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
학급
병단
군단
대
단체
일단
d라이브러리
"
반
"(으)로 총 2,507건 검색되었습니다.
4. 화면색과 실제 색이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없도록 하기 위해서는 ‘장치 독립적’인 색재현 방법이 동원된다. 즉 사과에 의해
반
사된 태양광 스펙트럼이 사람 눈에 일으키는 자극들과 일치되는 모니터 삼원빛의 혼합량 RGB를 알아내야 하는데, 이는 모니터마다 다르다.또 이렇게 구한 RGB가 단순한 수학적 공식에 의해 CMYK로 바뀌어 프린터로 ... ...
별은 어떻게 죽어 가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온도는 심하게 변해 생물이 살기 힘들 것이다.그러나 태양도 조금 더 나이가 들면 핵융합
반
응으로 만들어진 헬륨이 중심에 쌓이면서 불안정해진다. 밝기는 차츰 증가해 더욱 많은 빛과 열을 낸다. 앞으로 20억년 가량 지나면 늘어난 태양열 때문에 지구의 온도는 크게 올라갈 것이다. 바닷물은 ... ...
1. '철세계'에서 환타지 소설까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조선일보 출신의 박은철은 환타지 대하소설의 공동집필 작업을 시작했다. 90년대 후
반
의 두드러진 특징은 환타지문학의 유행이기도 하다. 환타지 문학이란 현실세계가 아닌 환상(환타지)적인 세계에서 벌어지는 일을 소재로한 문학이다. 마법이나 전설 등이 주요 소재로 쓰이며, ‘드래곤 라자’ ... ...
입안에서 사르르 아이스크림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부드러움과 차가움의 유혹, 아이스크림은 연중 어느 때고 사랑처럼 달콤하다. 하지만 여름이면 그 유혹이 더욱 강해진다는데···.한여름 ... 오늘도 빙과업체 사람들은 수은주를 바라보며 조금만 더 올라가라고 하겠지만 일
반
사람들은 너무 덥지않기를 바란다. 내일의 날씨는 누구 편일까 ... ...
1.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전쟁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고요의 바다에 착륙한 것은 7월 20일(한국시간으로 7월 21일 오전 5시 17분). 착륙 후 6시간
반
뒤 착륙선에서 내려 달에 첫발을 내디딘 닐 암스트롱(1930-)은 곧바로 달흙을 집어 우주복에 있는 주머니에 넣었다. 만약 착륙선이 긴급히 이륙해야 할 때를 대비해 조그만 샘플이라도 지구로 가져가기 위한 ... ...
A4 용지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sqrt{2}$가 자연수의 비로 표현되지 않는다는 충격적인 사실을 알게됐다. 자신의 철학에
반
하는, 즉 자연수의 지배를 받지 않는 수학적 대상이 존재했던 것이다. 그래서 그는 이를 '입에 담지 못할 수' (alogos)라고 불렀고, 비밀로 유지하려고 노력했다. 이를 외부에 발설한 제자를 수장시켰다는 ... ...
[비교] 미국과 러시아의 달정복 전략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달착륙선인 LK(Lunova Korably)는 한사람만 타도록 설계됐다. 크기는 미국의 착륙선에 비해
반
정도, 무게도 3분 1밖에 되지 않는다. LK로 3일 정도 달에서 보낼 수 있다. 둥근 모양의 압력 선실에 탑승한 우주비행사는 하강과 상승 중에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서있게 된다. 미국과 마찬가지로 4개의 ... ...
20세기 문명의 꽃 레이저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최초의 레이저 발진장치를 만들어냈다. 두번째 레이저 발진장치는 벨연구소의 알리 제이
반
등이 완성했다. 마침내 현대 문명을 일굴 레이저가 세상에 얼굴을 내민 것이다.타운스 이후 레이저는 여러 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런던대학의 데니스 가보 (1900-1979)는 레이저광을 이용한 ... ...
2. 달착륙 생방송은 조작극?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전유물이 될 수 없다. 따라서 달에 미국의 국기인 성조기를 꽂은 행위는 국제조약을 위
반
하는 것이 된다.그러나 NASA는 달에 성조기를 꽂지 않을 수 없었다. NASA의 돈줄을 쥐고 있는 의회가 이를 강력하게 희망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깃발의 의미를 나름대로 해석하기 시작했다. 1962년 9월 12일 ... ...
수학사의 미스터리 마방진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시작해 대각선으로 순서대로 숫자를 써 나간다. 바깥쪽 칸에 쓰여지는 숫자는 다시
반
대편 칸에 이동해 채우고 이어서 대각선으로 계속 숫자를 써 나간다. 대각선이 이미 차 있으면 아래로 한 칸 내려쓰고 계속한다. 이 방법으로 모든 홀수차수 방진에서 마방진을 만들 수 있다.② 2의 거듭제곱 차수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