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쾌활
명랑
활동
행동
실행
활기
원기왕성
뉴스
"
활발
"(으)로 총 1,969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4.15
마음에 드는 표현이군! 그런데 사실 뇌 연구는 내가 살던 때뿐 아니라 아주 먼 옛날에도
활발
하게 진행됐어. 과거에 뇌 연구를 했던 방식은…, 놀라지 마! 바로 ‘해부’! ● 언어를 담당하는 뇌 부위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과거에는 사람 뇌를 연구할 수 있는 방법이 많지 않았어요. 뇌를 직접 ... ...
B형 간염바이러스 보유자, 간암 발생률은?
동아일보
l
2015.04.13
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B형 간염바이러스 보유자의 경우 체내에서 바이러스 증식이
활발
하고 활동성 간염을 유발할 때 약물 치료를 합니다. 비활동성 간염바이러스 보유자인 경우에는 약물 치료는 하지 않으나 3~6개월 간격으로 정기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간암 진단은 혈액검사와 영상검사 ... ...
위험감수 vs. 안정지향, 도파민이 결정한다
2015.04.12
없었다. 또한 두 그룹을 새로운 장소로 이동시켰을 때도 먹이가 조금 있는 그룹만
활발
하게 여러 장소를 움직였다.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새로운 장소를 탐험하는 행동을 보인 것이다. 연구팀이 예쁜꼬마선충의 뇌를 검사한 결과, 먹이가 적은 경우 예쁜꼬마선충의 도파민 양이 급격히 증가한 ... ...
‘페이스북’ 너무 많이 보면 우울증 생길 수도
2015.04.08
경미한 수준의 우울증상이 나타났다. 하지만 페이스북 활동이
활발
한 사람이
활발
하지 않은 사람보다 남들과 비교를 더 많이 하는 것은 아니었다. 좀 더 심층적인 연구를 하기 위해 연구진은 참가자 152명에게 14일 동안 페이스북 내용을 보고하도록 했다. 페이스북 로그인 횟수와 페이스북을 ... ...
서울~대전 쉬지 않고 달릴 수 있는 배터리 나온다
2015.04.06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때문에 학계에서는 전극을 대체해 밀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가
활발
하게 진행돼 왔다. 연구팀이 개발한 전극을 사용해 배터리를 제작하면 전기자동차로 장거리 여행도 가능할 전망이다. - 위키미디어 제공 연구팀은 전이금속과 황으로 이뤄진 층상 화합물을 한 겹 벗겨내 ... ...
DNA 사촌 ‘PNA’로 둘둘 말리는 디스플레이 개발
2015.04.05
이 펩타이드의 결합을 달리하며 금속이나 플라스틱 같은 물질에 적용하려는 연구가
활발
하게 진행돼 왔다. 가짓 교수팀이 개발한 PNA는 이중나선 구조여서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적이다. 또한 나선구조 덕분에 전파나 빛에 훨씬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에 사용할 경우 고효율 광전자 ... ...
목발 대신 ‘외골격 로봇’ 신어 보세요
2015.04.02
등 보행 보조기를 많이 사용한다. 최근에는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는 인체 보조장치가
활발
하게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지금까지는 배터리에서 나오는 동력을 이용해 신체 활동을 돕거나 강력한 힘을 낼 수 있게 도와주는 형태의 외골격 장치가 주로 개발됐다. 하지만 동력 없이 착용하는 ... ...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요리를 만들 수 있다. - Ferran Adria(위), Blua Producers(아래) 제공 글에서는 지난 10여 년 동안
활발
하게 연구돼 온 분자요리(molecular gastronomy)의 예들도 여럿 소개하고 있다. 천연 식재료에서 다양한 젤화제를 찾아 액체 식재료를 젤로 만든 막 안에 가두는 요리들이 탄생했고 화학실험실에서 진공을 걸어 ... ...
육상통합시험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5.03.26
그래서 최근에는 기존의 납-산 축전지 대신 리튬이온 연료전지를 사용하는 기술이
활발
하게 연구되고 있다. 연료전지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지 않고도 전력을 생산할 수 있어 AIP 조건을 만족하면서 동시에 환경오염 문제로부터도 자유롭다.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기 ... ...
악성 뇌종양 유발하는 핵심 유전자 발견
2015.03.25
LMO2를 면역결핍증에 걸린 생쥐의 뇌에 주입했더니 한 달도 채 지나기 전에 혈관 발달이
활발
한 뇌종양이 발생했다. 반대로 암에 걸린 생쥐에게 LMO2를 억제하자 암세포 형성과 혈관세포 분화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생쥐의 생존기간도 LMO2를 억제했을 때가 그렇지 않았을 때보다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