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창원대, 제조혁신 주역 ‘스마트산단’의 스페셜리스트 꿈꾼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교수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제조기술, 소재기술, 기계설계 등의 키워드를 우선 선정한 뒤 그에 맞는 과목들을 선정했다”며 “최신의 정보통신 기술을 습득해야 하는 만큼 13명의 교수 중 대부분을 신임급 교수로 채용했다”고 밝혔다.스마트제조융합전공은 산업통산자원부와 경상남도, 창원시가 ... ...
- [이공계 잡터뷰] 약국 근무 약사의 하루, 상담부터 공부까지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힘든 질병코드와 흔히 접하기 어려운 약의 이름이 빼곡한 처방전을 꼼꼼히 살핀 뒤 필요한 약을 조제해 환자에게 전달한다. 여기까지가 우리가 알고 있는 약국 근무 약사의 업무다. 하지만 환자의 건강을 위해 약사가 해야 하는 업무는 이보다 훨씬 더 많다. 경기도 용인에서 약국을 운영하는 약사 ... ...
- [특집] 세상에 나쁜 턱수염은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풍성한 털, 0.5cm 길이의 면도한 털과 털을 모두 뽑은 양가죽으로 두개골 모형을 감싼 뒤 같은 크기의 충격을 가했지요. 그 결과 0.5cm 길이의 털로 덮인 모형과 털이 없는 가죽으로 덮인 모형은 95%가 부서졌지만, 8cm 길이의 풍성한 털로 덮은 모형은 45%만 부서졌어요. 연구팀은 턱수염이 펀치에 실린 ... ...
- [특집] 박쥐의 사냥법이 궁금해? 답은 똥에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연구가 발표됐어요. 미국 스미스소니언열대연구소 공동연구팀이 사마귀입술박쥐의 똥을 뒤진 결과지요. 사마귀입술박쥐는 개구리가 짝짓기를 할 때 내는 울음소리의 주파수를 듣고 먹잇감을 찾아내 영어로 ‘프로그이팅 뱃(개구리를 먹는 박쥐)’이라고 불려요. 실제로 연구팀이 사마귀입술박쥐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바람이 전기가 되는 풍력발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자칫 다칠 수 있으니 어른의 도움을 받으면 좋아요. 집에 있는 페트병을 깨끗이 씻은 뒤, LED 전구가 페트병 안쪽에 위치하도록 입구에 끼워 맞추면 풍력발전기 완성!완성된 풍력발전기 날개에 ‘후~,’하고 바람을 불어 보세요. 날개가 돌아가며 페트병 안쪽의 전구에 불이 들어올 거예요. 건전지 ... ...
- [통합과학교과서] 탈출하자, 무인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이에 따라 태양의 고도는 점점 높아지다가 정확히 남쪽에 있을 때 가장 높이 뜨고, 그 뒤로 점점 낮아져요. 이는 우주에서 지구의 북극을 바라봤을 때를 기준으로, 지구가 약 24시간에 한 번씩 반시계 방향으로 자전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에요. 하루 중 태양의 고도가 가장 높을 때의 시간은 ... ...
- [만화뉴스] 차디찬 영하 70℃에서 얼지 않은 물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영하 70℃에서 물이 고밀도와 저밀도로 동시에 존재하며, 고밀도에서 저밀도로 바뀐 뒤 얼음이 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답니다. 포스텍 김경환 화학과 교수는 “영하 43℃ 이하의 아주 차가운 조건에서는 무거운 물과 가벼운 물이 동시에 존재하다가, 무거운 물이 가벼워지면서 모두 얼음이 된다는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균형 잡기의 달인이 되어 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돌아갔어요. 연구팀은 이를 두고 “날갯짓과 평균곤을 이용해 먼저 자세를 안정시킨 뒤 시각을 안정시키는 방식으로 비행하는 것”이라고 분석했어요. 왜 이런 일이? → 결과 : 거북이 인형이 펜 뚜껑 위에서 균형을 잡고 서 있다.물체의 균형을 잡기 위해선 ‘무게중심’을 잡아야 해요. ... ...
- [핫이슈] 맛있는 쌀밥 2분 컷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수 있거든요. 우리가 흔히 보는 흰쌀은 수확한 뒤 껍질을 벗긴 상태예요. 껍질을 벗긴 뒤 시간이 오래될수록 수분이 날아가 건조한 상태가 되기 쉽기 때문에, 도정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쌀이 수분이 많고 맛있지요. 햇반은 품질이 우수한 쌀을 골라, 수분이 날아가지 않도록 껍질을 벗긴 당일 바로 ... ...
- [한 장의 과학] 수고했어, 안녕! 아레시보 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305m 크기의 접시 안테나가 부서진 거예요. 지난 8월에도 같은 사고가 일어나 복구를 한 뒤였지만, 두 번의 손상 모두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요. 미국 국립과학재단 천문과학부 랄프 곰 부장은 “잇따른 고장이 일어나 복구방법을 강구했지만, 수리하는 과정에서 인명 피해가 일어날 수 있어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