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으)로 총 31,072건 검색되었습니다.
- [2022 SF 스토리 공모전 수상작]안스리움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지난 줄거리현세의 자본력에 따라 내세의 등급이 인간, 동물, 식물로 정해지는 세계에 사는 설진은 식물 등급을 받은 아버지의 내세 좌표를 받기 위해 구청에 들른 ... 장치로 쓰이는 단편소설 을 여러분께 소개합니다. 소설의 전문은 SF스토리콘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습니다 ... ...
- [이달의 뉴스] 지구 내핵 회전 멈췄다 기후변화에 영향줄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하루의 길이 변화, 자기장의 패턴 변화 주기와 일치했다. 또 지구의 평균 기온 변화, 해수면 상승과 같은 기후 패턴과도 일치했다. 연구팀은 내핵의 회전이 중단된 것이 지구 표면에서 일어나는 현상과 어떤 연관성을 갖는지 분석할 계획이다. 연구팀은 “이런 분석이 지구의 가장 깊은 내부와 가장 ... ...
- [이달의 뉴스] 한국 4족 보행로봇 모래사장에서도 빠른 뜀박질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한국 로봇공학자들이 걸음마다 지면의 모양이 시시각각 변하는 모래사장에서도 빠르게 달리는 4족 보행로봇을 개발했다. 황보제민 KAIST 기계공학 ... 변형하는 지반과 가까운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로봇이 변형이 많은 지형에서 움직이는 데 필수적임을 보였다”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 ...
- [특집] 중이온 가속기, 1년 만에 터진 라온의 첫 축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경제력, 그리고 탄탄한 제조업 덕에 이제는 이룰 수 있게 됐습니다. 우리 기술로 지을 수 있고, 짓고 있습니다. 이 단계가 끝나면 이곳은 세계 최고의 중이온 가속기가 될 겁니다” ... ...
- 이휘소는 원자폭탄 개발에 관여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한국 과학기술사를 전공했다. 역동의 한국 현대사를 이해하려면 과학기술을 빼놓을 수 없다는 생각으로 통일벼, 한글타자기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오답이라는 해답’이 있다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에너지 위기 시대, 초내열 금속이 해결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만약 비행기가 없었다면?’ 현대사회에서 이런 상상은 재미보다는 아찔함을 안겨준다. 문명의 이기를 누리는 것이 인간의 당연한 특권 ... 2021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 2022년 대한금속학회 동국송원학술상을 수상했다. ‘모던 알키미스트’ 등의 책을 저술했다. szhan@kims.re ... ...
- 물속 생활 즐긴 공룡 최초 발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다물었을 때 악어처럼 미끄러운 물고기를 가둘 수 있는 공간이 있다. 나토베나토르가 호수나 강이 있던 당시 고비사막 일대에서 물고기를 잡아먹으며 살았을 것으로 추정하는 이유다. 지금까지의 연구 중 가장 오랜 시간이 걸렸다는 나토베나토르 화석은 이성진 연구원에게 어떤 의미일까. 이 ... ...
- [5년 후, 과학은] 환자 맞춤형 진단·치료의 열쇠 탄소 양자점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거듭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 권우성숙명여대 화공생명공학부 부교수. 2010년 POSTECH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2013년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4년 미국 스탠포드대 박사후연구원 과정을 거쳐 2016년부터 숙명여대에서 근무하고 있다. 연구 분야는 광나노소재 설계 ... ...
- [DGIST@융복합 파트너] KIM’s LAB 열과 전기의 마법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있다. 김 선임연구원은 “현재는 기존 기술보다 3분의 1 정도 중희토 사용량을 줄이는 수준인데, 이를 5분의 1로 더 줄이는 걸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동시에 중희토를 아예 쓰지 않는 고효율의 자석을 만들기 위한 연구도 하고 있다. Kim’s Lab이 주목하는 방식은 자석의 일반 구조를 ... ...
- 양자와 친구가 되는 곳 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나노물질을 조작한다. 1nm 거리를 유지하는 게 중요하니, 작은 진동조차 용납할 수 없는 것이다. 진동을 줄이기 위한 장치는 실험실 안에도 있다. 4개의 에어스프링을 이용해 STM을 1cm 공중에 둥둥 띄워 놓은 것이다. 이 때문에 실험실 바닥엔 STM을 둘러싼 해자 모양의 틈이 있다. 독자들은 틈을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