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식
식전
형
양식
제전
공식
방법
d라이브러리
"
식
"(으)로 총 2,995건 검색되었습니다.
1998년 이서구 교수의 활성산소 신호전달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셈이다.1998년 논문의 저자가 모두 한국인이라는 점도 특이하다. 박사후연구원이나 안
식
년을 보내려 NIH에 와있던 연구자들이 이 연구에 참여했기 때문. 당시 공동 제1저자였던 전남대 이성록 교수, 생명공학연구원 권기선 박사는 지금도 활성산소를 연구하고 있다.“주위를 보면 연구결과 자체보다 ... ...
문학적 상상력으로 허수 정복하기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의미가 있을까.놀랍게도 현대 물리학의 총아인 양자역학의 기초가 되는 슈뢰딩거방정
식
은 허수를 도입하지 않으면 성립하지 않는다. 오늘날 수학, 물리학의 많은 분야가 허수 개념에 의지하고 있다. 그렇다면 허수를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방법은 없을까. 저자는 좌표를 도입해 허수의 개념을 멋지게 ... ...
지구온난화 가속시키는 바이오연료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해안에 거의 평행하여 낮은 기복(起伏)이 이어지는 해안평야 침
식
작용이 진행된 해안평야는 지층의 경사에 비해 지표면의 경사가 완만하기 때문에 삭박면(削剝面)에는 지층의 ... ...
기네스북에 오른 괴물 포켓나이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라디오 · 텔레비전을 위시해서 각종 무선수신기에 보통 사용되는 슈퍼헤테로다인 방
식
(superheterodyne方式)에는 가변주파수의 국부발진기가 있으며 그 주파수와 수신전파 주파수의 맥놀이에 의한 차주파수(差周波數)를 일정한 중간 주파수로 변환한 후 증폭한다 은하계 주변에서 지름 약 500만 광년 ... ...
별빛보호지구에 남은 시간의 기록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궤적을 담은 사진을 얻으려면 15분 노출을 한 사진을 연속해서 8장 촬영한 뒤 합성하는
식
이다.카메라 셔터를 누른 뒤에는 낚싯대를 드리운 채 월척을 기다리는 강태공 마냥 별빛이 렌즈에 고스란히 담겨지기를 기다리면 된다.필자는 돌아오는 주말에도 천문인마을로 촬영을 떠날 예정이다. 이번에는 ... ...
컴퓨터로 열대어 키운다 컴피쉬 COMFISH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맞게 사람이 설정을 해야 돼. 예를 들면 1분 발생 뒤 9분 정지, 3분 발생 뒤 7분 정지. 이런
식
으로 말이야. 이렇게 한번 설정을 해두면 그 다음부터는 내가 알아서 기포를 발생시켜. 컴퓨터와 연결이 끊어져도 전기만 공급하면 된다는 말이지.수온도 컴퓨터로 조절할 수 있어. 온도센서가 있기 때문에 ... ...
사형용 '죽음의 칵테일' 시험대 올라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1분자가 난막에서 절단되어 유리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난백에 함유된 알부민 많은 동
식
물의 조직에 존재하는 복합단백질이며, 아미노산 외에 당 · 인산 등도 포함한다분자량은 4만 6,000으로서 난단백질의 54%를 차지하며 물 · 묽은 염용액 · 산 및 ... ...
수성을 스쳐 지나간 메신저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밀도 변화를 수반하는 현상 고밀도변태라고도 한다 압력에 의해 유발되는 전이에는 이 형
식
이 많다흑연→금강석 전이, 석영 →코사이트→스티쇼바이트 전이, 감람석→첨정석 전이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어떤 경우에도 고압상은 저압상에 비해 밀도가 높다 고밀도변형태를 이용하여 새 물질을 ... ...
이산화탄소 배출 주범은 주요 산업국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등이 음소문자에 속한다현재 지구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자연과정의 원인들이 동일한 방
식
과 강도로 과거의 모든 지질학적 과정들에도 똑같이 작용했다고 보는 견해로서, 19세기 스코틀랜드 지질학자 라이엘의 '지질학 원리'에서 본격적으로 ... ...
초미세 생체현상 속에 답이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화학반응이 절반만 진행될 수는 없듯 생체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 역시 ‘모 아니면 도’
식
의 간결하고 정확한 디지털시스템을 따른다.차가운 반도체에서 태동한 MEMS 기술은 이제 나노미터 규모까지 정교해졌고 생체현상을 모방하면서 훨씬 인간적이고 따뜻해졌다. 자연에 존재하는 가장 완벽한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