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환
유통
구르기
윤전
선회
대출
대전
d라이브러리
"
회전
"(으)로 총 2,353건 검색되었습니다.
3. 기상 버라이어티쇼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옆으로 퍼지기보다 솟구치는 힘이 강해진다. 좁은 형태의 빨대 구름이 내려오면
회전
속도는 더 빨라진다. 하지만 아직까지 어떻게 좁은 형태의 빨대 구름이 내려오는 것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구름의 깊이와 빨대 구름의 속도로 피해 정도를 예측하는 토네이도는 지름이 수 m에서 수 km까지 ... ...
꼬리 묶은 어머니와 아들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알아냈다. 계산 결과 춘분점은 1년에 약 48초 움직였다. 이는 기울어져 있는 지구의
회전
축이 팽이처럼 원을 그리며 돌아가는 세차운동 때문이다춘분점은 현재도 약 50초씩 서쪽으로 이동하는데 이것은 2천년마다 평균 30도씩 한 개의 황도 별자리를 통과하고 2만6천년이 되면 원래 위치로 돌아오는 ... ...
자석 바퀴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알루미늄과 자석으로 레일과 바취를 만들어 전류를 흘려보자.■왜 그럴까?레일을 가로지르는 알루미늄관에 전류가 아래에서 위로 흐른다고 하자. 레일 양쪽에 매달려 있는 마 ... 즉 레일에 걸쳐놓은 알루미늄 횡단면 양쪽에 반대방향의 힘이 작용하므로 알루미늄관은
회전
한다.(그림3) ... ...
건전지에 매달려 도는 팽이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반해 못의 오른쪽 지점에서는 지면을 뚫고 들어가는 방향의 힘이 생긴다. 따라서 못은
회전
하게 된다. 못에 연결된 자석이 같이 도는 것은 물론이다(그림2) ... ...
4. 1천만년 후의 한반도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90도 가까이
회전
하면서 북상했다는 주장이다.
회전
방향만 반대일 뿐 이동해온 경로나
회전
하는 모습을 보면 태풍과 유사하다. 이 자료는 영국 런던대학의 홀 교수에 의해 더욱 정밀하게 검토됐다.필자는 고지자기와 고생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며 일본이 2단계에 걸쳐 한반도에서 떨어져나갔다고 ... ...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 태양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된 지구와 달리 기체로 된 태양은 위도에 따라 자전 속도가 다르다.태양의 극지방에서는
회전
속도가 느려 35일에 한 바퀴를 돌며, 적도지방에서는 25일이 걸린다. 흑점은 태양 뒷면으로 사라진 뒤 약 2주일 후면 반대편에서 되돌아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흑점을 관찰할 때는 망원경을 아주 ... ...
3백년 동안 사라지지 않는 대적반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폭풍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한다. 태양계에서 가장 큰 폭풍으로 알려진 대적반의
회전
속도는 초속 43만km에 달한다. 2천4백80만km에 이르는 폭풍의 지름은 목성지름의 6분의 1에 해당하고 지구의 두 배나 된다.대적반이 몇백년에 걸쳐 계속 존재할 수 있는 이유는 목성이 가스덩어리 행성이라는데 ... ...
외줄 타는 사람은 왜 긴 막대를 가지고 있을까?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각운동량에 변화를 준다. 우주선 입장에서는 각운동량이 보존돼야 하므로 우주선은
회전
을 한다. 즉 원하는 곳으로의 방향전환이 가능해진다. 한편 태양계에서도 각운동량 보존의 법칙이 존재한다. 태양계내의 모든 행성이 일정한
회전
관성과
회전
속도를 가지고 운동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 ...
우주도 약육강식의 세계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전체의 무려 98%를 차지할 정도로 거대행성의 각속도는 매우 크다. 때문에 적색거성 중
회전
속도가 유난히 큰 것들은 주위의 행성을 잡아먹은 것들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목성형 행성(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을 흡수한 별에서는 행성에서 공급된 리튬들이 풍부하고 이들을 스펙트럼을 통해 ... ...
인간과 더불어 사는 신세대로봇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현재 로봇 팔은 인간의 팔과 유사하게 만들 수 있다. 인간의 경우 어깨관절(상하, 좌우,
회전
등 3개의 자유도), 팔꿈치(상하의 1개의 자유도), 손목(3개의 자유도) 등 7개의 자유도로 어떠한 동작이든 자유롭게 구사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만든 센토도 인간과 마찬가지로 7개의 자유도를 지니고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