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쇠붙이
쇠
철
강철
금붙이
메탈
금부치
d라이브러리
"
금속
"(으)로 총 2,557건 검색되었습니다.
1. 개성을 뽐내는 똑똑한 재료들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고분자는 폴리아세틸렌으로 그 자체로는 반도체에 불과하지만 이를 요오드로 처리하면
금속
에 버금가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다. 전기 전도성이 조금만 더 향상되면 쉽게 넓은 면적으로 가공할 수 있어 넓은 면적의 태양전지와 플라스틱 배터리는 물론 정전기 방지나 전자파 차폐용품으로도 사용될 ... ...
만약 마찰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크기 때문에 발생된 열이 쉽게 방출되므로 수막이 생기는 것을 방해한다. 따라서
금속
스키가 마찰을 더 크게 받는다.스키를 탈 때 우리는 마찰을 줄여 속도를 내지만 비탈을 다 내려와서는 멈춰야 한다. 이 때는 스키와 눈 사이의 마찰을 최대로 만들어야 한다. 마찰이 없다면 비탈 중간에서는 스릴 ... ...
허브향수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만들어진다.향료는 휘발성이 있고 지용성이며 비교적 반응성이 풍부해 열, 빛, 공기,
금속
이온 등의 영향을 쉽게 받는다. 향기나는 물질의 혼합체인 조합향료는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냄새가 변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대개 숙성시킨 후 사용한다. 천연향료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성이 변하는 수가 ... ...
사람 X선 촬영에 성공한 뢴트겐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X선 사진을 찍어본 경험이 있다. 물론 의사들이 몸에 걸치고 있는 안경이나 목걸이 같은
금속
물은 벗어두게 하니까 뢴트겐의 부인처럼 반지를 끼고 찍지 못하겠지만.X선이 알려졌을 때 X선의 효용성에 대해 주목한 집단은 바로 의사들이었다. 이 사진 덕택으로 X선을 통해 사람의 몸 내부를 들여다볼 ... ...
양(羊) 심장판막 인공배양에 성공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흐르게 하는 심장판막에 문제가 생기면 현재까지는 돼지 같은 동물의 심장판막이나
금속
, 세라믹, 플라스틱, 합성섬유 등으로 만든 인공판막으로 갈아 끼웠다. 그러나 동물판막은 금방 닳아 자주 교체해야 하고, 인공판막은 오래 가지만 혈전을 일으킬 위험이 있어 환자에게 늘 혈전용해제를 ... ...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마술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전체로는 자석이 되지 않는다. 이때 자석을 숟가락에 대고 한 방향으로 문질러주면
금속
안의 작은 자석들이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하기 때문에 자석의 성질을 갖게 된다. 자석이 된 숟가락을 테이블의 모서리 등에 두드리면 이들 작은 자석들이 다시 뿔뿔이 흩어져 뒤섞이기 때문에 처음과 같이 ... ...
노벨상 받은 여성과학자 10명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이론물리학자 폴 랑주뱅(1872-1946)과 사귄다는 소문에 휘말렸다. 그해 겨울 그녀는
금속
라듐을 분리해낸 공로로 화학분야에서 두번째 노벨상을 받았다. 마리 퀴리는 노벨상 수상 연설에서 “이제 (남편의 도움없이) 저 혼자 라듐을 분리해냈다는 것을 믿겠죠”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프랑스 ... ...
남극 세종기지 특명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지구에서 마지막 남은 ‘주인 없는’ 땅이다. 이곳에는 석유,
금속
자원 등 엄청난 지하자원이 매장돼 있다. 그러므로 이를 차지하려는 열강들의 다툼은 당연한 귀결이라고 할 수 있다. 1961년 6월 23일 발효된 남극조약은 이러한 다툼을 막아보자는 데 있었다.남극조약의 약점은 어떤 국가의 영유권도 ... ...
교과서 실험 옴부즈맨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모두 일에너지로 전환했다고 보면 Mgh=[f-(M+m)g]S이다.따라서 S=$\frac{hM}{f/g-(m+M)}$이다.이는
금속
관이 이동한 거리 S가 추의 질량 M에 단순히 비례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이것을 그래프로 그리면 (그림2)와 같은 그래프를 얻을 수 있다. 즉 교과서에서 제시된 추의 질량과 이동거리 그래프는 잘못된 것이다. ... ...
초고속 광통신망 실현 앞당긴 전자동 광증폭기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이 숙제를 KAIST의 김병윤 교수(물리학과)가 시원하게 해결했다.김교수는 희토류
금속
인 에르븀이 들어있는 광섬유를 사용해 만든 광증폭기에 이전에 개발한 능동형 파장 가변 필터를 접목시킴으로써 전자동으로 색깔이 다른 빛이 균일하게 증폭되게 만들었다. 뿐만 아니라 증폭돼 나오는 빛의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