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뉴스
"
분자
"(으)로 총 3,286건 검색되었습니다.
벌집 모아 더 큰 벌집 만드니 전기 더 잘 흐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4
적외선까지 넓은 빛을 검출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는 복잡계자기조립연구단 외에
분자
활성촉매반응연구단, 원자제어저차원전자계연구단이 함께 연구했다. 김 단장은 “협력 연구를 통해 난제를 풀어나가겠다”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강미생물이 대장에 진출할 때 일어나는 일들
2020.06.23
것이라고 생각했다. 음식물 찌꺼기의 양에 따라 미생물 밀도와 이들이 만들어내는 냄새
분자
의 양이 다를 뿐이라는 말이다. 그런데 구강의 특정 영역에서만 냄새가 난다는 건 한 사람의 입안에서도 구강미생물 생태계가 여럿 존재한다는 뜻 아닐까. 마치 성을 차지한 것처럼 어떤 계기로 필자의 ... ...
A4용지로 오염물 분리한다…인쇄용지로 다용도 셀룰로스막 제작
연합뉴스
l
2020.06.23
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목적의 분리막이 될 수 있다"며 "소수성 물질 대신 항균성 재료나
분자
를 붙이면 항박테리아성 분리막이 되고, 중금속 입자를 흡착하는 물질로 표면처리를 하면 중금속 분리막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 연구는 일반 A4 용지처럼 일상생활에서 가까이 접할 ... ...
[의학바이오게시판] 삼성서울병원, 당뇨병 책자 2권 발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6.17
17일 밝혔다. 수출길에 오르는 진단키트는 '제네디아' 시리즈 항체진단키트 2종과
분자
진단키트 1종이다. 러시아와 영국, 싱가포르, 브라질 등 세계 20여개국에 판매된다 ... ...
'감염 안됐는데 양성?' 코로나19 위양성 사례 자꾸 나오는 이유
2020.06.17
보니 시약 수급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진단업계의 한 관계자는 “
분자
진단 방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시약 관리”라며 “시약 수급에 어려움을 겪다 보면 오염된 시약이 섞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권준욱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 ...
코로나19 회복 환자서 얻은 수천 종 '항체 칵테일' 치료 효과 쏠쏠하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7
인체세포에 침투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정교한 구조를 당
분자
까지 포함해 밝히는 데 성공했다. 서울대 제공 엘리스 랜다이스 IAVI 수석연구원은 “우리의 목표는 약이 가장 절실한 저개발국가 등에서 이 약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라며 “동물실험과 임상시험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소는 진정한 ‘그린연료’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20.06.16
돌아가는 데 있다. 따라서 전자와 정공이 만들어지는대로 표면으로 빨리 이동해 각각 물
분자
의 수소이온 환원시키고(수소발생반응) 수산화이온을 산화시키는데(산소발생반응) 쓰여 소진돼야 한다. 도멘 교수팀이 이 반응을 더 빨리 일으킬 수 있는 보조촉매를 개발한 이유다. 이들은 많은 시도 ... ...
마이크로RNA 분석 기술 코로나19 진단에 활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6
바이러스를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김상경
분자
인식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바이러스 진단에 활용되는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RT-PCR)’을 마이크로RNA 분석으로 빠르게 진행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코로나19와 같은 ... ...
우주서 중성자 평균수명 첫 측정…수십년 논쟁 종지부 찍나
연합뉴스
l
2020.06.15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했다. 메신저호는 수성 극지에 얼음 형태로 존재하는 물
분자
의 수소 원자에서 나오는 중성자를 포착하기 위해 중성자 분광기를 탑재하고 있었으며, 수성으로 향하는 과정에서 금성 대기에서도 처음으로 중성자 측정을 진행했다. 메신저는 수성 궤도에서 수백에서 ... ...
감염학회장 "렘데시비르 코로나 사망률 줄이는데는 별 도움 안되는 약"
동아사이언스
l
2020.06.14
개발한 에볼라 치료제다. 임상 3상에서 폐기됐다가 코로나19로 다시 주목 받았다. RNA 염기
분자
유사체로 복제를 방해해 바이러스 증식을 막는 원리의 항바이러스제다. 유 회장은 “현재 렘데시비르에 대한 평가는 완전히 긍정적인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며 “올해 2~3월 중국에서 최초의 임상시험이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