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쪽
내면
밑바탕
안
속
밑동
밑
d라이브러리
"
내부
"(으)로 총 3,824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상의 소리 대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대금은 일종의 ‘보이지 않는 줄’로 소리를 내는 셈이다. 바람을 불어 넣으면 대금
내부
의 공기에 진동이 일어나 정상파를 만든다. 대금은 관 자체가 울림통 역할도 한다. 관에 생긴 정상파의 진동수가 기주의 고유진동수와 일치하면 공명이 일어나 소리가 커지고 관속을 도는 바람도 소리를 ... ...
포자에 꼬리 달거나 돌기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특이하게 아름다운 회청색(잿빛을 띤 푸른색)을 띠기도 한다. 속껍질 막
내부
에는 밀가루 같은 포자가 덩어리를 만들고, 윗부분에는 새 주둥이 모양의 입구에 작은 구멍이 숭숭 뚫려 있으며, 포자가 성숙하면 이 구멍에서 나온다. 국내에서 자라는 방귀버섯은 대부분 속껍질 막과 중간껍질 막 사이에 ... ...
[수학]새로운 연산 정의하는 법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2) 제시문 (마)를 이용해 “모든 삼각형은 이등변삼각형이다”를 증명하라. 3) “원
내부
의 모든 점은 그 원의 중심이다”를 증명하라. 전문가 클리닉 p-진체라는 새로운 함수를 정의한 뒤 이것을 이용해 주어진 명제를 증명할 수 있는가를 묻는 문제입니다. 군, 환, 체의 개념을 이용해 p-진체의 ... ...
예수 탄생 기념하는 세계인의 축제 마당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영롱한 불빛을 내 신기한 느낌을 준다. 세계에서 높은 건물인 페트로나스 쌍둥이 빌딩
내부
에도 다양한 크리스마스 장식물이 자리한다. 산타클로스 동상 앞에서는 이슬람교를 믿는 가정에서 자란 어린이들이 호기심 가득 찬 눈망울로 쳐다본다. 88층짜리 쌍둥이 빌딩은 높이 452m로 하늘을 찌르고 ... ...
[지구과학]탄소 순환 고리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이루는 석영 위주로 이뤄져 있다. 따라서 현무암질 용암에 비해 유문암질 용암은
내부
물질의 결합력이 높아 점성이 크고 유동성이 작은 성질을 지닌다. 그 결과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고 유동성이 크며 점성이 작은 현무암질 용암은 분출한 뒤 수평으로 퍼지는 형태를 보이고, 그 반대의 성질을 지닌 ... ...
올버스 패러독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질량 m인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에 영향을 미치는 지구 구성물은 반지름이 x인 구
내부
에 한정된다. 다음 그림을 참고해 생각한다. >>생각해 보기 가장 대표적인 단진동 운동인 단진자에 대해 정리해보자. 길이가 L이고 무게가 없는 실에 질량이 m인 추를 매달고 작은 각도 θ로 흔들면 단진동 운동을 ... ...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토로하고 있다.더 큰 문제도 남았다. 우리가 감시하는 지구접근천체들은 대부분 태양계
내부
소행성으로 분류된다. 하지만 태양계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행성인 해왕성 바깥에도 그 개수를 가늠할 수 없는 수많은 소천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카이퍼벨트 천체로 불리는 이들은 태양에서 너무 ... ...
유인 우주탐사의 산실, 존슨우주센터를 가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이용해 달을 공동 연구하면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는데, 한국도 달에서 월진(moonquake)이나
내부
열 흐름 관측, 통신 중계 등의 역할을 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2020년쯤 달에 궤도선을 보낼 계획이다. 미래에 달은 NASA를 중심으로 전 세계가 힘을 모은 덕분에 인류의 새로운 터전으로 ... ...
서울시립대 마이크로로봇 연구회 ‘제틴’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상황에서 인명을 구조할 때 쓰는 극한작업로봇이다. 벽을 감지하는 센서와 건물
내부
를 보여주는 카메라가 있다. 김동훈(05학번) 씨는 “로봇을 만들 때 많이 사용한 강력접착제 ‘록타이트’에서 따온 이름”이라고 말했다.F 전농동 드리프트양현철(06학번) 씨는 일본의 유명 레이싱 애니메이션 ... ...
나노미터 크기 물질 꿰뚫어 보는 냉중성자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전후의 진행 각도와 속도 변화를 분석하면 물질을 파괴하지 않고도 원자나 나노물질의
내부
구조와 움직임을 알 수 있다. 눈이 퇴화된 박쥐가 초음파를 발사한 뒤 물체에 부딪혀 튕겨 나오는 초음파의 속도와 방향으로 주변 지형을 인식하는 방식과 같다. 최 교수는 “원자나 분자 수십~수백 개가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