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속"(으)로 총 13,48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AI의 시력을 높여주는 '행렬수학동아 l2021년 02호
- 합성곱신경망 행렬의 개념과 연산법을 배웠으니 실제로 합성곱신경망이 어떻게 이미지 속 얼굴이나 물체 등을 인식하는지 알아볼게! 1 컴퓨터가 보는 이미지는 행렬의 모임우리가 보는 이미지는 픽셀이라는 최소 단위로 이뤄져 있습니다. 픽셀은 매우 작은 사각형 모양의 점으로, 그 안에 색에 ... ...
- 8년 만에 확~ 바뀐 전기요금 체계 우리집은 오를까? 내릴까?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비용 등을 연계한 실시간 전력시장을 만들 수 있도록 중장기 전략을 세워 전력시장을 계속 발전시켜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에너지를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화석연료가 전기요금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이로 인해 발생하는 기후환경 요금은 얼마나 적용되고 있는지를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우리가 사는 사회 수학으로 풀어봅시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주제로 연구했습니다. ‘가짜뉴스’ 잡고 ‘팩트체크’까지 돕는 수학무수한 정보 속에서 우리는 때때로 알고 있던 기존 정보가 잘못됐다는 것을 깨닫고 생각을 바로잡는 경험을 합니다. 최근 강 교수님은 차미영 KAIST 전산학부 교수님과 함께 끊임없이 만들어지는 가짜뉴스에 대해 팩트(사실 ... ...
- [KAIST 50년] 과학동아 키워드로 톺아본 KAIST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등도 놓치지 않았다. KAIST를 다룬 과학동아 기사를 모두 수집해 KAIST가 포함된 문장 속 단어를 분석했다. 마치 거울처럼, 한국 과학과 기술의 트렌드 변화가 비쳐보였다 ...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초콜릿 만들기, 영롱한 초콜릿의 비밀은 템퍼링!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조금 복잡합니다. 쟁반 위에 물체를 늘어놓는 모습을 상상해 봅시다. 카카오버터 속 지방 분자들은 마치 실과 같습니다. 실 여러 가닥을 촘촘히 배열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죠. 실을 쫙 펴서 줄지어 늘어놓을 수도 있고, 격자로 교차해서 그물 모양을 만들 수도 있고, 마구 뭉쳐버릴 수도 ... ...
- 게임과 주사위로 말하는 '양자터널링'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얇다면, 그래서 파동이 다 사라지기 전에 장벽을 통과한다면?! 파동이 장벽을 넘어 계속 이어갈 수 있습니다. 이 말은 그림 상 왼쪽에서 전자를 쏜 뒤 위치를 측정했을 때, 전자 입자가 장벽 너머에 있을 수 있다는 말입니다. 이것이 양자터널링입니다. ▶생명체 존재케 하는 양자터널링 우리가 벽을 ... ...
- 식물이 만든 독극물이라고요? 하지만 지금은 제 점심이죠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들어있다. 니코틴은 마비를 통해 살충 효과를 낸다. 애벌레가 담뱃잎을 갉아 먹으면 몸속에 니코틴이 흡수돼 몸이 마비된다. 사람이 담배를 피울 때에도 이와 유사하게 니코틴이 흡수되면서 신경계가 이완되고 몽롱한 느낌이 든다.담배는 니코틴의 중독성을 이용해 벌이 더 열심히 꽃가루를 옮길 수 ... ...
- 위기의 해양동물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동물인데, 최근 서식지가 변하며 새의 알을 먹고 있는 모습이 확인됐다. 해빙이 녹는 속도가 빨라지면서 북극곰의 서식지가 변했기 때문이다.커다란 북극곰이 고작 새알만으로 허기를 채울 수는 없다. 2016년 캐나다 윈저대, 워털루대 등 공동연구팀은 물개를 잡아먹던 북극곰이 새알을 섭취하는 ... ...
- 예술이 된 우주 / 이달의 천체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가시광선 망원경과 전파망원경으로는 볼 수 없던 자기장을 원적외선으로 찍었지요. 사진 속 나선팔은 전체 길이가 2만 4000광년으로 엄청난 규모예요.SOFIA 과학센터 로페즈 로드리그 연구원은 “각 별들이 타원궤도로 공전하며 분포가 달라지는데 이 밀도차가 은하의 나선팔 모양을 만든다는 ... ...
- [과학뉴스] 레이저 기술 혁신 불러올 ‘빛의 눈사태’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만들어 국제학술지 ‘네이처’ 1월 13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만든 나노입자 속 툴륨 이온은 빛 에너지를 흡수했을 때 에너지가 1만 배 이상 증폭되는 성질을 보였다. 그 덕에 연구팀은 기존 나노물질에서 1% 이하였던 광변환 효율을 40%까지 높일 수 있었다. 광변환 효율은 나노입자에 들어간 빛의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