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d라이브러리
"
태양
"(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방사선이 구름도 만들어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떠 있는 조그만 액체 또는 고체 입자로 구름의 씨앗이 된다. 대기 중의 에어로졸은
태양
빛을 반사하고 구름을 만들어 기후변화에 큰 영향을 끼친다. 여분의 에어로졸은 구름을 더 오래 지속시키기도 한다.연구팀은 정밀하게 대기 상황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챔버를 이용했다. CERN의 양성자 ... ...
[과학뉴스] 보이저 호,
태양
계를 떠나 우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아직은
태양
계와 외부 우주공간과의 경계에 머물고 있다고 밝혔어요. 앞으로 5년 안에
태양
계 밖으로나아갈 거라고 예측했지요. 과학자들은 두 탐사 위성이 최소한 2020년까지는 여행을 계속하면서 지구의 외교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답니다 ... ...
인간을 품은 거대한 요람, 숲의 위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사막화가 진행되는 것이다. 숲이 사라지면 땅이 반사하는
태양
에너지가 늘어나면서 증발하는 수분도 많아진다. 육지에서 물이 점점 사라지는 것이다. 또 광합성 하는 식물이 급격히 줄어들어 산소도 부족해진다. ‘하늘에서 본 지구 조직위원회’는 숲의 중요성을 ... ...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을, +57은 적위(+57°)를 나타낸다. 이 블랙홀의 질량은 관측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략
태양
질량의 400만~2000만 배로 추정된다.그런데 별이 블랙홀에 빨려 들어가면서 왜 제트가 분출되고 강력한 빛이 나오는 걸까. 별이 거대질량 블랙홀에 빨려 들어가는 건 당구공이 당구대 구멍에 쏙 들어가는 ... ...
[knowledge] 고대 화장품은 현대 화장품과 다르다? 같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오히려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그 외에 이집트 여인들은 강렬한
태양
빛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오일을 바르고, 화려한 가발을 만들기 위해 머리 염색기술과 비듬약도 사용했다. 현재와 비교해도 전혀 뒤떨어지지 않는 완벽한 화장법이었던 셈이다. 이집트 중기 왕조의 ... ...
[재미있는 숫자 이야기] 천문학적 수의 해결사 10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쓰는 사람에게 매우 큰 수나 작은 수는 밑을 10으로 해서 나타내면 매우 편리하다. ‘
태양
의 지름은 1.392×106km이다’‘감마선의 파장은 1×10-10m보다 짧다 ‘산소의 분자량이 32라는 것은 산소 32g에 6×1023개의 산소 분자가 포함돼 있다는 의미다’ 와 같은 예가 10의 거듭제곱을 사용한 대표적인 예다.1 ... ...
우주에서 온 로보너트2의 편지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공간에서는 열의 분산이 중요하기 때문에 발열도 체크해야 해. 또 우주에서는 온도가
태양
이 있을 때와 없을 때 매우 다르기 때문에 큰 폭으로 증감하는 온도에 대해서도 대비해야겠지. 내 어깨가 정말 무겁구나.현재 항공우주 분야에서 로봇 연구는 중요한 분야로 성장하고 있어. 독일우주센터(DLR ... ...
PART 1. 공진은 무서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빛이다. 레이저를 만드는 데는 광공진기가 쓰인다. 우주에서도 공진이 일어난다.
태양
계의 일부 행성이나 위성은 공전주기가 정수비를 이룬다. 행성이나 위성끼리는 서로 중력의 영향을 끼치는데, 공진 공전을 할 때는 안정적이고 경로에서 벗어나도 스스로 교정할 수 있는 궤도를 이룬다. 목성의 ... ...
NASA의 새로운 미션, ‘목성의 비밀을 밝혀라’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NASA는 탐사선 ‘주노’를 목성으로 보냈다. 주노는
태양
빛으로 움직이며 목성을 5년간 관측할 예정이다. 목성을 연구하는 이유는 행성의 기원과 진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다. 이 프로젝트는 NASA의 ‘뉴 프런티어스’ 프로그램의 두 번째 임무다. ...
세계에서 가장 밝은 빛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한계가 있다. 어느 정도 배율 이상이 되면 강한 인공광원이 없이는 관찰할 수 없게 된다.
태양
보다 수백만 배 밝은 방사광은 아주 작은 물체의 구조를 확대해서 볼 수 있게 한다. 이것을 2세대형 방사광가속기라고 한다. 포항가속기연구소의 방사광가속기는 이런 2세대형보다 한 걸음 더 나아간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