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점
중심
알맹이
정수
중앙
중추
중점
d라이브러리
"
핵심
"(으)로 총 3,11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울증 약 프로작, 시력회복에도 좋아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잔류하게 해 우울증을 호전한다고 알려져 있었는데, 이번에 이 물질이 시력을 강화하는
핵심
성분으로 드러난 것. 이탈리아의 스쿠올라 노르말리 슈페리어대의 레르난도 베텐코트 교수는 플루옥세틴이 뇌 피질 시각중추에서 신경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킨다는 사실을 밝혀 ‘사이언스’ 온라인판 ... ...
지구 3차원 영상지도 전쟁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제공해 브랜드파워를 높이고, 나아가 이를 이용해 정보 검색이나 상품 판매 같은
핵심
비즈니스영역을 강화하려는 속셈이 있다.지도의 가치를 높이는 데 가장 중요한 개념이 바로 ‘정보의 공간화’다. 정보의 공간화는 현실의 모든 정보에 위치 정보를 붙여 관리하는 개념이다.예를 들어 인터넷 ... ...
'궁극의 회로선폭' 0.3nm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반도체의 특성을 보여야 했다. ‘도핑’이라고 불리는 이 기술은 반도체 소자 분야의
핵심
이다.염 단장은 실리콘 기판에 금 원자를 두 줄로 정렬해 폭이 1nm의 원자선을 만든 뒤, 그 위에 다시 실리콘 원자를 점점이 섞는 반도체 도핑 기술을 개발했다. 그리고 실리콘이 원자선에 불순물이 돼 농도에 ... ...
컴퓨터를 난로로 이용하는 법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효율적으로 흡수한다. 이렇게 데운 물은 열교환기를 통해 외부에 공급된다.이 기술의
핵심
은 열을 방출하기 위해 반도체에 붙인 ‘히트싱크’다. IBM이 개발한 히트싱크에는 미세한 관이 복잡한 그물망을 이루며 반도체 표면을 완전히 덮고 있다. 이들 관을 통해 냉각수가 끊임없이 흐른다.IBM 취리히 ... ...
고산 미스터리의 진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반출했고 빌려봤다는 교재는 한국의 우주기술에 크게 도움이 되는 러시아 우주 기술의
핵심
기술이 담긴 책은 아니기 때문이다.민간 우주전문가 스페이스스쿨 정홍철 대표는 “가가린훈련센터에서 훈련할 때 사용하는 교재는 ‘운전교본’에 불과한 정도라 국가적으로 꼭 필요한 내용이 들어있지는 ... ...
천년이 지나도 변치않는 마야블루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비의 신 챠크가 모습을 드러냈다고 여겼다”고 설명했다. 선명한 쪽빛, 넓은 표면적이
핵심
식물에서 추출하는 인디고는 짙은 파란색 색소로 산에 취약하고 부식이 잘 된다. 반면 마야블루는 쪽빛을 띠고 있고 강산인 질산액을 쏟아 부어도 색이 변하지 않을 정도로 안정하다. 색소와 흰 점토를 ... ...
반도체 나노 조각가, 플라스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플라스마가 한몫했다. 식각, 즉 반도체 기판 위에서 전류가 흐르는 도랑을 파는 기술의
핵심
이 플라스마이기 때문이다.국가핵융합연구소 응용기술개발그룹을 이끌고 있는 이봉주 박사는 “반도체 기판에 고에너지의 플라스마 입자인 이온을 조준해 때려주면 경계가 매끄러운 선로를 팔 수 있다”며 ... ...
PART1 영원한 적도 동지도 없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NO}_{3}^{-}$)으로 바꿔 식물이 흡수할 수 있게 한다. 질소는 단백질과 핵산을 이루는
핵심
원소이므로 콩과식물은 단백질이 풍부한 열매를 맺는다. 생태학자들은 오래전부터 뿌리혹박테리아가 질소를 고정하는 작업이 중노동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그럼에도 이들은 왜 뿌리혹 속에 갇혀 묵묵히 ... ...
3. 나를 키운 건 8할이 그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충격을 견딜 수 있는 핵융합로 구조재료의 신소재를 개발하는 게 핵융합 실용화의
핵심
이라는 사실도 발견했다.“학교에서 책으로만 공부할 때는 도대체 이런 내용들이 어디에 어떻게 쓰이는지 감을 잡지 못했습니다. 멘토링 경험으로 미래는 여러 분야의 전문지식이 합쳐져야 결과가 나오는 ... ...
1977년 칼 우스 교수의 고세균 제안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0년대 큰 인기를 끌었고 고세균은 분류학자를 성가시게 하는 천덕꾸러기에서 생명진화의
핵심
주역으로 탈바꿈했다.그런데 어떻게 온화한 환경과 산소를 좋아하는 진핵생물이 극단적인 환경을 좋아하고 산소를 싫어하는 고세균과 이처럼 밀접한 관계를 가질 수 있을까. 최근 분자진화학 연구가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