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온
안녕
안전
고정
평정
안락
침착
뉴스
"
안정
"(으)로 총 5,466건 검색되었습니다.
네이처 선정 올해 과학이슈에 한국 달 궤도선 '다누리' 포함
동아사이언스
l
2022.12.18
달러(917조원)이 필요하다고 추정된다"며 "이 회의에서 당사국들은 2030년까지 종의 감소를
안정
화하고 이를 되돌리기 위한 목표에 동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알파폴드가 예측한 단백질의 3D 구조. 딥마인드 제공. 인공지능(AI) 단백질 구조 예측 성능이 대폭 향상된 것도 주요 뉴스였다. 딥마인드가 ... ...
한국은 공룡 발자국 천국...40년간 고생물학 지평 넓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12.17
단단한 퇴적암이 되었고, 주변에 화산이 터지는 등 온도가 올라가면서 원래 상태보다 더
안정
화되어 발자국 화석이 단단하게 굳어졌죠. 35년 전이나 지금이나 비슷하게 화석을 잘 볼 수 있는 이유예요. " 미국 중생대 백악기 지층의 트리케라톱스 발자국 화석을 연구하는 모습. 임종덕 실장 경남 ... ...
설 연휴 전 실내마스크 해제될까…정부 "전문가 논의 거쳐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22.12.16
"실내마스크 착용을 의무에서 권고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그는
안정
적 유행 상황에서 의료기관, 대중교통 등 일부 시설을 제외한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하는 방안을 제시하며 영유아 마스크 착용 의무화는 근거가 없다고 지적했다. 중대본은 다음주 중 ... ...
첫 달 궤도선 '다누리' 17일 달 중력에 포획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15
5차례 임무궤도 진입기동을 실시한다. 특히 이번 1차 진입기동은 다누리가 달의 중력에
안정
적으로 포획돼 달을 지나치지 않도록 하는 가장 중요한 기동이다. 13분간 추력기를 가동해 다누리의 속도를 시속 약 8000km에서 시속 약 7500km까지 감속한다. 동시에 목표한 위치까지 정확히 도달해야 한다. ... ...
27번째 원전 신한울 1호기 12년 만에 본격 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22.12.14
4만4258GWh)의 4분의 1에 달하는 양이다. 산업부는 신한울 1호기가 겨울철 전력 수급
안정
화에 기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액화천연가스(LNG) 수입을 대체할 수 있어 에너지 무역적자 개선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산업부는 2024년 착공을 목표로 신한울 3·4호기 인허가 절차를 효율화해 내년 중 ... ...
버려지는 탄소섬유 해상태양광 설비로 재탄생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13
했다. 탄소섬유 표면은 탄소원자가 육각형으로 배열된 그라파이트 구조로 이뤄져 있어
안정
적이다. 다만 탄소섬유와 플라스틱 수지 간 접착강도를 높일 때 별도 공정을 거치는데 이때 독성 부산물이 발생하고 기계적 물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탄소나노튜브와 금속 입자의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생체 노화 정도 측정 새로운 RNA 지표 발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2.08
이승재 교수. KAIST 제공. ■ KAIST는 이승재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진이 동물의 생체 나이를 알려주는 지표로 새로운 RNA 변화를 발견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진은 예쁜 ... 탄산 리튬이 형성되는 문제가 있다. 연구팀은 갈륨과 탄탈럼을 전해질에 첨가해 대기
안정
성을 높인 전해질을 개발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탄소에 대한 저주, 도 넘었다
2022.12.07
대기에서 이산화탄소를 포집‧활용하는 일이 쉽지 않은 것도 이산화탄소의 에너지
안정
성 때문이다. 지구상의 생태계는 다양한 산화 상태의 탄소 화합물을 만들어낸다. 녹색식물이 햇빛을 이용해서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부분적으로 환원시켜서 만들어내는 다양한 탄수화물과 메탄을 비롯한 ... ...
카카오 먹통 사태 전원 장치 분리·서버 이중화가 문제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06
강화를 위한 전문가·사업자 의견과 법·제도 개선사항을 반영해 디지털서비스
안정
성 확보를 위한 종합적 개선방안을 내년 1분기 중으로 수립할 계획이다 ... ...
"그리드망에 재생에너지 결합, 복잡계 과학이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22.12.02
통계물리, 복잡계 과학을 이용해 전력망 연결 구조를 바탕으로 에너지 시스템의
안정
성을 저해하는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윤 총장은 2003년 청계천 고가도로의 사례를 들었다. 그는 "사람들이 청계고가도로를 폐쇄할 때 교통대란이 일어날 것을 우려했지만 복잡계 네트워크 연구자들이 시뮬레이션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