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d라이브러리
"
신경
"(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도넛 가득한 세상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따라 동심원을 그리는 무늬는 수축하는 근육이며, 빗살무늬는 이완하는 근육이다. 자율
신경
계는 주변이 어둡고 밝음에 따라 홍채를 카메라 조리개처럼 수축하거나 이완한다. 즉 눈동자가 넓어지거나 좁아지면서 눈 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한다. 이때 홍채가 수축하면 눈동자가 커진다 ... ...
파리의 눈으로 로봇의 눈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공간 인식 능력이 뛰어난 로봇을 만들 수 있죠. 그래서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의
신경
생물학자들은 파리를 영상장치 앞에 묶어 두고 여러 가지 장면을 보여 주면서 눈과 뇌의 반응을 연구한다고 해요.이 사진은 실험 중인 파리의 눈과 뇌에서 시각을 담당하는 세포가 어떤 부분인지를 형광 물질로 ... ...
1969 vs 2020 달을 향해 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수 있는 달기지도 지을 계획입니다. 아폴로 계획이 옛 소련보다 먼저 달에 도착하는 데
신경
을 썼던 반면, 컨스틀레이션 프로그램은 사람이 태양계로 진출하는 발판을 만드는 데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이지요.NASA의 과학자들은 달에 건설할 기지의 모양을 두고 연구를 거듭하고 있습니다. 지난 2~3년 ... ...
초록빛 형광 원숭이의 꿈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게 사실이네요. 영장류의 유전자 조작이 사람으로까지 이어지면 어쩌죠?연구팀은 인간의
신경
질환이나 전염병 등에 유용하다고 말하고 있지만 실제로 이번 연구결과를 놓고 걱정하는 목소리도 있어요. 우리 원숭이를 이용한 연구가 생명윤리를 넘어서지 않는 쪽으로 이어지길 바랄 뿐입니다. ... ...
Part 1. 편견 부수기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지도를 잘 읽고 기하학도 잘 한대. 좌뇌와 우뇌 사이에서 둘을 연결하는 ‘뇌량’이라는
신경
다발도 중요해. 여자의 뇌량은 남자보다 많고 두꺼워. 그래서 좌뇌와 우뇌가 균형있게 발달할 수 있지. 남자는 뇌량이 가는 대신 필요에 따라 한쪽 뇌에 집중해 큰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 ...
[허풍의 퍼을 세계일주] 뉴욕시에 영웅 탄생!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44 또는 4-4+4-4로 만들 수 있죠. 그럼 1부터 10까지 수를 만들어 보세요.”2 허풍과 로이드의
신경
전“다 풀었네. 맞는지 확인해 보게~.”말론이 로이드의 퍼즐을 살펴본다. 도형은 땀을 삐질삐질 흘리며 여전히 문제를 풀고 있다.“그만 풀어라. 졌다, 졌어. 그런데 이렇게 지면 내 체면이 뭐가 되겠니 ... ...
작은 로봇이 인간의 뇌를 탐구한다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캘리포니아대학교 연구팀은 최근 작은 로봇 ‘칼’을 만들었습니다. 칼은 생물학적인
신경
계를 가진 ‘뉴로 로봇’으로 쥐와 같은 설치류의 뇌 모델로 조종할 수 있습니다.연구팀은 쥐의 의사결정 능력을 기록해 칼의 두뇌 제어 프로그램에 적용했습니다. 쥐의 의사결정 능력은 쥐에게 음식을 주는 ... ...
우리가 몰랐던 D-아미노산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인간의 요로에 감염하는 대장균의 독성 인자의 발현을 조절한다. D-아스파트산은
신경
내분비 세포의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D-아미노산은 믹소 박테리아(Myxococcus xanthus )의 포자 형성을 유도하기도 한다. 이처럼 다양한 예가 밝혀지면서 생명체들이 생체에 다량으로 ... ...
머릿속의 초시계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영역이다.그레이비엘 박사는“신호를 받은 직후부터 뇌의 전전두엽과 선조체에 있는
신경
일부가 초시계처럼 정확히 0.05초마다 활성화됐다”며“뇌에서 행동과 학습에 관여하는 신호가 일정한 주기로 전달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현상은 수초 동안 지속됐다.연구팀은 전두엽 피질에 이상이 ... ...
촉각이 착각에 빠질 때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쳐다보면 그 물체가 마치 거슬러 올라가는 것처럼 보인다. 이는 움직임에 반응하는 시각
신경
세포가 피로를 느끼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운동잔상 효과’라고 한다.2006년 이 현상에 대한 촉각 버전이 확인됐다. 일본 도쿄대 연구팀은 손가락 끝에 진동을 주는 자극기를 고안했다. 연구팀은 이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