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빠져나와야 짜릿하다! 방 탈출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아이~, 뭐야 방을 탈출하는 게임이라고? 난 또 상급 악마들이 장난친 줄 알았잖아! 그러고 보니 여긴 내가 그렇게 와보고 싶었던 인간 세계? 제로, 여기가 어딘지 구체 ... 어려웠던 문제나 이해하지 못한 문제, 스토리적인 결함에 대한 이야기를 듣죠. 그 의견을 바탕으로 여러 번 수정해요 ... ...
- 학교가 끝나고 나면 수학 선생님의 은밀한 잡생활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직업을 찾은 분들도 만나봤습니다. 두 분이 어떤 기준으로 새 직업을 찾았는지 듣다보면 여러분도 진로를 찾을 방법을 알게 될지 모릅니다. 자, 집중~! 당신을 바꾸는 마법의 시간 3개월안녕하세요, 수학 교사였다가 현재는 소설가이자 아마추어 복서로 활동 중인 설재인입니다. 저는 고등학교 때 ... ...
- [퍼즐라이프] 해법 없이도 해결! 루빅스 큐브수학동아 l2020년 12호
- 루빅스 큐브는 각 면을 회전시켜서 여섯 면을 섞고 다시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퍼즐입니다. 저를 포함한 많은 사람이 처음 접했을 때 쉽게 풀 ... 이동의 역공식을 사용하면 바뀐 조각을 이전 조각이 있던 자리로 보낼 수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도 이 방법으로 루빅스 큐브를 직접 맞춰보세요 ... ...
- [기초과학의 힘] 고품질 그래핀 4층으로 쌓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구체적인 목표는 구리 기판의 탄소 용해도를 높일 수 있는 미지의 금속을 찾는 것. 여러 시도 끝에 탄소와 결합하기 쉬운 물질 중 하나인 실리콘(Si)을 이용하자는 아이디어가 나왔다. 다음 과제는 실리콘과 구리를 합금으로 만드는 방법을 알아내는 것이었다. 우리는 그래핀이 합성되는 석영관(SiO ... ...
- [헥!헥! 핵물리학자] 과장은 없다! 이게 바로 광속...‘핵’ 빠르게 던지는 가속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고리를 다 채울 수 있어요. 그러면 1초마다 최대 4천만 번씩 충돌이 일어나지요. 그 결과 여러 입자들이 나오면, 충돌 지점 주변에 있는 ‘검출기’가 입자의 에너지 등을 측정해요. 검출기는 매우 작은 입자들의 특징을 어떻게 잡아낼까요? 7월 15일 자에 실릴 3화에서 알아봐요! *용어정리전하 ... ...
- [별헤는수학] 우리가 그린 나선이 블랙홀 연구를 돕는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시민천문학자가 어설프게 그린 나선팔이 큰 도움이 된다는 것도 무척 신기하지 않나요? 여러분의 참여가 우주의 비밀을 밝히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참여해보세요 ... ...
- 또 하나의 태양을 지구에 재현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없기 때문이다. 핵분열 반응을 이용하는 원자력 발전소는 이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여러 단계의 안전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원리 │ 원자핵과 원자핵을 충돌시킨다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우선 원자핵을 둘러싼 전자껍질을 벗겨내고, 이들을 충돌시켜야 한다. 이때는 원자핵끼리 ... ...
- 당신의 역사에 관한 최신 연구 총집합...정자가 난자를 만나기까지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관찰했다. 곡선으로 구불구불한 관, 직각 모퉁이가 있는 관, 원형 관 등 방향이 바뀌는 여러 관을 준비해 정자가 어떻게 통과하는지 분석했다. 방향이 바뀌는 구간에서 정자는 관 중앙부가 아닌 관 벽을 따라 이동했다. 곡률반지름(곡률의 역수)이 150μm 이하인 급격히 구부러지는 부분에서는 정자가 ... ...
- [융복합파트너@DGIST] 스테레오 카메라로 자율주행차 가성비 높인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라이다는 외제차 한 대 가격과 맞먹을 정도로 비싼데, 주변 환경을 제대로 인식하려면 여러 대가 필요하다. 자동차보다 센서가 더 비싼 아이러니가 발생한다. 이에 ‘테슬라’ 같은 자율주행차 양산을 준비하는 업체들은 레이더, 스테레오 카메라 등 다른 센서를 활용하는 추세다.임 교수는 그중 ... ...
- [과동 키즈] 과학과 소설 두 세계를 가로지르는 일 '김초엽 SF작가'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좋아하지만 딱 한 분야만 깊이 파고들 자신이 없는 나에게 SF작가는 무척 좋은 직업이다. 여러 분야의 과학책과 기사들을 마음껏 읽으면서 소설을 구상하고, 과학자들이 쓴 논문과 보고서에서 약간의 세부내용을 가져온다. 현실보다 과장된 상상적 과학과 영웅 같은 과학자들의 이야기를 쓴다.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