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준"(으)로 총 4,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산(酸), ‘풍요의 시대’ 연 식품계의 일등 공신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심리다 보니 어쩔 수 없는 문제다.다행히 관련 정보가 많이 공개돼 있고, 미흡하나마 기준도 세워져 있다. 남은 것은 소비자의 현명한 선택이다. 값싸고 대량생산에 유리하며 좋은 맛을 내는 산분해간장과, 미생물을 이용해 오래 푹 우려낸 한식 간장, 효소를 이용한 효소분해간장, 또는 이들과 ...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만드는 데 가장 많은 노력과 시간이 들어가요. 중앙에 있는 거울은 곡면이 거울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지만, 바깥쪽에 있는 거울 6장은 각각 비대칭 구조로 깎아야 하거든요. GMT의 반사경을 모두 만드는 데는 적어도 10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요. 2021년부터 가동될 GMT는 LSST가 찍은 ... ...
- [지식] 할머니와 엄마의 수학시간수학동아 l2015년 06호
- 문제는 기준과 신뢰다. 전국수학교사모임에서 교육과정을 연구해온 김보현 교사는 어떤 기준으로 수학교육이 달라졌는지 묻는다.“2009년에 바뀐 교과과정으로 가르친 지가 이제 겨우 2년이 넘었어요. 교육과정이 아이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고, 장단점은 무엇인지 파악하기엔 한참 부족한 ... ...
- [참여] 반짝반짝 빛나는 신비한 광물의 세계로!수학동아 l2015년 06호
- 해요. 광물을 대표하는 특징 중 하나가 경도인데, 학교에서 배우는 대표적인 경도의 기준으로는 모스경도계가 있죠. 모스경도계는 가장 부드러운 광물을 1번, 가장 단단한 광물을 10번이라고 정하고 굳기를 측정해요.”예를 들어 수정은 경도가 7번인 석영과 같은 물질로, 화학식이 같다. 토파즈라고 ... ...
- [수학뉴스] 투명망토의 정체는 벌집 구조?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있다고 주장해 화제입니다.종이를 접거나 펴면 종이 위의 한 점의 위치가 변합니다. 이때 기준이 되는 축을 바꾸면, 새 좌표를 나타내기 쉬워집니다. ‘빛’의 경로를 추적해야 하는 투명망토 기술 개발에 있어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하지만 빛의 경로를 마이크로(100만분의 1) 단위에서 계산하기는 ... ...
- 영종대교 차량 106대 추돌 사고 원인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일어났어요. 안타깝게도 이 사고로 73명이 다치고 2명이 목숨을 잃고 말았지요(2월 12일 기준). 목격자에 따르면 당시 다리 위는 한치 앞도 보이지 않는 상황이었어요. 도대체 영종대교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던 걸까요?영종대교는 인천국제공항이 있는 영종도와 인천 서쪽 육지를 연결하는 최단 ... ...
- 자연이 빚은 아름다운 광물이 가득! 민자연사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그 뒤로 1년에 8~10번씩 해외 출장을 나갈 때마다 꾸준히 모았어요.Q 아름다운 광물에도 기준이 있나요?결정 모양이 뚜렷하고 색이 아름다워야 하지요. 똑같은 남동석(아주라이트)이라고 해도 탁한 파랑이 있는가 하면, 광택이 더해진 깊은 파랑이 있습니다. 하지만 예쁜 광물만 모으는 것은 아니에요 ... ...
- [과학뉴스] 게임 ‘내 꿈은 정규직’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만에 27만 명이 다운로드받으면서 모바일 게임 인기순위 13위로 껑충 뛰어올랐다(4월 17일 기준). 비결은 공감대. 취업준비생(취준생) 아바타가 인턴, 계약직 등 12단계를 거쳐 사장까지 승진하는 게임인데 현실보다 더 현실 같다. 특히 시도 때도 없는 ‘권고사직’이 압권이다. 상사의 썰렁한 농담에 ... ...
- Part 1. 처절한 생명력 : 대멸종에서 살아 돌아오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시조새를 가장 진화된 수각류 공룡 그룹에 넣을 수도 있다. 새를 정의하는 좀 더 명확한 기준이 필요해진 것이다. 이런 사실은 공룡과 새를 구분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가를 보여주며 역설적으로 공룡과 새가 얼마나 유사한가를 증명한다. 중생대에 대부분의 공룡은 멸종했지만 새로 진화한 공룡은 ... ...
- [Hot Issue] 한국말 일취월장 사랑이, 생각도 한국식으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많아 한국어 사용자가 공간을 잘 범주화시킨다거나①, 일본어 사용자가 형태보다 소재를 기준으로 사물을 분류하는 경향이 있다는 주장들이다②.그런데 이에 대한 반론도 만만치 않다. 사고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건 언어가 아닌 문화이며, 언어와 사고는 독립적이라는 주장이다. 한 세기에 걸쳐 두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