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스페셜
"
박사
"(으)로 총 1,847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기술 대중화가 나노기술 산업화 성공 관건”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사람들이 나노 관련 상품을 살 때도 혼돈을 막을 수 있지 않겠습니까.” ● 서상희
박사
가 말하는 ‘나노기술’ 발전 방향 ① 정부의 꾸준하고 일관된 지원이 필요 ② 장기-단기 성과 모두 챙겨야 ③ 나노기술에 대한 대중 교육 필요 ※ 이 시리즈는 지식경제부, 나노융합산업 통합정보시스템 ... ...
“신약개발, 전략적 사고 가지고 끈질기게 접근해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한국기업 규모로는 어려워… 외국기업들의 역량을 충분히 활용해야” ③남인영
박사
= “정부와 기초과학연구자간의 소통을 강화해야… 정부의 창구를 일원화가 관건” ※ 이 좌담회 시리즈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의 공동기획에 의해 취재, 보도되고 있습니다. (2009년 5월 31일 출고 기사 ... ...
“기초과학 맹신말고 산업화 능력키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정부 연구사업에 변리사를 의무 배치하는 등 사업화 지원을 강화해야”고 조언했다. 신
박사
는 “서울대 연구시설이 미국보다 결코 나쁘지 않았다”면서 “창의적 사업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지원하는 사업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많은 재미 한인과학자들도 이 같은 시각을 갖추고 ... ...
“가을되면 신종 플루 변종 나올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했다. 김정은 부사장은 일본 도쿄대에서 석사과정까지 마친 뒤, 미국 오리건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다국적 제약회사인 브리스톨 마이어를 거쳐 1994년 길리어드로 자리를 옮겼다. 타미플루는 그가 길리어드로 자리를 옮긴 후 개발한 첫 연구 성과다. 현재 타미플루는 미국 로쉬사에서 생산과 ... ...
“한국에 바이오 기회 많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한국의 과학기술 정책을 소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졌다. 특히 콜리스 회원들은
박사
후 연구과정(포스트닥터)으로 미국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다. 연구기간을 마친 다음에는 정식 취업자리를 찾아 나서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과학기술인의 해외 유출 방지를 위해서라도 꼭 필요한 행사였다는 ... ...
“의료현장 요구 연구로 이어가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대학원 의학과 석사 1996~2002년 충북대 의대 성형외과장 2000년 서울대 대학원 의학과
박사
2000년 7월~2001년 12월 미국 로스엔젤레스 캘리포니아대 의대 연수 2002년 3월~2007년 8월 성균관대 삼성서울병원 성형외과 의국장 2003년 3월~현재 성균관대 의대 성형외과학교실 교수 2007년 9월~현재 삼성서울병원 ... ...
“의사와 과학자 이제 떼려야 뗄 수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경제학과 졸업 1988 영국 서섹스대학교 산업개발학 석사 졸업 2002 동국대학교 행정학
박사
졸업 1984.6~1992.7 과학기술처 정보산업과, 기획예산담당관실 행정사무관 1996.4~1998.6 OECD 과학기술정책위원회 파견 1999.1~2000.8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2002.2~2004.2 과학기술부 원자력안전심의관, 기획조정심의관 2004.2 ... ...
“바이오 전담 부처와 장관 있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통합된 목소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배 의원은 뉴욕주립대학교에서 세포분자생물학
박사
를 받은 바이오 전문가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원과 BT 전문기업인 리젠 바이오텍 사장을 지내 학계와 산업계를 모두 경험한 인물.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바이오 관련 정부 정책 개선을 위해 ... ...
“생명과학은 창의성의 학문…융합형 인재 절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캘리포니아대 미생물학(단백질생화학)
박사
1981~1985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생물학과
박사
후 연구원 1985~200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선임연구원, 책임연구원 2000~현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 2006~2008 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 MBA 1997~2002 과학기술부 창의적연구진흥사업 ... ...
“융합형 뇌 연구는 시대의 흐름…대형 연구소 세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뇌 관련 BIO 분야 미래성장동력 창출 서유헌 단장은 1948년 출생 1981년 서울대 신경약리학
박사
1984년~1986년 미국 코넬대 교수 1992년~1993년 일본 동경대 의과학연구소 교수 1997년~1999년 강원대 의대 학장 2000년~2001년 한국뇌신경과학회 이사장 2000년~현재 치매정복창의연구단장 2002년~현재 서울대 의대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