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문의"(으)로 총 6,72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취향 존중하는 피자 배분법 발표!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여러분은 피자를 먹을 때 어떻게 자르나요? 부채꼴 모양으로 자르면 피자주변을 두르고 있는 두꺼운 빵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도 빵 부분을 무조건 받게 됩니다. 만약 피자에 곡선을 그어 똑같은 크기대로 나누면 어떨까요? 각자 원하는 부분을 먹을 수 있지만 피자를 곡선으로 자르는 건 아주 까다 ... ...
- [Career] 영하 150℃에서 찰랑이는 물 보셨나요?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세계에서 가장 춥다는 남극 한 지역의 최저 기온은 영하 89.2℃. 수 분만에 인간의 눈, 코, 심지어 폐까지 얼어붙게 한다. 이런 곳에서 물을 공중에 흩뿌리면 그 자리에서 얼음으로 바뀌고 만다. 그런데 한 과학자가 영하 150℃에서 얼지 않은 물을 발견했다. 이론으로만 존재했던 극저온 상태의 물이 20 ... ...
- [지식] 설문조사의 함정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여러분은 뭐라고 답하셨나요? 서울대 통계학과 학생 37명은 배우 신민아가 노트북을 들고 있는 사진을 보고 같은 설문에 응했습니다. 단, 신민아가 배우라는 사실을 고려하지 않고 조사에 응하라는 조건이 붙었습니다. 그 결과 26명이 ‘전문직 여성이고, 미혼일 것이다’에 투표했습니다. ‘가정주 ... ...
- [News & Issue]사회성의 천재, 붉은털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2016년은 ‘붉은 원숭이’의 해다. 이를 기념해 이름도 비슷한 붉은털원숭이를 보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영장류센터를 다녀왔다. 사회성이 뛰어나고, 인류를 위해 수많은 실험을 대신해 준 고마운 존재를 그곳에서 만났다.2016년 붉은 원숭이의 해가 밝았다. 올해는 십이지신 중 원숭이의 해이며 ... ...
- 외국 기자가 본 환태평양 지역의 산업수학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세계적인 과학학술지 ‘사이언스’ 11월 6일자에는 유럽과 북미 지역에 비해 아시아 수학자들이 최근에서야 실생활 문제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기 시작했다는 기사가 실렸습니다. 이 기사는 아시아-태평양 특파원인 데니스 노마일이 환태평양 국가에서 산업수학이 얼마나 발전했는지 취재하고 썼습 ... ...
- [지식]P일까, NP일까? 그래프 동형 문제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꼭짓점과 꼭짓점을 잇는 변으로 이뤄진 대상을 ‘그래프’라고 합니다. 그래프는 ({1,2,3}, {1-2,2-3, 3-1})처럼 꼭짓점 집합과 변 집합의 순서쌍으로 나타냅니다. 매우 추상적이지요. 지하철 노선도처럼 꼭짓점은 점, 두 꼭짓점을 잇는 변은 선으로 나타낸 그림이라고 생각하면 간단합니다.위의 두 그래 ... ...
- [지식]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생물학계의 난제에 도전하게 된 배경이 궁금해요.생체시계는 24시간마다 연쇄적으로 일어나는 화학반응이에요. 그런데 온도가 높아져도 다른 화학반응과 달리 속도가 일정해요. 화학반응을 미분방정식으로 나타내면 그 해는 주기를 갖고 있어요. 그런데 온도와 관련된 매개변수의 값이 크면 해의 ... ...
- [Knowledge] 마치 누군가 설계한 듯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 편집자 주_진화심리학자 전중환 경희대 교수의 ‘협력의 공식’을 새롭게 연재합니다. 인류는 물론 생명이 갖고 있는 이기성과 이타성을 진화의 관점으로 살펴봅니다.지난해 9월 어느 새벽, 제주시 용담동 인근 바다에서 큰 소동이났다. 술에 취한 한 남자가 발을 헛디뎌 바다에 빠졌다. 다행히 ... ...
- [Tech & Fun]내 연구가 춤이 된다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Dance your Ph.D.(당신의 박사학위로 춤추라)’ 대회의 올해 우승자가 발표됐다. 미국과학진흥협회(AAAS)가 주최하는 이 대회는 박사 과정을 공부한 사람이 자신의 전공 분야를 춤으로 표현해 경쟁하는 대회다. 물리학, 생물학, 화학, 사회과학 등 총 4개 부문의 우승자 가운데 3명을 e메일로 인터뷰했다. ... ...
- [Tech & Fun]시작은 절대 반이 아니야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학교 다닐 때, 명문대 사진을 표지로 한 노트가 유행이었다. 친구 중에는 어떤 대학에 꼭 가겠다며 그 대학노트로만 공부를 하는 친구도 있었다. 한술 더 떠 그 대학에 직접 방문하고 캠퍼스 생활을 알아보기도 했다. 추측건대 ‘합격한 이후의 삶을 꿈꾸는 것’이 힘든 수험생활을 이기는 친구만의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