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실"(으)로 총 2,011건 검색되었습니다.
- 2. 컴퓨터도 성능보다 편리성 중시과학동아 l1995년 03호
- 21세기 문명을 주도할 컴퓨터에도 인간공학의 적용은 필수적이다. 컴퓨터를 구성하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어느 부분이라도 사용자를 고려하지 않은 설계는 외면당하기 때문이다. 세계 각국이 표준화 문제와 함께 더 쉽고 편한 컴퓨터를 만들고자 하는 것도 바로 이 이유에서다.인간공학은 영어 ... ...
- 김치·된장, 암 예방에 큰 효과과학동아 l1995년 01호
- 발효과정에서 소화가 잘 되는 영양소로, 건강에 유용한 식품으로 변한다.부산대의 필자 연구실에서는 10여년 전부터 김치와 된장의 안정성 및 항암효과를 연구하고 있다. 그 결과 김치는 비타민C, 카로틴(비타민A), 식이섬유, 클로로필, 페놀성 화합물 등이 풍부하며 암예방 효과와 암세포의 성장도 ... ...
- 자동차 한계 도전 성능 테스트 현장과학동아 l1994년 12호
- 충돌테스트를 하고 일생을 마치는 자동차를 보고 있으면 아까운 생각이 간절하다.시험연구실에서는 부품시험장치를 갖추고 윈도와이퍼 방향지시등 스타트모터 도어 도어유리 헤드램프 등에 대해 수많은 반동작동을 통해 제품의 내구성을 테스트한다.이밖에 환경시험장에서는 영하 40℃에서 영상 6 ... ...
- 인공지능과학동아 l1994년 11호
- 열기는 우리가 이 용어를 처음 접했을 때와 비교한다면 많이 가라앉은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연구실에서 '사람 같은 기계'의 개발에 몰두하고 있는 연구자들에겐 사정이 전혀 그렇지 않다. 이들은 오히려 이전보다 더 발전된 방법론을 동원해 '기계를 통한 인간 두뇌의 구현'에 다가서고 있다 ... ...
- 3. '94년 빛낸 영광의 얼굴들과학동아 l1994년 11호
- 이러한 반응들은 기존의 유기반응이론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것이 많다. 올라교수의 연구실은 세계에 몇 안되는 프러렌 화학연구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올라 교수의 한국인 제자로는 인하대 출신의 이창수 박사가 1993년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조지아 대학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 ...
- 2. 자동통역 시스템 실현 멀지 않다과학동아 l1994년 11호
- 여전히 어려운 분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음성 인식 연구가 수 없이 수행됐으면서도 연구실을 벗어나 온전한 상용 제품이 등장하지 않는 것은 그 만큼 이 분야 연구가 쉽지 않다는 것을 잘 말해준다. 현재 음성 인식기술을 응용해 적용하고 있는 분야는 전화번호 안내나 말하는 전자사전, 장난감 ... ...
- 1. 노벨상에 성큼 한국 과학자들 역주과학동아 l1994년 11호
- 거저 나오지 않았다. 하물며 노벨상 메달이야. 세계 수준을 따라잡기 위해 '관중도 없는' 연구실에서 날밤을 세운 2세대 과학기술자의 의견을 경청하여, 3세대들이 마음껏 활개칠 수 있는 한마당을 만들어 줄 때 비로소 노벨상 콤플렉스를 벗을 수 있을 것이다 ... ...
- 전북대(자동차 분야)과학동아 l1994년 10호
- 액수보다 더 큰 무형의 투자효과를 거둘 것"이라며 "현재는 야간에 불이 켜진 공대 교수연구실이 절반 정도에 불과하지만 2-3년 뒤 80% 이상의 교수방이 늘 깨어 있는 상태로 변할 것을 확신한다"고 의욕을 표했다 ... ...
- 휴대용 혈액 분석기 등장과학동아 l1994년 07호
- 종래에는 연구실이나 병원 등에서나 가능했던 혈액 정보 분석이 자그마한 휴대용 기구에 의해 어디서나 가능해졌다.미국 캘리포니아의 애벅시스사가 개발한 피콜로는 일상적 혈액검사뿐만 아니라 환자의 체온과 혈압, 심장 박동수 검사 등을 쉽고 빠르며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상품.미국 ... ...
- 역대 대통령 과학성적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재편된 것이다. 기능이 중복되거나 부실한 연구소를 통폐합해 불필요한 관리비를 줄이고 연구실 위주의 연구소를 운영한다는 것이 그 목적이었다. 이 방침은 연구소에 기생하는 귀족과학자와 기술 사기꾼들을 몰아내고 과학기술계의 누적된 병폐를 도려내 연구력을 집중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