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뉴스
"
아래
"(으)로 총 3,98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토론 즐겼던 근대과학의 아버지
2019.12.12
12세가 피렌체 출신이라 가능했던 일이다. 이때 이장하는 과정에서 갈릴레오의 관
아래
맏딸인 마리아 첼레스테가 함께 묻혀 있음을 알게 된다. 지금 부녀는 산타크로체 성당 본당의 왼쪽 뒤편에 함께 묻혀 있다. 갈릴레오의 묘지 맞은편에는 르네상스 시대를 대표하는 예술가인 미켈란젤로 ... ...
인류 最古 동굴벽화 기록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2
이번 벽화와 비슷하게 부리 모양의 입을 가진 모습을 지닌 반인반수 사냥꾼이 등장한다(
아래
그림의 a,b). a와 b는 프랑스 라스코 동굴벽화의 사냥꾼 모습이다. 부리 모양의 머리를 지닌 반인반수 사냥꾼이 등장한다. 연대는 최대 2만 1000년 전이다. c와 d는 독일에서 발굴된 이전까지 가장 오래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치매 환자가 암이 잘 안 걸리는 이유
2019.12.10
상대적인 비율이 줄뿐이지 절대적인 발생 빈도는 여전히 늘어나는 것 아닐까.
아래
그래프는 연령대별 발병률을 보여주는데 놀랍게도 암은 75~84세가 정점이고 그 뒤로는 소폭이지만 감소세로 돌아선다. 반면 심혈관계질환은 꾸준히 늘어난다. 치매는 60대에야 무대에 등장하지만 그 뒤 급격히 ... ...
조기위암엔 무조건 내시경절제술?…"적합한지 따져봐야"
연합뉴스
l
2019.12.10
진행 정도에 따라 주변 장기를 동반 절제하기도 한다. 이런 과정은 명치 끝에서 배꼽
아래
에 이르기까지 길게 절개한 다음 이뤄졌다. [서울성모병원 제공] ◇ 조기 위암 늘면서 최소침습수술 발전…로봇 수술도 활발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암 검진 시스템의 적용으로 40대 이후 내시경 검사가 ... ...
[영상+] "이쪽으로 대피하세요" AI가 지하철 화재시 가장 안전한 대피로 알려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9
조명이 꺼지자 승객들은 어디로 가야 할지 몰라 우왕좌왕했다. 이때 승객들의 발
아래
에 레이저가 만든 녹색 유도선이 나타났다. 열차 도착 정보를 알리던 모니터에는 불이 난 계단 대신 승강장을 따라 다른 계단으로 가라는 표시가 떴다. 승객들은 녹색선을 따라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며 불을 ... ...
시스템반도체 수율분석SW·음식물 가스활용 난방기술…여성엔지니어의 빛나는 아이디어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9
정신영 삼성전자 수석연구원과 강문정 포트래치 대표, 박지현 지인테크 대표이사다.
아래
는 왼쪽부터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12월 수상자로 선정된 박찬정 웅진코웨이 상무와 김영근 유니테스트 수석연구원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여성부문 하반기 수상자로 정신영 ... ...
"똥본위화폐로만 입장권 살 수 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19.12.08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물의 사용량을 최소화한 특수 변기에서 큰일을 보면, 변기
아래
설치된 환기 팬이 돌면서 대변을 말린다. 30분가량 지나 대변이 완전히 건조되면, 용변을 본 사람은 자신의 인분 가루를 봉지에 담아 실험실 왼쪽에 있는 미생물 반응조에 넣는다. 미생물 수천 종이 인분 ... ...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강력한 탄소세 도입 집중 논의
동아사이언스
l
2019.12.08
각국의 신속한 대응을 촉구했다. 의제 중에는 기술메커니즘 평가체계와 파리협정
아래
나라 간 거래 가능한 온실가스 감축 실적 인정범위 등이 기술 관련 의제로 논의됐다.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을 지원해 온실가스를 감축하면 양국 모두가 자국 감축분으로 이중 계산할 수 있다. 이러면 효과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하와이 킬라우에아 화산폭발, 사건의 재구성
동아사이언스
l
2019.12.08
저장되고 흘러갈 공간을 확보한다. 이제 거대한 분출만이 남았다. 칼데라 땅이
아래
로 가라앉기 시작하며 마그마방에 압력을 준다. 더 많은 마그마가 배관을 향해 이동하지만, 분출할 공간은 한정돼 있다. 이때 밸브를 막은 파이프에 물을 급격하게 주입했을 때 나타나는 현상인 ‘수격작용’이 ... ...
나일강 물줄기 미스터리 풀렸다
과학동아
l
2019.12.06
만 년 동안 판 구조의 변화를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했다. 그 결과 나일강 북아프리카 지각
아래
를 흐르는 맨틀이 열기둥(플룸)을 형성해 용암이 분출되면서 나일강 상류의 에티오피아 고지대를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열기둥에 의해 나일강 유역의 맨틀이 3000만 년간 계속해서 에티오피아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