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순간"(으)로 총 4,46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루게릭병,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투병하는 환자도 있지만, 많은 환자가 이 때 숨을 거둔다. 의식과 감각은 그러나, 마지막 순간까지도 또렷하다. 가장 중요한 건 사회의 관심루게릭병은 인구 10만 명 당 4~5명이 걸리는 희귀병이다. 매년 10만 명 당 1~2명이 새로 발병한다. 조 사무국장은 “아직 확실한 통계는 없지만, 매년 발병하는 ... ...
- [hot science] 충격! 화성에도 과학동아 독자가?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인공적으로 보이는 돌이 있다는 건데요, 문명이 있었다는 증거로는 너무 부족합니다. 순간적인 빛 반사에 의해 반짝이면서 금속처럼 보일 수도 있고, 네모난 돌 정도는 굳이 누군가 만들지 않아도 생길 수 있지 않습니까.물론 화성에 풍부한 생태계와 고대 문명이 있었고 지금은 싹 다 흔적도 없이 ...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더 이상 우주에 존재하지 않고 사라진다. 하지만 다세계 해석의 입장은 이렇다. 측정하는 순간 우주는 둘로 나눠진다. 전자가 오른쪽 구멍으로 지나는 우주와 왼쪽 구멍으로 지나는 우주로.사실 다세계 해석에 측정은 없다. 우주는 그냥 ‘유니타리’ 진행할 뿐이다. 전자는 두 개의 구멍을 동시에 ... ...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만들어낼 수 있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융합형 인재가 무엇이라고 정의를 내리는 순간부터 그 테두리에 갇혀서 더 이상 발전할 수 없다. 테두리를 부수고 경계를 허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개인적으로 세상에 천재는 없다고 생각한다. 소위 사람들이 천재라고 부르는 이들은 사실 ‘생각을 많이 ... ...
- [life & tech] 과학자와 예술가의 만남 2014 아티언스 오픈랩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관심분야를 정할 수 있는 랩투어도 실시했다. 과학자의 장소로 예술가가 입장하는 순간이었다. 과학자와 예술가의 차이살아온 환경이 다른 만큼 생각하는 방식도 달랐다. 설치 미술가 ‘로와정’과 협업한 김민영 생체신호센터 책임연구원 관점의 차이를 얘기했다. “저희는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 ...
- [career]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 2014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수 있어서 좋았다는 소감을 밝혔다. 김연배 한화그룹 부회장이 대상 수상자를 발표하는 순간 탈락의 아쉬움보다 축하와 서로에 대해 격려를 잊지 않던 학생들의 모습이 이런 분위기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7개월 동안 밤낮으로 연구를 이어갔던 공통의 경험이 있어서인지 처음 보는 사이에도 같이 ... ...
- INTRO. 신종헌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설마 싶나? 작년 한 해 새로 발견된 생물만 해도 무려 1만8000종. 당신이 글을 읽고 있는 이 순간에도 3~4만 명에 이르는 신종헌터들이 지구 곳곳에서, 특히 오지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종을 찾아내고 있다. 아직 남아있는 99%는 어디에 숨어있는 걸까. 우리는 왜 신종을 찾아야하는 걸까. 10월 ... ...
- 스킨십하면 행복 호르몬 퐁퐁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축구교실에 함께 다니는 주영이 집에 들렀어. 그런데 집 앞에서 주영이를 부르는 순간! 글쎄 주영이 어머니가 “잘 다녀와, 우리 아들~!”이라고 말하며 주영이를 와락 끌어안는 장면을 보고 말았어. 게다가 주영이는 엄마 볼에 뽀뽀까지 하지 뭐야? 5학년이나 된 사내놈이 저런 낯부끄러운 짓을 ... ...
- [체험] 수학을 품은 태극 베개 만들기수학동아 l2014년 10호
- 베개요? 그게 뭔데요?푹신푹신한 베개의 최대 부피는?푹신푹신한 베개는 머리를 대는 순간 편안함을 느끼게 해 잠을 솔솔 오게 한다. 또한 솜이나 스펀지가 가득 들어 있는 쿠션을 허리에 대면 편하게 앉을 수 있다. 하지만 사람마다 좋아하는 베개의 높이는 각자 다르다. 낮은 경우에는 원하는 만큼 ...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유 인원도 모두 몸은 물론 얼굴까지 털이 있다. 하지만 인류는 진화 역사 속에 서 어느 순간 털을 잃었다. 잃은 시점은 정확하지 않지만, 밤에 주로 활동하 는 맹수를 피해 대낮에 활동하던 호모 에렉투스 때부터일 가능성이 높다. 민낯 얼굴에 표정이 드러나다맨 얼굴이 되자 인간은 다른 동물과는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