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길
대로
거리
길거리
번화가
한길
행로
d라이브러리
"
큰길
"(으)로 총 3,079건 검색되었습니다.
춤추고 싶은 물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몇 년 전부터 고개를 들기 시작한 이공계 위기설은 이제 ‘친숙’하게 들리기까지 한다. 수험생은 ‘학문적 호기심’ 보다는 ‘돈 되는 전공’에 우선순위를 둔다. 교수들조차 약대 가고 남은 학생들이 공대에 온다는 말을 거리낌 없이 한다. 대학 진학 뒤에도 부전공을 살리거나 전공과 동떨어진 ... ...
황우석 줄기세포, 줄기 꺾이나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인간배아 줄기세포 배양에 도움을 준 노성일 이사장에게 감사한다.’미국 과학전문지 ‘사이언스’ 2004년 3월 12일자에 실린 서울대 수의대 황우석 석좌교수팀의 논문 마지막 부분에는 이렇게 적혀 있다. 세계 최초로 복제한 인간배아에서 줄기세포를 추출했다는 내용의 이 논문은 황 교수를 일약 ... ...
질병 없는 세상, 더 이상 꿈이 아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백혈병에 걸린 어린 소녀 아름이. 병원에서 시름시름 앓고 있던 아름이에게 최근 들어 새로운 희망이 생겼다. 아직까지 치료가 힘든 난치병인 백혈병을 완전히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기 때문이다. 지난 5월 19일 영국 런던에서 우리나라의 황우석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난치병에 걸린 환자에 ... ...
과거 위대한 문명들은 왜 사라졌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이스터섬 해변에 길게 늘어선 커다란 석상 ‘모아이’는 세계적인 미스터리 중 하나로 손꼽힌다. 남태평양 한구석에 고립된 작은 섬에서 이처럼 많은 노동력을 동원할 수 있었던 문명이 갑자기 사라진 원인에 대해 아무도 명확한 답을 내놓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 책의 저자 제러드 다이아몬드 ... ...
Smart D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2029년에도 사람들은 SF를 썼다. 덕분에 그 해에도 한국 SF 공모전이 열렸고 7000편이 넘는 응모작들이 접수되었다. 나는 예년처럼 응모작들을 접수하고 있었다. 그런데 어느날 소설부문 응모작 접수란에 이런 글이 남겨져 있었다.『첨부된 파일은 지난 15년간이나 애정을 가지고 읽고 또 써 온 SF 인생 ... ...
줄기세포의 줄기를 잡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첫 월급을 탔다. 이것도 하고 싶고 저것도 하고 싶은 행복한 고민에 빠진다. 부모님께 드릴 선물을 사고 남은 돈을 일단 은행에 맡긴다. 은행은 고객의 돈을 대신 안전하게 보관할 뿐 아니라 고객이 선택한 예금상품에 따라 이자를 붙여 불려주기도 하고, 큰 돈이 필요한 기업에게 빌려주기도 한다. ... ...
2. 다재다능한 중매쟁이 촉매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아니, 이럴 수가! 분자의 한 부분이 마치 가위로 자른 것처럼 없어지고 다른 분자와 실로 꿰맨 듯이 연결돼다니!”1956년 미국 석유화학회사 듀퐁의 연구원 허버트 엘류테리오는 고분자 중합반응에서 얻은 생성물의 조성을 분석하고 나서 기존 상식으로 이해할 수 없는 결과를 얻어 어리둥절했다. ... ...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일본 과학자들이 깊은 바다 속에 살고 있는 대형오징어를 처음으로 촬영했다. 연구팀은 일본 남부 보난섬 부근에서 8m 길이의 대형오징어가 먹이를 공격하는 순간을 찍었다. 인공적으로 지능을 구현하는 기술이나 그 실체를 뜻함 그 실체는 영화 '스페이스 오디세이'의 '할'(HAL)처럼 컴퓨터일 수 ... ...
고대의 하이테크 국가 백제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최근 SBS에서 '서동요'라는 드라마가 반영되고 있다. 어린 시절 이름이 서동(薯童)이었던 백제 30대 무왕(600~641)과 신라 진평왕(5579~632)의 셋째 딸 선화공주의 로맨수가 주요 내용이다. 드라마는 서동을 통해 백제의 과학기술을 재미있게 풀어내고 있다. 한 대목을 보자. 당시 칼날은 단단하거나 무르 ... ...
교육의 꿈을 실현하는 수학자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와, 선생님 오셨다.” 전라남도 광주에서 멀지 않은 작은 시골 마을, 책상도 없는 사랑방에서 초롱초롱한 두 눈을 크게 뜨고 마음 졸이며 기다리고 있던 아이들과 머쓱하게 앉아있던 농촌의 아저씨들이 서울에서 온 선생님을 큰 소리로 반겼다. 벌써 30년도 훨씬 전의 일이다. 보릿고개를 넘겨야 했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