다는 조사결과를 내놨어요. 모두 청소년들의 수면 부족이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는
주장
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들이지.” “아침에 늦게 등교하면 밥도 많이 먹을 수 있잖아요!” “그것도 중요한 얘기야. 등교 시간을 늦추면 아무래도 아침밥을 먹는 아이들이 더 늘어나겠지. 현재는 아침밥을 ... ...
환경과 지역 함께 살리는 아이디어
동아사이언스
l
2015.01.14
고려했을 때 경기도 가평이 대량의 폐기물을 자원화하는 시설을 설치하기에 적합하다고
주장
했다. 넉넉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유사시 군부대의 협조를 구할 수 있는 한편, 전력이 부족한 군부대에 여분의 에너지를 제공함으로써 상생 모델을 구축하기 용이하다는 것이 이유다. 친환경 에너지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수학과의 한 교수가 당시 기자였던 필자에게 보낸 e메일이 생각났다. 끈이론의 허구성을
주장
한 글이었는데 당시 필자는 ‘수학자분이 왜 이런 글을…’이라고 생각하며 모르는 체했다. 그때 ‘초끈이론의 진실’을 알고 있었다면 좋은 기획거리가 됐을 거라는 생각이 문득 든다.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