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구분"(으)로 총 2,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獸)페셜리스트] “개 아토피, 생활을 바꿔야 치료됩니다”동아사이언스 l2017.04.30
- 따라 다른 병원을 찾아가야 한다고 생각해 본적이 있나요? 우리나라 제도에서는 특별히 구분하고 있지는 않지만 한 분야를 오래 연구하고 치료해온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동아사이언스는 서울특별시수의사회의 도움을 받아 와 함께 특정 분야를 오랫동안 연구해온 전문가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 ...
- 내가 원하는 장면만 ‘쏙’ AI TV 나온다동아사이언스 l2017.04.26
- 볼 수 있다. 이 플랫폼은 경기 중계방송 도중에 등장하는 선수나 경기 이벤트를 스스로 구분하고, 20초 내로 해당 구간을 잘라 새로운 영상 클립을 사이드 바에 띄운다. AI가 기계학습 방식인 ‘딥 러닝’을 통해 영상 속 선수의 동작, 이벤트 구간 등을 인식할 수 있도록 미리 학습했기 때문이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란성쌍둥이는 얼굴도 똑같이 생겼을까?2017.04.25
- 느낀 필자는 이 검색어를 클릭해 나온 이미지들을 봤는데 개중에는 두 사람의 얼굴을 구분하기 어려운 사진들도 있었다. 여기 소개한 사진에서는 두 사람이 별로 안 닮게 나왔다. 한편 쌍둥이 동생(류화영)도 최근 한 주말드라마에 나온다고 해서 얼마 전 유심히 봤다. 아무래도 사진은 일면적이기 ... ...
- [수(獸)페셜리스트] “잘 놀던 개가 갑자기 공격성을 보였다면?”동아사이언스 l2017.04.23
- 적어도 되는 개를 선택했어야 한다. “동물 행동을 개선할 때 저는 교육과 훈련을 구분해서 이야기해요. 교육은 생활 속에서 함께 살아가기 위해서 익혀야 하는 행동이고 훈련은 극한 상황에서 필요한 능력이에요.” 김 센터장이 정의하는 교육과 훈련은 세간에서 이야기하는 것과는 다르다. ... ...
- [과학책을 만나다(1)] “아이가 질문을 잘 하나요?”동아사이언스 l2017.04.22
- 곳곳에서 경험할 수 있는 현상들이다.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등 교과목처럼 구분된 게 아니라 문제 상황에 따라 다양한 과학 분과의 지식을 동원해 설명해준다. 그런데 읽어보면 내용이 그리 쉽지 않다. 아니, 어렵다. 주기율표를 찾아가면서 봐야할 부분이 있는가 하면, 아이가 혼자서는 ... ...
- 문재인, “기초연구비, 자유공모연구비 2배씩 늘리겠다”동아사이언스 l2017.04.21
- 기초과학분야 자문을 맡고 있는 염한웅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에 따르면 3단계는 시기별 구분이다. 1단계는 포닥(박사후과정), 2단계는 포닥 직후부터 정규직 사이, 3단계는 정규직 교수·연구원으로 막 자리를 잡은 시기를 말한다. 우선 포닥(1단계)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지금보다 3~5배로 대폭 ... ...
- [미래학교를 꿈꾸다①] 미래학교를 아시나요?동아사이언스 l2017.04.20
- 학교는 어떤 모습일까요? 교실이 없어도 수업이 가능한 학교, 학년 구분이 없는 학교, 학생들이 원하는 과목으로 시간표를 짜는 학교, 한 가지 주제를 놓고 여러 과목 선생님들이 한자리에 모여 문제해결을 하는 학교, 외국에 있는 친구와 수업 시간을 공유하는 학교. 무엇을 상상하든 그 이상일 ... ...
- [카드뉴스] 뭐라 설명할 수 있는 오글거림동아사이언스 l2017.04.20
- 크게 관절의 각도를 줄여 자세를 조절하는 굽힘근과 자세를 유지하는 폄근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손발이 오그라드는 상황은 굽힘근이 과도하게 수축되는 경우인데요. 팔다리를 굽히고 몸을 움츠린 상태는 추울 때나 두려울 때 나타나는, 일종의 몸을 보호하는 자세입니다. 따라서 ... ...
- 대선후보 통신비 인하 공약 앞다퉈 제시…실효성은 '글쎄'포커스뉴스 l2017.04.19
- 는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최근 스마트폰 요금제는 기본료가 별도로 구분돼 있지 않아 기본료의 개념 자체가 모호한데다, 기본료 형태의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는 이용자도 3%에 불과하다. 또 문 후보가 언급한 '1만1000원'을 월 기본료로 산정할 경우 이동통신업체들의 반발을 ... ...
- 뇌 20배 이상 팽창…20나노미터 초미세구조까지 정밀 관측동아사이언스 l2017.04.18
- ㎚는 10억 분의 1m) 수준의 해상도를 얻을 수 있다. 장 교수는 “20㎚ 거리의 두 물체를 구분 가능한 해상도”라며 “이는 기존 대비 10배 이상 향상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2015년 보이든 교수팀은 물을 흡수하는 흡수겔인 ‘하이드로겔’을 이용해 뇌를 4배가량 팽창시킬 수 있는 기술을 ... ...
이전169170171172173174175176177 다음