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필요
불가결
수요
d라이브러리
"
필수
"(으)로 총 2,649건 검색되었습니다.
작을수록 강해지는 나노물질 합성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무수히 연결돼 다발을 이룬 형태였다. 이 입체 구조를 잘 변형시키면 화학공정에서
필수
적으로 사용되는 촉매를 만들 수 있다. 물론 기존의 촉매에 비해 훨씬 뛰어난 효율을 가지는 물질이다. 고성능의 수소저장물질이나 연료전지로도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유룡 교수 연구팀은 이 외에도 ... ...
99년 영광의 수상자 : 생리·의학상-군터 블로벨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세포가 활발하게 활동을 벌일 수 있다. 이때 각종 소기관들이 제기능을 발휘하는데
필수
적인 성분이 단백질이다.하나의 세포에는 대략 10억개의 단백질들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이 많은 단백질이 어떻게 ‘알아서’ 특정 소기관으로 옮겨갈 수 있을까. 이 문제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한 사람이 바로 ... ...
3. 우여곡절로 점철된 신약개발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한국의 경우 약국에서 비아그라를 팔 때 ‘심순환계 질환이 없다’는 의사의 진단서가
필수
적이다. 고혈압이나 협심증 치료제를 복용중인 환자의 경우 비아그라를 먹으면 복합적인 혈압 저하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비아그라가 망막에 도달하면 일시적인 시각 장애를 일으키기도 한다. ... ...
과학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의 만남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초신성의 발견에 관한 여러 가지 자료가 나오는데, 그 중에서 초신성으로 인정받는데
필수
적인 조건이 무엇일지를 파악하는 것이 문제의 초점이다. 예컨대 10억 광년 정도의 거리에서 발견됐다고 하는 점은 커다란 의미를 가지지는 못한다. 왜냐하면 초신성 폭발은 그보다 훨씬 먼 거리에서도 혹은 ... ...
2. 날씨 따라잡기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하루 평균 3천km에 이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구모델은 장기간 후의 날씨를 예측하는데
필수
다. 그리고 국지 모델에서는 초기 대기 상태의 정확도가 중요하나 장기예측을 위한 지구모델에서는 해수면 온도, 지표면 상태 등과 같이 변화의 시간이 긴 대기와의 경계조건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
공룡들의 IQ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능력은 트루돈(Troodon)같이 매복해 도마뱀이나 포유류를 사냥하는 민첩한 공룡에게는
필수
적이다. 트루돈의 눈은 매우 크며, 몸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큰 뇌를 가지고 있어 현생 조류와 포유류에 비교될 만하다.그러나 공룡들이 어떻게 세상을 보았는지는 알 수가 없다. 색깔을 구별했을까? ... ...
4. 1천만년 후의 한반도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미래에 어떻게 변하며 이에 따른 환경 변화는 어느 정도일까. 이를 예측하기 위해
필수
적으로 알아야 할 지식들이 모두 여기에 숨어있다. 이처럼 오랜 지질시대를 거쳐 암석에 남겨진 이 불가사의한 블랙박스를 해독하는 일은 분명 매력있고 신나는 일이다.동해가 열린 사건“동해물과 백두산이 ... ...
의학혁명 일으킨 방사선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찾아주었고, 어느 부위의 뼈가 부러졌는지도 알려주었다. 그래서 X선 촬영은 병원에서
필수
코스로 인식되고 있다. 물론 X선 촬영을 많이 하면 몸에 좋지는 않다.프랑스의 여성물리학자 마리 퀴리(1867-1934)는 방사성물질인 라듐을 연구해 두번에 걸쳐 노벨물리학상과 화학상을 받았다. 그녀는 라듐을 ... ...
히말라야를 오르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해서 다시 끌어올려야 한다. 때문에 산악인들에게는 체력, 정신력 외에도 순발력이
필수
다.동상으로 손발 잘라눈, 추위, 강풍 속에서 크레바스를 건너고, 빙벽을 올라 정상을 향해 나아가다 보면 체력 소모가 많아지고 체온이 떨어져 저체온증이 발생할 수 있다. 체온이 떨어져 가면 몸은 잃어버리는 ... ...
암세포를 정상으로 되돌리는 약품 개발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역시 빼놓을 수 없다.이 전체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되려면 연구자들의 긴밀한 협업이
필수
다. 하지만 ‘옆 방의 교수가 무슨 연구를 하는지 서로 잘 모르는’ 한국 대학의 현실에서 이런 공동연구는 거의 불가능했다. 그런데 경기의약연구센터가 설립되면서 그 일이 실현된 것이다. 단계별로 4개팀을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